도덕경 27장

Jmnote (토론 | 기여)님의 2017년 9월 1일 (금) 19:20 판 (→‎내용)

1 내용

번역 원문

잘 다니면 흔적이 남지않고,
잘 말하면 흠잡을 것이 없다.
잘 헤아리는 이는 꾀부리지 않는다.
잘 닫으면 빗장을 걸지 않아도 열리지 않으며,
잘 묶으면 밧줄을 쓰지 않아도 풀리지 않는다.

이렇게 성인은 항상 사람을 잘 구하니 사람을 버림이 없고,
물건을 잘 구하니 물건을 버림이 없다.
이를 일러 밝음을 입는다고 한다.

따라서 잘하는 자는 그렇지 못한 자의 스승이고,
잘 못하는 자는 잘하는 자에게 기댄다.
스승을 소중히 여기지 않고 기대는 이를 아끼지 않으면,
비록 알더라도 크게 모르는 바가 있으니, 이는 중요하고 알 수 없는 일이다.

善行無轍迹,
善言無瑕讁.
善數不用籌策.
善閉無關楗而不可開,
善結無繩約而不可解.

是以聖人常善救人, 故無棄人,
常善救物, 故無棄物,
是謂襲明.

故善人者, 不善人之師.
不善人者, 善人之資.
不貴其師, 不愛其資,
雖知大迷, 是爲要妙.

2 #

  • 轍철 : 바퀴자국.
  • 迹적 : 자취, 흔적.
  • 瑕하 : 티끌.
  • 讁적 : 꾸짖다, 귀양가다. 謫과 같은자.
  • 籌策주책 : 계책, 꾀.
  • 關관 : 관문, 빗장.
  • 楗건 : 빗장.
  • 繩승 : 밧줄.
  • 約약 : 묶다, 약속.
  • 棄기 : 버리다.
  • 襲습 : 공격하다, (옷을) 입다.
  • 資자 : 근본, 천성, 재물, 돕다.
  • 雖수 : 만약.

잘 하는것, 뒤탈이 없는 것이다.
나의 앞을 알지 못하고 나의 뒤를 알지 못하면 나는 아무것도 모르는 것이다.

數를 "헤아리다"로 바꾸었다네. 마음에 들지 않으면 다시 바꾸시게나. 참, 그러고 보니 이 구절은 우리 국민학교 때부터 익히 깨달았던 바 아니던가? 계산이나 속셈이 빠른 아해들은 아무리 지저분한 산수 문제가 나와도 주눅드는 바 없이 꿋꿋하게 풀어 나가지만 나처럼 그런게 안되는 아해들은 그저 잔머리나 굴리다가 반은 건지고 반은 망하곤 했었지. 그 잔머리라는 게 언제나 마음 먹었을 때마다 재현 가능한 게 아닌 바에야 정석대로 잘 헤아리는 게 복신이지. 반 농담이라네. --SonDon

아 좋은 단어선정이라는 생각인걸.
나 역시 학창시절을 잔머리로 많이 보냈지만 뭐랄까 좀 좀스러운 감이 있지. 하지만 가끔 그 잔머리가 꽤 쏠쏠한 솔루션을 제공하였을 때의 기쁨은 쉽게 잔머리를 포기할 수 없게 하곤 하지 않았는가? :) --거북이


3 같이 보기

도덕경
상편 하편

4 참고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