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경 10장

1 내용[ | ]

번역 원문

마음으로 도를 안아 그것에서 떠나지 않을 수 있는가?
본능에 맡기고 부드러움에 이르러 어린아이처럼 될 수 있는가?
현묘함을 본 것마저 씻어내어 흠이 없게 할 수 있는가?
나라를 사랑하고 백성을 다스림에 무위로 할 수 있는가?
감각이 느껴져도 흔들리지 않을 수 있는가?
모든것에 훤해도 아무것도 모를 수 있는가?

載營魄抱一, 能無離乎.
專氣致柔, 能婴兒乎.
滌除玄覽, 能無疵乎.
愛民治國, 能無爲乎.
天門開闔, 能爲雌乎.
明白四達, 能無知乎.

  • 載재 : 어조사로 夫처럼 말머리에 쓰는 글자다.
  • 營魄영백 : 魂魄혼백.
  • 抱一포일 : 하나로 안다. 여기서 하나는 도를 뜻한다.
  • 專氣전기 : 專은 완전히 맡기다, 즉 기에 완전히 맡긴다는 것은 본능에 따르는 삶이다.
  • 婴兒영아 : 아이를 말한다. 우리말처럼 쓰인다.
  • 滌除척제 : 씻어 없애다.
  • 玄覽현람 : 현묘함을 보다. 도덕경에서는 현묘함을 매우 긍정적으로 바라보지만 그것마저 마음에서 씻어버리라는 매우 극적인 말이다.
  • 疵자 : 흠, 결점.
  • 天門천문 : 하늘의 문, 우리몸에 달린 耳目口鼻를 비롯한 감각기관과 그 외 모든 구멍들을 말한다.
  • 開闔개합 : 열리고 닫힘. 하늘의 문이 열리고 닫힌다는 것은 꽤 드라마틱한 표현이다.
  • 雌자 : 암컷, 암컷은 도의 특성을 드러내 주는 말로 모든것을 부드럽게 감싸안는다. 그리하여 감각이 온 몸을 휘감을 때도 동요하지 않는다.
  • 明白명백 : 환히 밝히다, 우리말처럼 쓰인다.

보통 여기에 生之畜之...이런 구절이 더 달려있으나 이는 착간錯簡으로 보는것이 옳다고 생각한다. 학자들 사이에 이견이 분분하다.
역시 반복적인 논법으로 도의 성질에 대해 논하고 있다.
그런데 도대체 모든것을 알면서 아무것도 모르라니...사실 나의 짧은 인생경험으로는 어떻게 하라는지 알 수 없다.
학교에서 도가철학 강의를 들었을때 강사는 ‘도덕경에서 말하는 인간형은 남들이 전혀 알아채지 못하게 남들을 조정하는, 훌륭한 배후조정자’라 하였다. 물론 좀 나쁜 의미이긴 하지만 도덕경에서 말하는 인간형의 일면을 보여주는 말이라고 생각한다. 그 강사는 Usual Suspect라는 영화에 나오는 Kaiser Sosa라는 인물을 예로 들었다.
도덕경에서는 아무것도 하지 않는것이 제일 좋지만 어쩔 수 없다면 무언가를 하되 ‘잘’해서 남들 눈에는 아무것도 하지 않는것처럼 하라고 시키고 있다.
도가는 유가적 시각으로 바라보아선 좀 이상한 구석이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한다.

2 같이 보기[ | ]

도덕경
상편 하편

3 참고[ | ]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