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경 68장"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 내용 == ==같이 보기== {{도덕경}} 분류: 도덕경)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내용 ==
== 내용 ==
{{번역 표
|<poem>
훌륭한 용사는 무예가 세 보이지 않고,<ref>김학주의 해석을 따름. 감산은 ‘사납지 않다’고 해석했다.</ref>
잘 싸우는 사람은 성내지 않으며,
적을 잘 이기는 사람은 다투지 않고,
다른 이를 잘 부리는 사람은 자신을 낮춘다.
이를 다투지 않는 덕이라 하고,
사람 부리는 힘이라 하며,
하늘과 짝한다고 하는데
이는 옛날의 지극한 도이다.<ref>감산의 해석을 따름. 김학주는 極을 법도로 보아‘옛날의 법도가 되었던 것이다’라고 해석했다.</ref>
</poem>
|<poem>
善為士者不武,
善戰者不怒,
善勝敵者不爭,
善用人者為之下,
是謂不爭之德,
是謂用人之力,
是謂配天,
古之極.
</poem>
}}


==같이 보기==
==같이 보기==
{{도덕경}}
{{도덕경}}
==참고==
* {{위키문헌|도덕경}}


[[분류: 도덕경]]
[[분류: 도덕경]]

2017년 11월 19일 (일) 17:12 기준 최신판

1 내용[ | ]

번역 원문

훌륭한 용사는 무예가 세 보이지 않고,[1]
잘 싸우는 사람은 성내지 않으며,
적을 잘 이기는 사람은 다투지 않고,
다른 이를 잘 부리는 사람은 자신을 낮춘다.
이를 다투지 않는 덕이라 하고,
사람 부리는 힘이라 하며,
하늘과 짝한다고 하는데
이는 옛날의 지극한 도이다.[2]

善為士者不武,
善戰者不怒,
善勝敵者不爭,
善用人者為之下,
是謂不爭之德,
是謂用人之力,
是謂配天,
古之極.

2 같이 보기[ | ]

도덕경
상편 하편

3 참고[ | ]

  1. 김학주의 해석을 따름. 감산은 ‘사납지 않다’고 해석했다.
  2. 감산의 해석을 따름. 김학주는 極을 법도로 보아‘옛날의 법도가 되었던 것이다’라고 해석했다.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