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ian Eno"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BrianEno/Disco|/Disco]] [[BrianEno/연보|/연보]] [[BrianEno/RockReview|/RockReview]] [[BrianEnoReviews]]
==참고==
 
* {{음악검색}}
[[프록개론서]]용으로 쓴 전작리뷰 --[[사용자:Pinkcrimson|거북이]], 2003.중반(?)
* {{블로그검색}}
 
* {{위키백과}}
*  [http://cafe.daum.net/sarf/MYsN/2275 Brian Eno -  On Land 【AR Review _ 13,101】]
* {{다음백과}}
 
* {{네이버백과}}
== 음반 목록 ==
{{Z컬럼|2|
* [[Brian Eno - Here Come the Warm Jets|Here Come the Warm Jets]] 1974
* [[Brian Eno - Taking Tiger Mountain (By Strategy)|Taking Tiger Mountain (By Strategy)]]
* [[Brian Eno - Another Green World|Another Green World]] 1975
* [[Brian Eno - Discreet Music|Discreet Music]]
* [[Brian Eno - Before and After Science|Before and After Science]] 1977
* [[Brian Eno - Music for Films|Music for Films]]
* [[Brian Eno - Apollo: Atmospheres and Soundtracks|Apollo: Atmospheres and Soundtracks]] 1983
* [[Brian Eno - Music for Films Volume 2 (More Music for Films)|Music for Films Volume 2 (More Music for Films)]]
* [[Brian Eno - Thursday Afternoon|Thursday Afternoon]] 1985
* [[Brian Eno - Nerve Net|Nerve Net]] 1992
* [[Brian Eno - The Shutov Assembly|The Shutov Assembly]]
* [[Brian Eno - Neroli|Neroli]] 1993
* [[Brian Eno - Headcandy|Headcandy]] 1994
* [[Brian Eno - The Drop|The Drop]] 1997
* [[Brian Eno - Another Day on Earth|Another Day on Earth]] 2005
* [[Brian Eno - Lux|Lux]] 2012
* [[Brian Eno - The Ship|The Ship]] 2016
* [[Brian Eno - Reflection|Reflection]] 2017
 
* [[Brian Eno - Extracts From Music for White Cube|Extracts From Music for White Cube]] 1997
* [[Brian Eno - I Dormienti|I Dormienti]] 1998
* [[Brian Eno - Lightness: Music for the Marble Palace|Lightness: Music for the Marble Palace]]
* [[Brian Eno - Kite Stories|Kite Stories]] 1999
* [[Brian Eno - Music for Civic Recovery Centre|Music for Civic Recovery Centre]] 2000
* [[Brian Eno - Compact Forest Proposal|Compact Forest Proposal]] 2001
* [[Brian Eno - January 07003: Bell Studies for the Clock of the Long Now|January 07003: Bell Studies for the Clock of the Long Now]] 2003
* [[Brian Eno - Making Space|Making Space]] 2010
 
; Ambient Series
* [[Brian Eno - Ambient 1: Music for Airports]] 1978
* [[Harold Budd / Brian Eno - Ambient 2: The Plateaux of Mirror]] 1980
* [[Laraaji - Ambient 3 : Day of Radiance]] 1980
* [[Brian Eno - Ambient 4: On Land]] 1982
 
; [[Roxy Music]]
* [[Roxy Music - Roxy Music|Roxy Music]] 1972
* [[Roxy Music - For Your Pleasure|For Your Pleasure]] 1972
 
; [[Fripp]] & Eno
* [[Fripp & Eno - (no pussyfooting)|(no pussyfooting)]] 1973
* [[Fripp & Eno - Evening Star|Evening Star]] 1975
 
; [[Cluster]]
* [[Cluster & Eno]] 1977
* [[Eno / Moebius / Roedelius - After The Heat|After the Heat]] 1978
 
* [[Brian Eno - 01-Jun-74|01-Jun-74]] 1974
* [[Brian Eno - Lady June's Linguistic Leprosy|Lady June's Linguistic Leprosy]]
* [[Brian Eno - Diamond Head|Diamond Head]]
* [[Brian Eno - Low|Low]] 1977
* [[Brian Eno - 'Heroes'|'Heroes']]
* [[Brian Eno - In a Land of Clear Colours|In a Land of Clear Colours]] 1979
* [[Brian Eno - (a.k.a. Robert Sheckley's In a Land of...)|(a.k.a. Robert Sheckley's In a Land of...)]]
* [[Brian Eno - Lodger|Lodger]]
* [[Jon Hassel / Brian Eno - Fourth World, Vol. 1: Possible Musics|Fourth World, Vol. 1: Possible Musics]]
* [[Brian Eno + David Byrne - My Life in the Bush of Ghosts|My Life in the Bush of Ghosts]] 1981
* [[Harold Budd/Brian Eno - The Pearl|The Pearl]] 1984
* [[Various Artists - Music for Films III|Music for Films III]] 1988
* [[Eno / Cale - Wrong Way Up|Wrong Way Up]] 1990
* [[eno / wobble - SPINNER|Spinner]] 1995
* [[Brian Eno - Original Soundtracks 1|Original Soundtracks 1]]
* [[Brian Eno - Tracks and Traces|Tracks and Traces]] 1997
* [[Brian Eno - Music for Onmyo-Ji|Music for Onmyo-Ji]] 2000
* [[Brian Eno - Drawn from Life|Drawn from Life]] 2001
* [[Brian Eno - All Saints|All Saints]]
* [[Brian Eno - The Equatorial Stars|The Equatorial Stars]] 2004
* [[Brian Eno - Beyond Even|Beyond Even]] 2007
* [[Brian Eno - (a.k.a. The Cotswold Gnomes)|(a.k.a. The Cotswold Gnomes)]]
* [[Brian Eno - Everything That Happens Will Happen Today|Everything That Happens Will Happen Today]] 2008
* [[Brian Eno - Small Craft on a Milk Sea|Small Craft on a Milk Sea]] 2010
* [[Brian Eno - Drums Between the Bells|Drums Between the Bells]] 2011
* [[Brian Eno - Panic of Looking|Panic of Looking]]
* [[Brian Eno - Someday World|Someday World]] 2014
* [[Brian Eno - High Life|High Life]]
}}


== 촌평 ==
== 촌평 ==
135번째 줄: 58번째 줄:
이렇게 뮤지션당 한장씩 추천해봅니다.
이렇게 뮤지션당 한장씩 추천해봅니다.


----
* [[에노의초상화]]
== 음반 목록 ==
* [[프록개론서]]용으로 쓴 전작리뷰 --[[사용자:Pinkcrimson|거북이]], 2003.중반(?)
* 더 상세한 음반 목록 [[BrianEno/Disco|/Disco]] [https://en.wikipedia.org/w/index.php?title=Brian_Eno_discography&oldid=217431587]


== # Music for Films vol 2 ==
{{Z컬럼|2|
Working Backwards
; solo
* [[Brian Eno - Here Come the Warm Jets|Here Come the Warm Jets]] 1974
* [[Brian Eno - Taking Tiger Mountain (By Strategy)|Taking Tiger Mountain (By Strategy)]] 1974
* [[Brian Eno - Another Green World|Another Green World]] 1975
* [[Brian Eno - Discreet Music|Discreet Music]] 1975
* [[Brian Eno - Before and After Science|Before and After Science]] 1977
* [[Brian Eno - Thursday Afternoon|Thursday Afternoon]] 1985
* [[Brian Eno - My Squelchy Life|My Squelchy Life]] 1991
* [[Brian Eno - Nerve Net|Nerve Net]] 1992
* [[Brian Eno - The Shutov Assembly|The Shutov Assembly]] 1992
* [[Brian Eno - Neroli|Neroli]] 1993
* [[Brian Eno - Headcandy|Headcandy]] 1994
* [[Brian Eno - The Drop|The Drop]] 1997
* [[Brian Eno - Another Day on Earth|Another Day on Earth]] 2005
* [[Brian Eno - Lux|Lux]] 2012
* [[Brian Eno - The Ship|The Ship]] 2016
* [[Brian Eno - Reflection|Reflection]] 2017


== # Thursday Afternoon ==
; Ambient Series
== # Harold Budd / Brian Eno : The Pearl ==
* [[Brian Eno - Ambient 1: Music for Airports]] 1978
== # Nerve Net ==
* [[Harold Budd / Brian Eno - Ambient 2: The Plateaux of Mirror]] 1980
http://image.allmusic.com/00/amg/cov200/drc800/c846/c846609s70l.jpg 완성도 4.5 우선순위 2
* [[Laraaji - Ambient 3 : Day of Radiance]] 1980
* [[Brian Eno - Ambient 4: On Land]] 1982


지금까지 에노의 작업들은 거의 다른 아티스트들이 손대지 않은 미지의 영역이었는데 이 앨범에서만큼은 그렇지 않다. 시기적으로 결코 늦은 것은 아니었지만 이미 크라프트베르크와 아프리카 밤바타의 영향을 받아 테크노의 싹은 자라나고 있던 시기인 것이다. 오브와 오비탈같은 거장들이 데뷔앨범을 내며 범상치 않은 완성도를 보여주었다. 에노도 그 시기에 테크노 음반을 한장 내놓는다. <br/>
; Music for Films
하지만 그의 테크노는 다른 이들의 그것과는 조금 달랐다. 그들은 비트를 가공해가며 자신들의 색을 찾기 위해 아둥바둥대고 있었지만 에노는 이미 자신의 색깔이 있었기에 지금까지와는 조금 다른 비트를 그저 사용하기만 하면 되었던 것이다. 그는 신세사이저와 루프를 주로 사용하고 있긴 하지만 색서폰이나 기타 등과 같은 악기들을 동료들이 직접 연주하고 있다. 이 작품은 이전 작품들에 비해 비트가 좀 더 빨라졌고 앰비언트적이지 않을 뿐이다. 오랜만에 프립이 참여해 연주를 해주고 있다. <br/>
* [[Brian Eno - Music for Films]] 1977
여기서 주목할 것은 에노가 동시기에 내놓은 두장의 맥시싱글인 Fractal Zoom과 Ali Click이다. 이 두 EP에는 모두 동일 곡이 리믹스되어 담겨있는데 꽤 다양한 스타일의 리믹스가 담겨있어 흥미롭다. 에노가 가장 처음 이런 리믹스를 시도한 것은 아니지만 이런 방식의 탐구는 이후 테크노 아티스트들과 실험적인 락커들의 단골 스타일이 되는 것이다. Fractal Zoom에서 에노는 고작 데뷔앨범을 준비하던 모비Moby를 기용하여 리믹스를 실험하고 있다. 사실 그 리믹스 작업들이 성취한 완성도가 그리 높으냐 하면 아니다라는 대답을 하겠지만 에노는 이렇게 후배들에게 계속 방법론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br/>
* [[Brian Eno - Apollo: Atmospheres and Soundtracks]] 1983
재킷은 그의 설치미술 작품인 '지질학적 영화'Geological Cinema(1992)에서 따왔다.
* [[Brian Eno - Music for Films Volume 2]] 1983
 
* [[Various Artists - Music for Films III]] 1988
#  Fractal Zoom (Eno) - 6:24
* [[Passengers - Original Soundtracks 1]] 1995
#  Wire Shock (Eno) - 5:27
#  What Actually Happened? (Eno) - 4:41
#  Pierre in Mist (Eno) - 3:47
#  My Squelchy Life (Eno) - 4:02
#  Juju Space Jazz (Eno) - 4:26
#  The Roil, the Choke (Eno) - 5:00
#  Ali Click (Eno) - 4:13
#  Distributed Being (Eno) - 6:10
#  Web (Eno) - 6:21
#  Web [Lascuax Mix] (Eno) - 9:44
#  Decentre (Eno) - 3:26
 
Roger Eno  -  Piano, Sampling
Robert Quine  -  Guitar, Guitar (Rhythm)
John Paul Jones  -  Piano
Gregg Arreguin  -  Guitar
Richard Bailey  -  Drums
Benmont Tench  -  Percussion
Arun Chakraverty  -  Mastering
Markus Dravs  -  Drums, Producer, Engineer, Drum Programming, Mixing, Treatments
Brian Eno - Organ, Synthesizer, Bass, Guitar, Piano, Keyboards, Sax (Tenor), Vocals, Voices, Multi Instruments, Producer, Artwork, Design, Mixing, Cover Design, Treatments, African Organ, Animal Sounds, Arabesque
Ben Fenner  -  Engineer
Robert Fripp  -  Guitar
Chris Fuhrman  -  Engineer
Roderick Melvin  -  Piano
Isaac Osapanin  -  Conga
Sid Wells  -  Engineer
Jamie West-Oram  -  Guitar, Guitar (Rhythm)
Romeo Williams  -  Bass
Robert Ahwai  -  Guitar
Gareth Cousins  -  Assistant Engineer
Paul Mortimer  -  Assistant Engineer
Nick White  -  Photography
Andy Baker  -  Assistant Engineer
Duchess Nell Catchpole  -  Vocals, Voices
Ian Dench  -  Drum Loop
Lee Phillips  -  Assistant Engineer
Peter Anderson  -  Photography
Greg Jakobek  -  Artwork, Design
Andy Pendleton  -  Assistant Engineer
Wayne Duchamp  -  Sax (Alto)
Sugarfoot Moffett  -  Drums
John Moorby  -  Voices, Speech/Speaker/Speaking Part
Alice Ngukwe  -  Sax (Tenor)
Winston Ngukwe  -  Conga
Sunita Patel  -  Voices, Speech/Speaker/Speaking Part
Yogish Patel  -  Voices, Speech/Speaker/Speaking Part
Curtis Pelican  -  Trumpet
Charles Steel  -  Assistant Engineer
Peter Bech Sorensen  -  Photography
Cecil Stamper III  -  Drums
Christine West-Oram  -  Vocals
John May  -  Voices, Speech/Speaker/Speaking Part
Anita Patel  -  Voices, Speech/Speaker/Speaking Part
 
== # Neroli ==
== # The 2 Boxes ==
== # James : Wah Wah ==
== # Passengers : Original soundtracks 1 ==
http://image.allmusic.com/00/amg/cov200/drc800/c858/c8588927el9.jpg 완성도 5 우선순위 1
 
에노가 함께했던 [[U2]]의 Zoo TV투어 이후 에노는 함께 즉흥연주를 담은 음반을 만들자고 제안한다. 그것은 또다시 가상 사운드트랙 혹은 사후 사운드트랙 형식을 띠게 되었으며 벌써 에노로서는 네번째이다. 이번에는 그 곡들의 실릴 (혹은 자기들이 만들고 싶은) 영화들의 가상 제목까지 적어둔 '진짜' 짜가pseudo 사운드트랙의 면모를 갖추었다. 이중 일부는 이들에게 영감을 준 실제 영화들의 제목이기도 하다. <br/>
하지만 이 앨범은 에노가 작업한 일련의 사운드트랙들 중에 가장 인상적인 음반이 되었는데 그것은 이 음반이 앰비언트 작품이 아니었기 때문이기도 하고 일렉트로닉스적인 면과 밴드의 연주가 상당히 조화롭게 섞여들어갔기 때문이기도 하다. 보노의 보컬이 많이 들어가있지만 이 곡들은 U2의 곡들과는 거리가 멀고 에노의 스타일에 더욱 가깝다. 그 와중에 파바로티까지 불러서 화제성을 더한 Miss Sarajevo같은 곡을 보면 U2의 상혼에 정말 넌더리가 나기도 하지만 One Minute Warning에서 만들어낸 긴장감이나 Elvis Ate America와 같은 에노 혼자서 만들었다면 결코 나올 수 없었던 그런 트랙들이 이 앨범에 한데 뒤섞여있다. 그런 독특한 아우라가 이 음반을 즐길만한 것으로 만들고있는 것이다. <br/>
이러한 경험은 이후 빔 벤더스의 영화 백만달러호텔Million Dollar Hotel에서 에노와 U2가 다시 함께 사운드트랙 작업을 하는 밑거름이 되었다.
 
#    United Colors [From united Colours of Plutonium] (Bono/Clayton/Edge [1]/Eno/Mullen) - 5:31
#    Slug [From Slug] (Bono/Clayton/Edge [1]/Eno/Mullen) - 4:41
#    Your Blue Room [From Par-Del?Les Nuages] (Bono/Clayton/Edge [1]/Eno/Mullen) - 5:28
#    Always Forever Now [From Always Forever Now] (Bono/Clayton/Edge [1]/Eno/Mullen) - 6:24
#    Different Kind of Blue [From An Oridinary Day] (Bono/Clayton/Edge [1]/Eno/Mullen) - 2:02
#    Beach Sequence [From Par-Del?Les Nuages] (Bono/Clayton/Edge [1]/Eno/Mullen) - 3:25
#    Miss Sarajevo [From Miss Sarajevo] (Bono/Clayton/Edge [1]/Eno/Mullen) - 5:41
#    Ito Okashi [From Ito Okashi] (Bono/Clayton/Edge [1]/Eno/Holi/Kobayashi/Mullen) - 3:25
#    One Minute Warning [From Ghost in the Shell] (Bono/Clayton/Edge [1]/Eno/Mullen) - 4:40
#    Corpse (These Chains Are Way Too Long) [From Gibigiane] (Bono/Clayton/Edge [1]/Eno/Mullen) - 3:35
#    Elvis Ate America [From Elvis Ate America] (B./Bono/Clayton/Edge [1]/Eno/Mullen) - 2:59
#    Plot 180 [From Hypnotize Me (Love Me 'till Dawn)] (Bono/Clayton/Edge [1]/Eno/Mullen) - 3:41
#    Theme from the Swan [From The Swan] (Bono/Clayton/Edge [1]/Eno/Mullen) - 3:24
#    Theme from Let's Go Native [From let's Go Native] (Bono/Clayton/Edge [1]/Eno/Mullen) - 3:07
 
* 1995
 
U2  -  Group
Luciano Pavarotti  -  Tenor (Vocal)
The Edge  -  Organ, Guitar, Vocals, Choir, Chorus
Arnie Acosta  -  Mastering
Craig Armstrong  -  Arranger, String Arrangements
Richard Baker
Paul Barrett  -  Arranger, String Arrangements
Bono  -  Guitar, Piano, Vocals
Adam Clayton  -  Bass, Narrator
Brian Eno  -  Synthesizer, Vocals, Choir, Chorus, Design, Mixing, Concept, Sequencing, Treatments
Howie B  -  Scratching, Vocals, Rhythm, Engineer, Writer, Mixing, Rhythm Track, Treatments
Larry Mullen, Jr.  -  Synthesizer, Percussion, Drums, Rhythm, Rhythm Sequencing, Rhythm Synthesizer
Danton Supple  -  Engineer
Stewart Whitmore  -  Digital Editing
Rob Crane
Lee Phillips  -  Assistant
Ruadhri Cushnan  -  Assistant
Rob Kirwan  -  Project Assistant
Des Broadbery  -  Sequencing
Cheryl Engels  -  Post Production, Supervisor
Fiach Cooling  -  Assistant
Holger Zschenderlein  -  Synthesizer
David Herbert  -  Saxophone, Studio Coordinator
Cally  -  Design, Concept
 
: http://www.yourblueroom.com/media/enoIV.html
 
== # The Drop ==
http://image.allmusic.com/00/amg/cov200/drc900/c994/c994326vl4u.jpg
 
93년의 그 흉악한 앨범 Neroli이후 처음으로 낸 단독 앨범이다. <br/>
소품들로 이루어진 앞면과 30분짜리 대곡 Iced World로 뒷면을 채운 구성인데 전체적으로 Spinner에서 했던 스타일과 많이 비슷하다. 그때보다 리듬파트가 좀 약해진 대신 에이펙스 트윈[[AphexTwin]]을 연상시키는 질감의 앰비언트 연주와 월드비트가 좀 더 들어가있다.<br/>
에노는 이 앨범을 '환영받지 못하는 재즈'라고 불렀다. 이유는 자기가 이 곡들을 연주했을때 어느 누구도 좋아하지 않았다고. 적어도 뒷면 Iced World만큼은 확실히 그러하다. 몇가지 주제가 반복된다는 점에서 구성 자체는 전형적인 앰비언트이지만 곡을 이끌어 나가는 긴장감 만점의 스내어 드럼 소리와 그 위를 굴러가는 솔로 피아노 소리는 비오는 날 사악한 악당이 범죄를 준비하는 장면에서 쓰이기 딱 좋은 그런 음산한 분위기를 마구 풍기는 것이다.<br/>
물론 그 앞면도 마찬가지의 구성이다. 앞면에 있는 곡들도 짧긴 하지만 피아노 위주의 연주를 미니멀하게 구사하여 깔끔하긴 하지만 듣는이에게 절대 친숙한 느낌을 들지 않게한다.<br/>
에노는 이 앨범에 자신이 추구했던 두가지 실타래가 담겨있다고 했다. 그 하나는 아프리카 음악(특히 펠라 쿠티[[FelaKuti]])이고 다른 하나는 마하비쉬누 오케스트라[[MahavishnuOrchestra]]가 만들어내었던 그 미궁처럼 묘한 멜로디이다. 에노는 이 앨범의 하모니쪽은 재즈에서 리듬쪽은 훵크나 댄스뮤직에서 많이 가져왔다고도 말했다.<br/>
작가의 말이니 믿는 수밖에 없지만 사실 나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에노는 자신이 그동안 해왔던 것들 중에서 일부를 지지고 볶아 또 낸 것일 뿐이며 그 중심에 에노는 솔로 피아노 연주를 넣은 것이다. 그가 아프리카 리듬에 관심 가진 것이 어제 오늘의 일도 아니었고 이 앨범에서 펠라 쿠티나 마하비쉬누 오케스트라를 느끼는 것은 설운도가 Set the Controls for the Heart of the Sun을 부르는 것 만큼이나 거리가 멀다. 여기서 아무래도 강하게 느껴지는 것은 사티(Eric Satie, 1866-1925)의 영향이다. 에노는 한동안 씁쓸한sour 음악이 아니면 듣지 않았다고 했다. 다른 음악들이 충분히 씁쓸하지 않았는지 에노는 자기가 직접 만들고 만다.<br/>
일본반에는 Swat & Rut, Slicing System, Sharply Cornered이 담긴 보너스 시디가 함께 들어있었다.
 
#  Slip, Dip (Eno)
#  But If (Eno)
#  Belgian Drop (Eno)
#  Cornered (Eno)
#  Block Drop (Eno)
#  Out/Out (Eno)
#  Swanky (Eno)
#  Coasters (Eno)
#  Blissed (Eno)
#  M.C. Organ (Eno)
#  Boomcubist (Eno)
#  Hazard (Eno)
#  Rayonism (Eno)
#  Dutch Blur (Eno)
#  Back Clack (Eno)
#  Dear World (Eno)
#  Iced World (Eno)
 
* 1997
 
Nick Robertson  -  Cover Assembly
Brian Eno  - Artwork
Ben Fenner  -  Assembly
 
[http://music.hyperreal.org/artists/brian_eno/thedrop.html 영어 설명]
 
== # Brian Eno / Peter Schwalm : Music for Onmyoji ==
http://images.amazon.com/images/P/B00004SF5Z.09.LZZZZZZZ.jpg 완성도 4.5 우선순위 2
 
일본은 각종 엔터테인먼트 산업이 발달하다보니 독특한 문화상품이 나오곤 하는데 아마 이미지 앨범이라는 것도 그중 하나일 것이다. 만화나 책이 인기를 얻으면 그 만화에 어울릴만한 음악을 모아 가상 사운드트랙 음반을 내는 것이다. 애니메이션이 인기를 얻으면 OST뿐만 아니라 그 OST에 관련된 프로젝트성 CD가 열장가까이 나오는 경우도 있는 나라니 말 다했다. <br/>
만화의 신 데스카 오사무手塚治蟲의 며느리이기도 한 오카노 레이코岡田玲子의 명작 음양사陰陽師(93~99) 역시 영화, 드라마화 할만큼 히트를 친 베스트셀러였고 그 이미지 앨범이 바로 이 작품이다. Music for 陰陽師[[OnMyoJi]]라고 발매된 이 앨범은 두장으로 이루어져있다. 한장은 레이가쿠샤伶樂舍라는 가가쿠雅樂집단의 연주인데 우리나라로 치면 전문 궁중음악단 정도로 생각하면 되겠고 나머지 한장이 우리의 주인공 에노의 작품이다. <br/>
얀 페터 슈바름J. Peter Schwalm이라는 아티스트는 70년생으로 독일의 실험적 재즈밴드 슬립 샵Slip Shop의 드러머이다. 때마침 홀거 츄케이와 함께 독일에 있던 에노가 슬립 샵의 공연을 보고 함께 연주했던 것이 계기가 되어 지금까지 에노와 활동하고 있다. 슬립 샵 활동또한 병행하고 있다. 항상 남들에게 특효약을 제공하던 에노에게도 젊은 피가 필요했나보다. <br/>
어쨌든 에노와 슈바름이 함께한 첫 작품인 이 앨범은 에노의 악명높은 설치미술 음악들을 연상시키는, 아주 변화가 적은 그런 앰비언트 작품이다. 음양사라는 작품이 헤이안平安시대를 배경으로 한 상당히 고풍스러운 만화이기 때문에 이 앨범에서도 그런 이미지를 차용했을거라는 생각이 들긴하는데 글쎄 개인적 생각이지만 에노는 이 만화를 읽지 않았다. 아마도 에노는 배경설명을 좀 듣고 그림 몇개 본 다음에 그것으로 혼자 상상하지 않았는가 하는 생각이 든다. 마지막 트랙인 Faraway Suns같은 경우는 일본적인 냄새가 조금 나긴 하지만 나머지 곡에서는 그런 느낌도 별로 들지 않는다. 만화책과 함께 보면 당연히 그 효과를 낼 음반이긴 하지만 글쎄 그것을 듣기위해 4000엔이나 하는 이 음반을 구매하라고 하고싶진 않다. 홀로그램과 투명 비닐로 된 특이한 외양을 하고있으며 에노와 슈바름의 작품보다는 레이가쿠샤의 연주에 더 의미를 두는 것이 좋다. 러닝타임도 30분이 채 안된다. <br/>
 
1.Star Gods 2.Six Small Pictures 3.Connecting Heaven to Earth 4.Little Lights 5.The Milky Way 6.Faraway Suns
 
* 2000
 
== # Brian Eno and J. Peter Schwalm : Drawn from Life ==
http://image.allmusic.com/00/amg/cov200/dre800/e875/e87554csxld.jpg 완성도 5 우선순위 1
 
에노와 슈바름이 내놓은 두번째 협연이다. 이것은 전작 Music for [[OnMyoJi]]와는 전혀 색깔이 다르고 오히려 와블과 함께했던 Spinner와 유사하다 하겠다. Spinner에서 에노의 기본 트랙 위에 와블이 리듬섹션을 입혔다면 여기서는 에노와 슈바름이 함께 리듬, 멜로디, 효과음 등을 고루 사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다르다. <br/>
이 앨범은 또한 On Land의 21세기 버젼이라고 해도 좋겠다. On Land에서 사용했던 각종 에스닉한 리듬, 목소리와 같은 땅의 소리가 여기서는 좀 더 세련된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br/>
하지만 이제 이런 것들은 에노가 아니더라도 할 수 있는 사람이 많고 어쩌면 그들이 더욱 잘하는지도 모른다. 에노는 어느 순간부터 자신의 틀 안에 안주하고있는 것처럼 보인다. <br/>
어쩌면 에노는 슈바름이 조심스러웠는지도 모르겠다. 슈바름의 참여는 에노에게는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다 줄 수도 있었을 기회였다. 마일즈 데이비스가 과격하게 아프리카 리듬과 일렉트릭 재즈락을 받아들여 자신의 스타일을 완전히 뒤바꾼 것 처럼 스스로를 혁신시킬 계기였을수도 있었다. 슈바름은 재즈, 힙합 등에 대해 잘 아는 DJ였으니 말이다. 그런데 에노는 여기서 슈바름을 자신의 틀 안에 가둔채 그동안 해오던 것을 그냥 계속 하고있다. <br/>
물론 에노의 작품이니 언제나처럼 괜찮은 음반이다. 그리고 이전 작품들에 비해 세련된 앰비언트 작품이고 느슨하게 다른 무언가를 하면서 듣기에 좋다. 하지만 이렇게 에노의 실험을 따라온 팬으로서 에노의 근래 행보는 분명 아쉽다.
 
#    From This Moment  - 1:22
#    Persis  - 7:41
#    Like Pictures, Pt. 1  - 1:20
#    Like Pictures, Pt. 2  - 5:48
#    Night Traffic  - 8:19
#    Rising Dust  - 7:44
#    Intenser  - 5:23
#    More Dust  - 6:03
#    Bloom  - 9:40
#    Two Voices  - 7:38
#    Bloom (Instrumental) [instrumental] - 7:09
 
* 2001
 
Laurie Anderson  -  Vocals, Voices
Holger Czukay  -  Dictaphone
Brian Eno  -  Composer, Band, Producer, Engineer, Artwork, Cover Art
Wolfman  -  Mastering
Duchess Nell Catchpole  -  Strings, Vocals
Peter Fey  -  Engineer, Live Recording
Jan Peter Schwalm  -  Composer, Band, Engineer, Mixing, Pre-Mastering, Pre-Mixing
Leo Abrahams  -  Guitar


; Installation BGM albums
* [[Brian Eno - Extracts From Music for White Cube|Extracts From Music for White Cube]] 1997
* [[Brian Eno - I Dormienti|I Dormienti]] 1998
* [[Brian Eno - Lightness: Music for the Marble Palace|Lightness: Music for the Marble Palace]]
* [[Brian Eno - Kite Stories|Kite Stories]] 1999
* [[Brian Eno - Music for Civic Recovery Centre|Music for Civic Recovery Centre]] 2000
* [[Brian Eno - Compact Forest Proposal|Compact Forest Proposal]] 2001
* [[Brian Eno - January 07003: Bell Studies for the Clock of the Long Now|January 07003: Bell Studies for the Clock of the Long Now]] 2003
* [[Brian Eno - Making Space|Making Space]] 2010
}}
----
----
{{Z컬럼|2|
; with [[Roxy Music]] or [[Phil Manzanera]]
* [[Roxy Music - Roxy Music|Roxy Music]] 1972
* [[Roxy Music - For Your Pleasure|For Your Pleasure]] 1972
* [[801 - Live]] 1976
* [[Phil Manzanera - Diamond Head]]


:http://music.hyperreal.org/artists/brian_eno/
; [[Fripp]] & Eno
:http://www.ibiblio.org/mal/MO/eno/
* [[Fripp & Eno - (no pussyfooting)|(no pussyfooting)]] 1973
:http://allmusic.com/cg/amg.dll?p=amg&sql=B8gq8g4jttv8z
* [[Fripp & Eno - Evening Star|Evening Star]] 1975
* [[Fripp & Eno - Beyond Even|Beyond Even]] 1992-2006
* [[Fripp & Eno - The Equatorial Stars|The Equatorial Stars]] 2004


:http://users.erols.com/mantis2/index.html LP트랙들
; [[Cluster]]
* [[Cluster & Eno]] 1977
* [[Eno / Moebius / Roedelius - After The Heat|After the Heat]] 1978


== # 메이저 락 앨범 디스코그래피 ==
; with [[David Bowie]]
#      1973    -     Eno Brian                                -      Here Come The Warm Jets
* [[David Bowie - Low]] (1977)
#      1974    -     Eno Brian                                -      Taking Tiger Mountain
* [[David Bowie - "Heroes"]] (1977)
#      1975    -      Eno Brian                                -      Another Green World
* [[David Bowie - Lodger]] (1979)
#      1976    -      Eno Brian                                -      Before And After Science
* [[David Bowie - Outside]] (1995)
#      1976    -      Harmonia 76                              -      Tracks & Traces
#      1977     -      Cluster & Eno                            -      Cluster & Eno
#      1977    -      Eno-Moebius-Roedelius-Plank      -     Begegnungen I & II
#      1978    -      Eno-Moebius-Roedelius    -      After The Heat
#      1981    -      Eno Brian / Byrne David                 -     My Life In The Bush Of Ghosts
#      1990    -      Eno / Cale                              -      Wrong Way Up
#      1992    -      Eno Brian                                -      Nerve Net
#      1995     -      Eno / Wobble                            -      Spinner
#      2001    -      Eno Brian / Schwalm Peter                -      Drawn For Life


* 76-78년 사이에 독일에서 해왔던 크라우트락 뮤지션과의 공동작업도 앰비언트/일렉트로닉 성향이 짙으나 크라우트락 뮤지션들이 주도한 앨범들이고 에노는 앰비언트에 대해 모색하는 단계였다고 생각되므로 여기에 포함했다.
; with [[David Byrne]] or [[Talking Heads]]
* 이중 Nerve Net이후의 세 작품은 일렉트로닉스적인 경향이 강하지만 락적인 성향 또한 많이 섞여있으므로 여기에 포함시켰다.
* [[Talking Heads - More Songs About Buildings and Food]] (1978)
* [[Talking Heads - Fear of Music]] (1979)
* [[Brian Eno + David Byrne - My Life in the Bush of Ghosts|My Life in the Bush of Ghosts]] 1981
* [[Talking Heads - Remain in Light]] (1980)
* [[Brian Eno + David Byrne - Everything That Happens Will Happen Today|Everything That Happens Will Happen Today]] 2008


== # 촌평 ==
; with [[James]]
* [[James - Laid]] (1993)
* [[James - Wah Wah]] (1994)
* [[James - Whiplash]] (1997)
* [[James - Millionaires]] (1999)


----
; with ...
* [[Jon Hassel / Brian Eno - Fourth World, Vol. 1: Possible Musics]] 1980
** Jon Hassell - Dream Theory In Malaya (Fourth World Volume Two) 1981
** Jon Hassell / Farafina - Flash of the Spirit 1988
* [[Harold Budd/Brian Eno - The Pearl]] 1984
* [[Eno / Cale - Wrong Way Up]] 1990
* [[eno / wobble - SPINNER|Spinner]] 1995
* [[Brian Eno - Tracks and Traces|Tracks and Traces]] 1997
* [[Brian Eno & J. Peter Schwalm - Music for Onmyoji]] 2000
* [[Brian Eno & J. Peter Schwalm - Drawn from Life]] 2001


[[분류:대중음악]]


* [[Brian Eno - 01-Jun-74|01-Jun-74]] 1974
* [[Brian Eno - Lady June's Linguistic Leprosy|Lady June's Linguistic Leprosy]]
* [[Brian Eno - In a Land of Clear Colours|In a Land of Clear Colours]] 1979
* [[Brian Eno - (a.k.a. Robert Sheckley's In a Land of...)|(a.k.a. Robert Sheckley's In a Land of...)]]
* [[Brian Eno - All Saints|All Saints]]
* [[Brian Eno - Beyond Even|Beyond Even]] 2007
* [[Brian Eno - (a.k.a. The Cotswold Gnomes)|(a.k.a. The Cotswold Gnomes)]]
* [[Brian Eno - Small Craft on a Milk Sea|Small Craft on a Milk Sea]] 2010
* [[Brian Eno - Drums Between the Bells|Drums Between the Bells]] 2011
* [[Brian Eno - Panic of Looking|Panic of Looking]]
* [[Brian Eno - Someday World|Someday World]] 2014
* [[Brian Eno - High Life|High Life]]
}}


----
[[분류:영국 록]]
 
[[분류:대중음악]] [[에노의초상화]]

2025년 2월 14일 (금) 10:17 기준 최신판

1 참고[ | ]

2 촌평[ | ]

5199 발신: Jeong Cheol <zepelin@h...> 날짜: 2003/5/26 (월) 1:29am 제목: 에노에 관하여...

동훈님께서 에노에 관심이 생기셨다니 좋은 일이네요.
어쩌다보니 이 인간에 애정이 생겨...
어이없게 모으기 시작했던 저로서는 같이 악의 구렁텅이에 빠진 듯 하여 즐겁습니다.
제 개인적인 생각은 예바동 사이트에도 대충 다 올려놨구요.
기본적인 추천작을 몇개 적어보죠.

사실 이정도가 입문이라고 할 수 있으니 역시 에노는 거물입니다...-_-

1.글램 or 글램리스(?) Here Come the Warm Jets Taking Tiger Mountain (By Strategy) Another Green World Before and After Science Brian Eno / John Cale : Wrong Way Up 롱 웨이 업을 제외하곤 모두 초기인데...
사실 놀라울만큼 창조력이 발휘된 시기입니다.
왜 에노가 이런 음악을 이후 포기했는지 원망이 들 정도이지요.
모두 우선 구매대상이지만 역시 한장을 고르라면 Here Come the Warm Jets가 아닌가 해요.

2.이상한 코워커 에노는 클러스터와의 협연을 비롯해 헤롤드 버드, 데이빗 번, 로버트 프립 등 수많은 코웍 작품을 남겼는데 이중 가장 주목할만한 것은 이정도 같아요.
Brian Eno & David Byrne : My Life In The Bush Of Ghosts Fripp & Eno : (no pussyfooting) eno / wobble : SPINNER 이 세 작품은 고르고 고른거라서 뺄게 없구요. 모두 단순 앰비언트는 아닙니다.
모두 비트에 대한 탐닉을 추구해본 대단한 작품들입니다.

3.앰비언트의 대주주 Ambient 1 : Music for Airports Ambient 4 : On Land Discreet Music Harold Budd / Brian Eno : The Pearl Jon Hassel / Brian Eno : Fourth World vol.1 : Possible Musics 이중 역시 최강은 공항을 위한 음악 같아요.
Discreet Music과 함께 현대음악과의 접점에 가장 근접한 스타일인데...
뭐랄까 상당히 편안하면서도 쉽게 익숙해지기 힘든 그런 음악을 들려줍니다.

4.비아그라(?) 프로듀서 에노는 뮤지션의 역량을 최고로 뽑아주는 프로듀서로도 유명하지요.
그 뮤지션들의 디스코그래피에서 에노가 있고 없고는 엄청난 차이를 보입니다.
이렇게 영향이 강한 프로듀서는 락계를 몽땅 뒤져도 에노 외에는 전 못찾겠더군요.
David Bowie : "Heroes" U2 : Achtung Baby Talking Heads : Remain in Lights James : Whiplash 이렇게 뮤지션당 한장씩 추천해봅니다.

3 음반 목록[ | ]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