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경 16장

1 내용[ | ]

번역 원문

비움의 극에 이르고, 고요함을 두텁게 지키라.
모든 것은 함께 생기나, 나는 그 돌아감을 본다.
그것들은 모두 살아가지만, 결국 저마다 그 뿌리로 돌아간다.

뿌리로 돌아가는 것을 고요함이라 말하니 그것은 순리를 따르는 것이다.
순리를 따르는 것을 변함없다 말하며 변함없음을 아는 것을 밝다 말한다.
변함없음을 알지 못하면 거짓되어 나쁜 일을 하게된다.

변함없음을 아는것은 너그러움이고 너그러우면 공정하며,
공정하면 널리 미치고 널리 미치는 것은 하늘이며,
하늘은 도를 따르고 도는 오래가니,
죽을때까지 위태롭지 않다.

致虛極, 守靜篤.
萬物並作, 吾以觀復.
夫物芸芸, 各復歸其根.

歸根曰靜, 靜曰復命,
復命曰常. 知常曰明,
不知常, 妄作凶.

知常容, 容乃公,
公乃全, 全乃天,
天乃道, 道乃久,
沒身不殆.


  • 靜篤정독 : 고요함을 두텁게 하다. ‘돈독敦篤하다’는 우리말처럼 쓰인다.
  • 吾以觀復오이관복 : 以는 萬物竝作을 받아, 나는 이로써 돌아감을 본다.
  • 芸芸운운 : 꽃이 무성히 핀 모양, 우리말처럼 쓰인다.
  • 命명 : 순리를 뜻하는 말로 도의 한 측면을 나타낸다.
  • 妄망 : 거짓됨, ‘망녕妄靈들다’는 우리말처럼 쓰인다.
  • 凶흉 : 나쁜것.
  • 全전 : 널리 미침.
판본에 따라 王으로 쓰여있는 것이 있는데 전체적 맥락에서 王을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하는 문제는 중요하다. 도덕경을 제왕학으로 보는 사람들은 도덕경 전체에 나오는 王을 그대로 보고 있으나 그렇다면 그것은 너무 편협하지 않느냐라는 의견도 있다. 원래 王이었는지 아니면 누군가가 정치적 의도를 가지고 몇몇 구절을 王으로 고쳤는지는 알수없다.
  • 沒몰 : 저물다. 日沒일몰.
  • 殆태 : 危殆위태.

순리대로 살라고 하고있다. 허나 순리란 또 무엇인가? 속된말로 *리는대로 살라는 것은 아니지 않겠는가. 나는 그저 이기적으로 살다가 가끔 양심에 미안하면 조금씩 이타적이 되는거 같다. 그나마 가끔 이타적인것도 결과적으로는 내가 살기 위해서 그렇게 되는 것이다. 그저 자신을 위해 충실히 사는 것이 순리대로 사는 것인가?
여기서는 변함없음을 지키면 그것이 도에 따르는 삶이라 말한다. 자주 보이는 점증적인 논법이다. 어디서 봤는지는 모르겠는데 一以貫之일이관지라는 말과 뜻이 통한다 하겠다. 이는 한가지 삶의 원리로 세상 모든 이치를 꿰는 사람이 되고자 하는 나의 생각과 일치한다.

2 같이 보기[ | ]

도덕경
상편 하편

3 참고[ | ]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