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C 연기대상 | |
---|---|
주최 | MBC 드라마본부 |
장소 | 서울 상암동 MBC 공개홀 |
나라 |
![]() |
첫 시상 | 1974년 |
텔레비전 방영 | |
방송사 | MBC TV |
MBC 연기대상(영어: MBC Drama Awards)은 한 해 동안 MBC 드라마에서 연기를 한 연기자들에게 상을 수여하는 시상식으로, 1974년부터 매년 12월 30일에 개최된다. 1974년에는 MBC 전속 탤런트들에게만 시상을 했지만, 1975년부터 MBC 소속 탤런트뿐만 아니라, 코미디언, 성우까지 시상 범위를 넓혔다. 초기의 명칭은 MBC 탤런트연기상(74), MBC배 유공연기자 시상식(75), MBC 연기상(76), MBC 최우수연기자 시상식(77), MBC 연예대상(77), MBC 방송연기상(78~82)이었다. 1974년부터 1976년, 1978년까지는 문화방송 경향신문 통합창사기념식에서 시상을 했지만(1977년에는 연예대상 수상자들이 수상 및 기념공연), 1979년부터 1980년까지는 자체로 시상식을 열고 수상자들이 MBC 송년특집쇼에 출연했다. 1981년, 1982년에는 송년특집쇼에서 시상식과 공연, 장기자랑을 병행했다.
1983년부터 MBC 연기대상을 단독으로 진행했으며, 1991년부터 1994년까지 시상식 명칭이 MBC 방송대상으로 바뀌었다가 1995년부터는 코미디 부문과 라디오 부문 시상식이 분리 신설되어 다시 MBC 연기대상이 되었다. 2011년에는 연기대상을 드라마대상으로 수상하는 MBC 드라마대상으로 시상식 명칭을 교체하였으나 2012년에 다시 MBC 연기대상으로 교체하였다. 2014년부터 2016년까지는 대상을 실시간 문자투표로 뽑았으며 2017년부터 대상은 전문가 및 드라마 평론가의 심사를 통해 선정하고 있다.
1 타이틀 변천사[ | ]
- 1대 MBC 탤런트연기상 : 1974년
- 2대 MBC 유공연기자 시상식 : 1975년
- 3대 MBC 연기상 : 1976년
- 4대 MBC 최우수연기자 시상식/MBC 연예대상 : 1977년
- 5대 MBC 방송연기상 : 1978년 ~1982년
- 6대 MBC 연기대상 : 1983년 ~ 1990년
- 7대 MBC 방송대상 : 1991년 ~ 1994년
- 8대 MBC 연기대상 : 1995년 ~ 2010년
- 9대 MBC 드라마대상 : 2011년
- 10대 MBC 연기대상 : 2012년 ~ 현재
2 역대 대상 수상자[ | ]
1974년부터 시상을 시작해 1984년까지는 최우수상(또는 주연상)이 대상격이었다.[1] 그리고 1983년부터 연기대상이라는 시상식이 개최되기 시작했고 1985년부터 '대상'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1](출처[2][3])
2.1 1984년 이전[ | ]
회차 | 부문 | 수상자 | 출연작 | 출처 |
---|---|---|---|---|
1974년 | 최우수연기상 | 최불암 김혜자 |
강남가족 | [2] |
1975년 | MBC배 탤런트부문 최우수연기상 | 전운 정혜선 |
효자문 갈대 |
[3] |
1976년 | 텔런트부문 최우수연기상 | 김무생 김자옥 |
집념, 사미인곡 쇠랑산 처녀 |
[4] |
1977년 | 텔런트부문 최우수연기상 | 이정길 이효춘 |
- | [5] |
1977년 | 대상[4] | 최불암 | - | [6] |
1978년 | TV부문 주연상 | 이정길 김혜자 |
뜨거운 손 당신 |
[7] |
1979년 | TV부문 주연상 | 오지명 정혜선 |
엄마, 아빠 좋아 113 수사본부 - 남과 북의 두아들 |
[8] |
1980년 | TV부문 주연상 | 최불암 김영란 |
[9] | |
1981년 | TV부문 최우수상 | 조경환 김영란 |
호랑이선생님 교동마님 |
[10] |
1982년 | TV부문 주연상 | 박규채 이미숙 |
제1공화국, 공주갑부 김갑순 여인열전 - 장희빈 |
[11] |
1983년 | TV부문 최우수상 | 정혜선 | 간난이 | [12] |
1984년 | 드라마부문 최우수상 | 정애리 원미경 |
사랑과 진실 | [13] |
2.2 1985년 이후[ | ]
회차 | 수상자 | 출연작 |
---|---|---|
1985년 | 김용림 | 억새풀, 영웅시대 |
1986년 | 김수미 | 전원일기, 남자의 계절 |
1987년 | 이덕화 | 사랑과 야망 |
1988년 | 김혜자 | 모래성 |
1989년 | 원미경 | 행복한 여자 |
1990년 | 고두심 | 춤추는 가얏고 |
이후 방송대상 | ||
1991년 | 김희애 | 산너머 저쪽 |
1992년 | 김혜자 | 사랑이 뭐길래, 전원일기 |
1993년 | 김희애 | 아들과 딸, 폭풍의 계절 |
1994년 | 채시라 | 서울의 달, 아들의 여자 |
이후 연기대상 | ||
1995년 | 채시라 | 아들의 여자, 아파트, 최승희 |
1996년 | 김혜수 | 짝, 사과꽃 향기 |
1997년 | 최진실 | 별은 내 가슴에, 그대 그리고 나 |
1998년 | 김지수 | 보고 또 보고 |
1999년 | 김혜자 | 장미와 콩나물 |
2000년 | 전광렬 | 허준[5] |
2001년 | 차인표 | 그 여자네 집[6] |
2002년 | 장서희 | 인어 아가씨 |
2003년 | 이영애 | 대장금 |
2004년 | 고두심 | 한강수타령 |
2005년 | 김선아 | 내 이름은 김삼순[7] |
2006년 | 송일국 | 주몽[8] |
2007년 | 배용준 | 태왕사신기[9] |
2008년 | 김명민 송승헌 |
베토벤 바이러스 에덴의 동쪽 |
2009년 | 고현정 | 선덕여왕[10] |
2010년 | 김남주 한효주 |
역전의 여왕 동이 |
이후 드라마대상 | ||
2011년 | 드라마대상 | 최고의 사랑 |
이후 연기대상 | ||
2012년 | 조승우 | 마의[11] |
2013년 | 하지원 | 기황후[12] |
이후 연기대상 (시청자들의 문자 투표로 시상) | ||
2014년 | 이유리 | 왔다! 장보리[13] |
2015년 | 지성 | 킬미 힐미 |
2016년 | 이종석 | W |
이후 연기대상 | ||
2017년 | 김상중 | 역적 : 백성을 훔친 도적 |
2018년 | 소지섭 | 내 뒤에 테리우스 |
2019년 | 김동욱 | 특별근로감독관 조장풍 |
2020년 | 박해진 | 꼰대인턴 |
3 역대 부문별 수상자[ | ]
3.1 1970년대 연기대상[ | ]
3.2 1980년대 연기대상[ | ]
3.3 1990년대 연기대상[ | ]
3.4 2000년대 연기대상[ | ]
3.5 2010년대 연기대상[ | ]
3.6 2020년대 연기대상[ | ]
4 진행자[ | ]
순번 | 연도 | MC (진행자) |
---|---|---|
1 | 1985 | 변웅전 |
2 | 1986 | 이덕화, 송옥숙 |
3 | 1987 | 최불암 |
4 | 1988 | 변웅전 |
5 | 1989 | 변웅전, 백지연 |
6 | 1990 | 변웅전, 정보영 |
7 | 1991 | 한선교, 정보영 |
8 | 1992 | 차인태, 김은주 |
9 | 1993 | 한선교, 이경규 |
10 | 1994 | 이문세, 박소현 |
11 | 1995 | 이재룡, 신은경 |
12 | 1996 | 이수만, 허수경 |
13 | 1997 | 신동호, 채시라 |
14 | 1998 | 신동호, 김지수 |
15 | 1999 | 신동호, 김현주 |
16 | 2000 | 신동호, 황수정 |
17 | 2001 | 신동엽, 김남주 |
18 | 2002 | 박수홍, 성유리 |
19 | 2003 | 서경석, 성유리 |
20 | 2004 | 유재석, 성유리, 김제동 |
21 | 2005 | 박수홍, 정려원 |
22 | 2006 | 유재석, 한예슬 |
23 | 2007 | 신동엽, 현영 |
24 | 2008 | 신동엽, 한지혜 |
25 | 2009 | 이휘재, 박예진 |
26 | 2010 | 김용만, 이소연 |
27 | 2011 | 정준호, 이하늬 |
28 | 2012 | 김재원, 손담비 |
29 | 2013 | 이승기, 한지혜 |
30 | 2014 | 신동엽, 수영 |
31 | 2015 | 신동엽, 이성경 |
32 | 2016 | 김국진, 유이 |
33 | 2017 | 오상진, 김성령 |
34 | 2018 | 김용만, 서현 |
35 | 2019 | 김성주, 한혜진 |
36 | 2020 | 김성주 |
37 | 2021 |
5 뒷이야기 및 논란[ | ]
- 배우 고두심은 1989년, 2004년, 2015년 (KBS), 1990년, 2004년 (MBC), 2000년 (SBS) 에서 각각 연기대상을 수상하여 연기대상 최초 그랜드슬램 수상자로 기록되어 있다.
- 배우 김혜자는 1988년, 1992년, 1999년 수상, 고두심은 1990년, 2004년 수상, 김희애는 1991년, 1993년 수상, 채시라는 1994년, 1995년 수상으로 MBC 연기대상 최다 수상자로 기록되어 있다.
- 2004년 연기대상 시상식에서 드라마 《한강수타령》의 저조한 시청률과 화제성, 연기력 등의 호평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대상에 고두심을 비롯해, 남녀 최우수연기상에 최민수와 김혜수, 우수연기상에 김석훈과 김민선, 공로상에 최종수 PD 등 몰아주기 시상으로 공정성에 많은 비판이 쏟아지기도 했다.[15]
- 2008년 연기대상 사상 처음으로 대상을 두 배우가 공동수상하면서 논란이 일었으며[16][17] 2년 뒤인 2010년에도 공동수상이 일어나면서 비판을 받았다. [18]
- 2010년 연기대상에서 대상을 받은 한효주는 수상 당시 23살로 MBC 연기대상 역대 최연소 대상 수상자로 기록되어 있다.
- 2011년 연기대상은 그 동안 배우에게 대상을 주던 연기대상에서 작품에게 대상을 주는 드라마대상으로 바뀌었다. 이는 같은 해 MBC 방송연예대상에서 방송연예대상이 '최고의 프로그램'에게 대상을 주는 것으로 바꾸면서, 덩달아 연기대상까지 작품에게 주는 것으로 바뀌었다. 이로 인해 논란이 많았으며, 이 후 2012년부터 대상을 원래대로 배우에게 주는 것으로 바뀌었다.
- 2012년 연기대상은 동시간대 시청률 1위를 기록하며 좋은 연기력을 선보인 '마의' 조승우의 대상 수상 자체에는 이견이 없었으나, 유력한 대상 후보 중 한명이었던 '빛과 그림자'의 안재욱이 이 시상식에서 아무런 상도 타지 못한채 무관에 그치며 논란이 일었다.[19]
- 2013년 연기대상은 후보에 오른 연기자들이 대부분 참석을 하지 않아 반쪽짜리 시상식이라는 평을 받았다.[20] 이전의 연기대상에서 지적을 받은 공동 수상과 밀어주기 논란 등은 2013년 연기대상에서도 이어졌으며, 역사왜곡으로 논란이 일었던 드라마 《기황후》는 대상, 올해의 작가상 등 다수의 상을 수상하였는데, 총 50부작 방영 예정으로 시상식이 열리는 당시에는 기껏해야 18회 밖에 방송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시청률이나 공헌도 면에서 다른 작품보다 압도적이지도 않은 '《기황후》 밀어주기'라는 지적을 받았다. 더군다나 당시 몇몇 아이돌 출신의 배우들이 수상소감에서 비교적 불성실한 태도를 보인 것이 네티즌들의 많은 불만을 야기했다. 특히, 아이돌 출신 배우 S양의 소감을 보고있던 연기파 배우 J군이 불쾌한 표정으로 보고있었다는 점이 논란이 되어 S양의 수상소감이 실시간 검색순위에서 상위권에 오르는 등 큰 논란을 일으켰다. 이에 대해 S양의 소속사 측은 가수, 예능인이 아닌 배우로써의 첫 수상소감이라 서투른 부분이 있었다며 사과했고 J군 측은 자신이 지었던 표정은 오해라며 정정보도를 요청하기도 했다.[21]
- 2014년 연기대상부터는 수상자 선정에 있어서 기존의 심사와는 다르게 대상 후보는 MBC 드라마본부장, 드라마 평론가, 시청자위원회 위원, 탤런트협회 관계자, 촬영감독연합회 관계자, PD연합회 관계자, 대중문화 전문교수 등으로 구성된 심사자문위원단이 결정을 하고, 최종 수상자는 시청자들의 문자 투표 비율 100%로 결정되는 것이 발표되었다. 이에 대해 네티즌들과 언론에서는 MBC의 결정이 선뜻 이해하기 어렵다는 반응이었다. 이는 엄연히 인기상 부문이 있는데도 시청자 투표로 대상을 뽑는 의도가 분명치 않는다. 또한 전문가들의 심층적이고 날카로운 평가는 최종 선정 단계에선 전혀 반영되지 않는다는 것과, 더불어 팬들이 많고 투표에 적극적인 배우의 팬층일수록 대상 수상에 절대적으로 유리하게 된다. 그리고 드라마를 위해 땀방울을 쏟은 배우들의 사기 저하도 염려될 뿐만 아니라 아무리 연기를 잘해도 인기가 없으면 대상 받기가 어려워졌으며, 대상 트로피의 권위가 떨어질 우려가 있다는 이유이다.[22][23]
- 2017년 연기대상에서 역적에 출연한 배우들 대부분이 상을 받았으나 주연 배우인 윤균상만 상을 받지 못했는데 타 방송사 드라마 촬영 일정으로 인해 시상식에 불참을 해서 상을 받지 못했다는 논란이 있었다.[24]
- 2018년과 2019년 연기대상은 최우수 연기상 수상자가 자동으로 대상 후보가 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이에 따라 2018년 연기대상은 대상 수상자인 소지섭을 포함하여 최우수 연기자상 수상자만 무려 10명에게 수여됐으며[25] 2019년 연기대상은 대상 수상자인 김동욱을 포함하여 총 7명에게 최우수 연기자상이 수여됐다. 하지만 최우수 연기상 수상이 유력했던 배우들이 시상식장에 불참했다는 이유로 아무런 상도 타지 못한 채 무관에 그치는 경우가 발생하면서 수상자 선정에 대해 논란이 일었다.[26]
- 2020년 연기대상은 2시간 10분 정도 생방송이 진행되면서 최근 연기대상 중 가장 짧은 방송 시간을 기록했으며 시상 부문 또한 이전에 진행됐던 연기대상에 비해 훨씬 많이 줄어들었다. 대상은 박해진이 수상했으며 베스트 커플상은 방송이 종료된 후 온라인으로 수상자를 발표하는 풍경까지 연출되었다.[27]
6 같이 보기[ | ]
7 각주[ | ]
- ↑ “最優秀賞(최우수상)에 崔佛岩(최불암)·金惠子(김혜자) MBC제1회 탤런트연기賞(상)”. 매일경제. 1974년 12월 4일. 2016년 12월 17일에 확인함.
- ↑ “'MBC 연기대상', 역대 대상 수상자 공개…올해 후보는?”. 데일리안. 2014년 12월 30일.
- ↑ “<2014 MBC 연기대상> 20년 명단으로 보는 '올해의 수상자', 과연 누구?”. MBC연예. 2014년 12월 30일.
- ↑ 가수, 배우, 코미디언, 탤런트 등 각각 10명씩 총 40명 중에서 1명을 선정하여 대상을 줬다. 관련기사
- ↑ “MBC 연기대상에 전광렬”. 연합뉴스. 2000년 12월 30일.
- ↑ “"MBC 연기대상"에 차인표”. 한국경제. 2001년 12월 31일.
- ↑ “‘삼순이’ 김선아, 2005 MBC 연기대상 수상”. 헤럴드POP. 2005년 12월 31일.
- ↑ “'주몽' MBC 연기대상 싹쓸이”. 조이뉴스24. 2006년 12월 31일.
- ↑ “'2007 MBC연기대상' 의 대상 수상, 배용준에게 돌아가”. 스포츠조선. 2007년 12월 31일.
- ↑ “고현정-이병헌-장서희, 올해 연기대상 '이변은 없다'(종합)”. 아시아경제. 2010년 1월 1일.
- ↑ “조승우, 2012 MBC 연기대상 수상”. 연합뉴스. 2012년 12월 31일.
- ↑ “하지원 'MBC 연기대상' 대상MBC 연기대상 수상자 누구...”. 스포츠조선. 2013년 12월 31일.
- ↑ “이유리, MBC연기대상 대상 ..국민악녀의 역전승(종합)”. 스타뉴스. 2014년 12월 31일.
- ↑ 방송에서는 시상을 하지 않고, 온라인에서만 방송 종료 후 결과가 발표되었다.
- ↑ 최현정 (2004년 12월 31일). “MBC ‘한강수 띄워주기’논란…네티즌들 “속보인다””. 동아일보.
- ↑ 문용성 (2008년 12월 31일). “[MBC연기대상]나눠주기-몰아주기 '눈살'…또 수상 남발”. 아시아경제.
- ↑ 이혜린 (2008년 12월 31일). “김명민-송승헌 공동대상, '온에어' 판박이 "시청자가 바보야?"”. 아시아경제. 2008년 12월 31일에 확인함.
- ↑ 'MBC연기대상' 공동수상 남발+한효주·김남주 대상 수상에 시청자 '싸늘' 아츠뉴스 2010년 12월 31일
- ↑ “매년 논란된 MBC 연기대상, 올해도 또?”. 뉴스엔. 2013년 12월 30일.
- ↑ 'MBC 연기대상' 공동수상 '수두룩'…나눠주기 시상식 여전 2013년 12월 31일 아주경제
- ↑ 2013 MBC 연기대상, 4시간 동안 전파낭비 스포츠조선 2013년 12월 31일
- ↑ “MBC연기대상, 어쩌다 인기대상 돼 버렸나 [이승록의 나침반]”. 마이데일리. 2014년 12월 5일.
- ↑ “시청자에게 선택권 넘긴 MBC연기대상”. 스타뉴스. 2014년 12월 10일. 2017년 9월 8일에 확인함.
- ↑ “2017 MBC 연기대상 '역적' 8관왕 풍년 속 주인공인 윤균상은 없었다”. 부산일보사. 2017년 12월 31일.
- ↑ “[2018 MBC 연기대상] 채시라·이유리에 정재영·소지섭, 최우수상 무려 10명”. 마이데일리. 2018년 12월 31일.
- ↑ “김동욱, 데뷔 15년만에 첫 MBC연기대상!…정재영 무관 충격 대이변 [종합]”. 마이데일리. 2019년 12월 31일.
- ↑ “이변 없었다…'꼰대인턴' 박해진, MBC 연기대상 '대상' 영예[종합]”. 스포티비뉴스. 2020년 12월 30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