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
풀잎마다 이슬
| |
장르 | 드라마 |
---|---|
방송 국가 | 대한민국 |
방송 채널 | MBC |
방송 기간 | 1986년 7월 5일 ~ 1986년 12월 14일 |
방송 시간 | 토, 일 밤 8시 ~ 9시 |
방송 분량 | 1시간 |
방송 횟수 | 42부작 |
연출 | 고석만 |
각본 | 김상열 |
출연자 | 한인수, 김윤경, 윤재미, 김자옥 외 |
여는 곡 | 박미경 - 풀잎마다 이슬 |
음성 | 2채널 스테레오 사운드(아날로그) |
《풀잎마다 이슬》은 1986년 7월 5일부터 1986년 12월 14일까지 방영된 문화방송 주말연속극이다.
1 소개[ | ]
말할 수 없는 사연과 가슴 아픈 삶의 그림자를 끌고 가는 수많은 사람들의 인생, 그 깊은 상처를 보듬어 가는 맑고 사랑스런 소녀의 이야기
2 줄거리[ | ]
미술에 천부적 소질을 지닌 10세 소녀 이슬은 지난 10년 동안 자신을 애정으로 키워준 양부모 승덕과 주혜의 사랑을 받으며 행복하게 살고있다. 어느날 친이모인 상희가 나타나면서 이슬은 자신의 출생의 비밀을 알게 되고, 이슬은 그림 속 여인인 생모를 찾아 낡은 사진을 들고 전국 곳곳을 찾아다니게 된다.
미술 학도인 용태가 흑산도에서 이슬의 친엄마 수희를 찾아 데려오고, 양부모 승덕-주혜와 친부모 수희-인철은 딸 이슬을 놓고 팽팽한 줄다리기를 벌인다. 이슬은 선천성 심장병이라는 진단을 받고, 치료 후 주혜는 이슬을 생모인 수희에게 보내기로 결정한다. 그러나 수희는 승덕 부부에게 이슬을 돌려보내고 자신이 은거했던 흑산도로 홀로 되돌아간다.
3 등장 인물[ | ]
- 윤재미 : 한이슬 역 - 승덕, 주혜 부부의 수양딸, 수희의 친딸
- 한인수 : 한승덕 역 - 이슬의 양아버지
- 김윤경 : 박주혜 역 - 이슬의 양어머니
- 김무생 : 양석찬 역 - 미술 대학 교수, 수희의 스승
- 오경애
- 최봉 : 한 노인 역 - 승덕의 아버지
- 국정환
- 권성덕 : 심 목사 역 - 교회 목사, 수희의 비밀을 알고 있는 인물
- 김은영
- 정혜선 : 인철 모 역 - 인철의 어머니
- 현석 : 유인철 역 - 이슬의 친아버지
- 이운우
- 김지숙
- 정희선
- 박태호
- 김해숙 : 자영 역 - 주혜의 친구
- 윤예희
- 김재강
- 박준수
- 박은미 : 한구슬 역 - 승덕과 주혜 부부의 친딸
- 김자옥 : 백수희 역 - 이슬의 친어머니, 여류화가
- 이휘향 : 백상희 역 - 수희의 동생
- 길용우 : 지용태 역 - 수희를 찾아다니는 미술 학도
- 조경환 : 문경태 역 - 수희의 연인, 양 교수의 제자 (31회부터 출연)
- 문경희 : 국문과 여대생 역
- 한애경
- 심우창
4 수상[ | ]
5 연장[ | ]
- 당초 20회 예정으로 제작되었으나 시청자들의 호응으로 1987년 봄까지 방영하기로 계획이 수정되었다. 하지만 저조한 시청률로 인해 예정보다 이른 42회로 막을 내리게 되었다.[1]
6 참고 사항[ | ]
- 한이슬 역을 맡은 윤재미는 당시 국민학교 4학년이었는데, 연출가 고석만이 서울 시내 초등학교 10여 군데와 어린이 배우 학원에서 골라낸 80여 명 중에서 최종 선발되었으며 캐스팅되었을 때 연기경력은 전무하였다.[2]
- 연속극에서는 드물게 4주분을 미리 촬영하는 등 사전제작을 하였다.[3]
- 초반에는 극에 미스터리 기법을 도입하여 연속극으로 드물게 수준을 갖춘 드라마로 평가되었다.[4]
- 이러한 신선한 감각이 반응을 얻자 생모인 김자옥을 투입시키는 등 원래 각본에 없었던 내용을 삽입, 작품 늘이기를 시작하여 극의 재미가 반감되고 시청률이 저하되었다.[5]
- 친부모가 친딸을 유괴하는 장면을 내보내는 등 어른들의 갈등이 지나치게 첨예화되어 당초 의도를 살리지 못했다는 평을 받았다.[1][6]
7 각주[ | ]
- ↑ 이동: 1.0 1.1 “MBC「풀잎마다 이슬」앞당겨 終放(종방)”. 동아일보. 1986년 12월 3일.
- ↑ 안건혁 (1986년 7월 3일). “MTV「풀잎마다┈」主人公(주인공) 10代(대) 尹在美(윤재미)양"카메라가 다가서면 무서워져요"”. 경향신문.
- ↑ “TV연속극 早期(조기)제작 바람”. 동아일보. 1986년 6월 25일.
- ↑ “MTV「풀잎마다 이슬」첫회부터 突風(돌풍)”. 경향신문. 1986년 7월 7일.
- ↑ “「풀잎마다┈」내일 終映(종영)”. 경향신문. 1986년 12월 13일.
- ↑ “드라마「비뚤어진 家族(가족)관계」묘사 지나쳐”. 동알일보. 1986년 9월 25일.
8 외부 링크[ | ]
- 위키백과 "풀잎마다 이슬"
- 위키낱말사전 "풀잎마다 이슬"
- 다음사전 "풀잎마다 이슬"
- 다음백과 "풀잎마다 이슬"
- 네이버사전 "풀잎마다 이슬"
- 네이버백과 "풀잎마다 이슬"
- 나무위키 "풀잎마다 이슬"
- 리브레 위키 "풀잎마다 이슬"
문화방송 주말연속극 | ||
---|---|---|
이전 작품 | 작품명 | 다음 작품 |
남자의 계절
(1985년 10월 19일 ~ 1986년 6월 29일) |
풀잎마다 이슬
(1986년 7월 5일 ~ 1986년 12월 14일) |
사랑과 야망
(1987년 1월 10일 ~ 1987년 12월 27일) |
편집자 가수티파니영은내아내이자운명
로그인하시면 댓글을 쓸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