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장르 | 홈드라마 |
---|---|
방송 국가 | ![]() |
방송 채널 | MBC |
방송 기간 | 2002년 10월 26일 ~ 2003년 2월 23일 |
방송 시간 | 매주 토·일요일 저녁 7시 55분 |
방송 분량 | 50분 |
방송 횟수 | 36부작 |
기획 | 이재갑 |
연출 | 김남원 |
각본 | 박예랑 |
출연자 | 채시라, 이재룡, 최강희, 류수영 외 |
음성 | 2채널 스테레오 사운드(아날로그) 2채널 돌비 디지털(디지털) 한국어 |
자막 | 청각 장애인을 위한 자막 방송 |
HD 방송 여부 | HD 제작 · 방송 |
외부 링크 | 맹가네 전성시대 홈페이지 |
《맹가네 전성시대》는 2002년 10월 26일부터 2003년 2월 23일까지 방영된 MBC 주말연속극이다.
맹씨 일가의 일상을 그려낸 홈드라마로, 《그대를 알고부터》 후속으로 방영되었는데 막판에는 MBC 인어 아가씨와 주요 설정이 지나치게 비슷해졌다는 지적이 있었다.[1]
1 소개[ | ]
행복은 어디에 있을까 그놈을 찾으러 간다. 불행하기 위해 사는 사람은 없다. 누구든지 행복하게 살고 싶어한다. ‘이러저러하면 난 정말 행복할거야’ 라고 나름대로 행복을 정의하며 그 행복을 갈망하는 우리들. 그러나 그 바램은 쉽게 이뤄지지 않는 듯싶다. 욕망과 소유가 완벽하게 일치할 때, 행복할 거라고 대부분의 사람들은 말한다. 과연 그럴까? 미국이나 유럽보다 더 행복해졌으면 좋겠다는 광고문구에서 볼 수 있는 행복과 방글라데시가 가장 행복지수가 높다는 통계 자료를 통해 판단되는 행복의 차이점은 무얼까? 그건 바로 행복의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에 달린 가치관의 문제 아닐까?
<맹가네 전성시대>는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의 '행복'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돈’이 행복의 만능 열쇠라고 생각하는 남자, ‘사랑’이야말로 행복의 키워드라고 생각하는 여자, ‘사회적 지위’로 명성을 누리는 걸 행복이라 말하는 또 다른 한 남자. 서로 만날 수 없는 삼각형의 꼭짓점과도 같은 이 세 남녀의 사랑과 그들을 둘러싼 가족, 이웃들의 사랑과 다툼, 전쟁과 화해를 통해 우리들이 찾는 진정한 의미의 ‘행복’을 찾아보고자 한다.
2 등장 인물[ | ]
2.1 맹가네[ | ]
2.2 규식이네[ | ]
2.3 그 외 인물[ | ]
- 김영호 : 서상훈, 변호사 역
- 류수영 : 유정재, 의사 역
- 김혜선 : 유정화, 정재의 누나 역
- 수애 : 허주연 역
- 배영선(=채영인) : 현수, 유치원 선생 역
- 방양희 : 혜경, 어린이집 원장 역
- 김한 : 조조 역
- 이병준
- 선우재덕
- 성인자
- 박영지
- 남윤정
- 김기현
- 현숙희
- 정요숙
- 윤희주
- 백종헌
- 김양우
- 김산
- 김은수
- 이도경
- 박소현
- 한상진
- 송성희
- 문보연
- 한규희
- 조명진
- 김철기
- 강용석
- 주우
- 오협
- 염재욱
- 지양명
- 김태현
- 조재혁
- 김일웅
- 김상엽
- 강보라
- 신동미
- 최자혜
- 전익령
- 이상이
3 각주[ | ]
- ↑ 김범석 (2003년 2월 19일). “[TV 포커스] `맹가네`-`인어아가씨` 닮은꼴 유감”. 중앙일보(일간스포츠). 2018년 4월 22일에 확인함.
4 외부 링크[ | ]
- 위키백과 "맹가네 전성시대"
위키낱말사전 "맹가네 전성시대"
- 다음사전 "맹가네 전성시대"
- 다음백과 "맹가네 전성시대"
- 네이버사전 "맹가네 전성시대"
네이버백과 "맹가네 전성시대"
나무위키 "맹가네 전성시대"
- 리브레 위키 "맹가네 전성시대"
- iMBC 맹가네 전성시대 웹사이트
문화방송 주말연속극 | ||
---|---|---|
이전 작품 | 작품명 | 다음 작품 |
그대를 알고부터
(2002년 4월 28일 ~ 2002년 10월 20일) |
맹가네 전성시대
(2002년 10월 26일 ~ 2003년 2월 23일) |
죽도록 사랑해
(2003년 3월 1일 ~ 2003년 8월 17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