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킹 크림슨"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1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9번째 줄: 9번째 줄:


== 음반 목록 ==
== 음반 목록 ==
* ''[[King Crimson - In the Court of the Crimson King]]'' (1969)
* [[King Crimson - In the Court of the Crimson King]] (1969)
* ''[[King Crimson - In the Wake of Poseidon]]'' (1970)
** Crimson King Box / Complete 1969 Sessions
* ''[[King Crimson - Lizard]]'' (1970)
* [[King Crimson - In the Wake of Poseidon]] (1970)
* ''[[King Crimson - Islands]]'' (1971)
* [[King Crimson - Lizard]] (1970)
* ''[[King Crimson - Larks' Tongues in Aspic]]'' (1973)
* [[King Crimson - Islands]] (1971)
* ''[[King Crimson - Starless and Bible Black]]'' (1974)
** Sailors' Tales
* ''[[King Crimson - Red]]'' (1974)
* [[King Crimson - Larks' Tongues in Aspic]] (1973)
* ''[[King Crimson - Discipline]]'' (1981)
** Aspic Box
* ''[[King Crimson - Beat]]'' (1982)
* [[King Crimson - Starless and Bible Black]] (1974)
* ''[[King Crimson - Three of a Perfect Pair]]'' (1984)
** Starless Box
* ''[[King Crimson - THRAK]]'' (1995)
* [[King Crimson - Red]] (1974)
* ''[[King Crimson - The ConstruKction of Light]]'' (2000)
** The Road to Red
* ''[[King Crimson - The Power to Believe]]'' (2003)
* [[King Crimson - Discipline]] (1981)
* [[King Crimson - Beat]] (1982)
* [[King Crimson - Three of a Perfect Pair]] (1984)
** On (and off) The Road
* [[King Crimson - THRAK]] (1995)
** Vrooom / Thrak Box
* [[King Crimson - The ConstruKction of Light]] (2000)
** ProjeKcts
* [[King Crimson - The Power to Believe]] (2003)
** Level Five / Happy With / Heaven & Earth


==#==
==#==
35번째 줄: 44번째 줄:
* [http://m.blog.naver.com/chedragon/50021231742 Best King Crimson Albums Results【ch】]
* [http://m.blog.naver.com/chedragon/50021231742 Best King Crimson Albums Results【ch】]
* [[/40주년 박스]]
* [[/40주년 박스]]
* [[킹 크림슨/인터뷰]]
== 1972 Earthbound ==
{{자켓파일|amazon-images-I-615buwTLPvL.jpg}}
{{거북3}}
* KC의 라이브 음원은 유독 많지만 이 음반 earthbound만의 가치가 몇가지 있다. 1 KC가 공식적으로 내놓은 첫번째 라이브 음원이고 2 단순하면서도 우아한 자켓을 가졌으며 3 이전 시기에 비해 엄청나게 많은 라이브를 하던 시기, 즉 안정된 연주력을 가진 라인업을 드디어 갖췄던 시기의 라이브이다. 공식라이브 주제에 음질도 썩 좋진 않지만 당시 KC가 얼마나 열정적인 연주를 하는 밴드였는지는 충분히 느껴진다. 앨범 미수록 곡들도 담아서 구매욕을 높인건 애교. --[[사용자:Pinkcrimson|Pinkcrimson]] ([[사용자토론:Pinkcrimson|토론]]) 2016년 3월 7일 (월) 00:06 (KST)
* [http://m.blog.naver.com/hallart/90044779490 King Crimson - Earthbound (1972)[오늘의 음반]【ha】]
== 중기 라이브들 ==
* [[Great Deceiver]]
* [http://m.blog.naver.com/superlife815/220198852633 3. 킹 크림슨 P. J. Crook 작품 활용 재킷 시리즈 2탄: The Night Watch (1997)]
==  Beat ==
{{자켓파일|amazon-images-P-B000003S1C.jpg}}
전작과 다음작의 연장격인 음악을 들려주는데 그리 인상깊지 못하다. 그냥 그저 그렇다는 느낌을 주는데 그렇다고 그리 빠지는 것도 아니다. C+ 정철(mailto:zepelin@hanmir.com) [1997]
* [[KingCrimsonLive90s]]
* [http://m.blog.naver.com/superlife815/220206624555 4. 킹 크림슨 P. J. Crook 작품 활용 재킷 시리즈 3탄: Live at the Jazz Cafe (1998)]
* [http://m.blog.naver.com/superlife815/220668119265 킹 크림슨 P. J. Crook 작품 활용 재킷 시리즈 Cirkus]
* [http://m.blog.naver.com/superlife815/220692893322 킹 크림슨 P. J. Crook 작품 활용 재킷 시리즈 Masque, 1999년 8월]
* [http://m.blog.naver.com/superlife815/220917831211 킹 크림슨 P. J. Crook 작품 활용 재킷 시리즈 ProjeKcts 박스셋 1999년 10월]
* [[KingCrimsonLive00s]]
* [[King Crimson 공연기 2015]]
* [http://www.sobaworld.co.kr/8840 Projekct Two - Space Groove, Vector Patrol【sb】]


==참고==
==참고==

2022년 6월 30일 (목) 11:15 기준 최신판

1 개요[ | ]

King Crimson
킹 크림슨
  • 영국의 프로그레시브 록 밴드
  • 1969년 기타연주자 로버트 프립과 드럼연주자 마이클 자일스가 결성
  • 장르: 프로그레시브 록, 익스페리먼털 록, 재즈 퓨전, 뉴 웨이브, 사이키델릭 록, 헤비메탈

 

2 음반 목록[ | ]

3 #[ | ]

4 1972 Earthbound[ | ]

Amazon-images-I-615buwTLPvL.jpg | 거북이 : ★★★☆☆ (훌륭한)

  • KC의 라이브 음원은 유독 많지만 이 음반 earthbound만의 가치가 몇가지 있다. 1 KC가 공식적으로 내놓은 첫번째 라이브 음원이고 2 단순하면서도 우아한 자켓을 가졌으며 3 이전 시기에 비해 엄청나게 많은 라이브를 하던 시기, 즉 안정된 연주력을 가진 라인업을 드디어 갖췄던 시기의 라이브이다. 공식라이브 주제에 음질도 썩 좋진 않지만 당시 KC가 얼마나 열정적인 연주를 하는 밴드였는지는 충분히 느껴진다. 앨범 미수록 곡들도 담아서 구매욕을 높인건 애교. --Pinkcrimson (토론) 2016년 3월 7일 (월) 00:06 (KST)
  • King Crimson - Earthbound (1972)[오늘의 음반]【ha】

5 중기 라이브들[ | ]

6 Beat[ | ]

Amazon-images-P-B000003S1C.jpg

전작과 다음작의 연장격인 음악을 들려주는데 그리 인상깊지 못하다. 그냥 그저 그렇다는 느낌을 주는데 그렇다고 그리 빠지는 것도 아니다. C+ 정철(mailto:zepelin@hanmir.com) [1997]


7 참고[ | ]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