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 ]
- 메이지 유신/사상사
- 막말 유신기의 사상사와 정치사 서적 정리
2 흐름[ | ]
- 에도후기 문화
- 난학
- 일본 국학 & 존황양이
- 막부의 근대화
- 요코이 쇼난(09년생)[4] : 国是三論, 『沼山対話』『沼山閑話 {+ 삿초의 양이론 / 대정위임론 (마쓰다이라 사다노부)}
- 카츠 카이슈(23년생) : 氷川清話 {+ 막부의 근대화 시도}[5]
- 니시 아마네(29년생) : 百一新論 {+ 학계의 번역}
- 반쇼시라베쇼(蕃書調所, 56년)
- 지사들 (사이고 28년생, 오쿠보 30년생, 키도 33년생, 료마 36년생)
- 후쿠자와 유키치(35년생) 訓蒙窮理図解
- 이와사키 야타로(35년생) / 시부사와 에이이치(40년생) 「岩崎弥太郎」を語る [7]
- 일본 과학자 : 카와모토 코민(10년생)[8] / 다케다 아야사부로(27년생)[9] / 토마스 글로버(38년생) / 이노우에 마사루(43년생) / 야마카와 켄지로(54년생)... :
- 기타사토 시바사부로 다카미네 조키치 [10]
- 미구회람실기 : 이와쿠라(25년생) 사절단 이전과 이후의 차이? [11]
- 이토 히로부미(41년생) : 이등박문직설(伊藤博文直話), 헌법의해(憲法義解) {+ 메이지 신정부의 특성}
- 제국주의
3 의문[ | ]
- 존왕양이의 미토학은 어떻게 전국에 퍼져나가게 되었는가
- 사쓰마 초슈 토사 외의 다른 번들은 존왕양이운동 시기에 어떤 행동을 했는가
- 에도 말기의 우편 / 어음 시스템은 어떻게 작동했는가
- 지배층의 난학 / 유럽 물자에 대한 관심 수준은 어느정도였는가
- 유신의 지도자들이 실제로 공부한 것들은 무엇인가
- 사쓰마와 초슈의 경제력은 정말 서양과의 무역에서 나온 것인가
- 대정봉환론의 역사는 어떻게 되는가
- 개혁세력이 왕정복고를 내세운 사례가 세계사에 또 있는가
- 신정부 구성과정에서의 번벌 형성과정은 어땠는가, 천황의 정치 개입도 수준은?
- 헌법 수립때까지 공백이 20년 이상 있었는데 그동안은 무엇을 근거로 통치했는가
- 일본이 제국주의화 과정에는 군부의 폭주를 종종 얘기하는데 예측되지 않은 군사적 승리에 대해 관료나 민권운동 세력의 반응은 어땠는가
4 메이지를 읽는 10권[ | ]
- 메이로쿠 잡지
- 백일신론 : 니시 아마네
- 장래의 일본 : 토쿠토미 소호
- 히카와 청화 : 카츠 카이슈
- 헌법의해 : 이토 히로부미 (신정부 정치)
- 키타자토 시바사부로 독본 (과학)
- 유메 모노가타리 : 타카노 초에이 (개국)
- 신기론 : 와타나베 카잔 (개국)
- 요시다 쇼인 (양이)
- 성건록 : 사쿠마 쇼잔 (국방, 개국)
- 쇼잔 대화 · 쇼잔 한화 : 요코이 쇼난 (개국)
- 창평횡 / 번서조소 / 메이로쿠샤 관련. 번역이라거나. 자유민권이라거나.
- 상업문화에 관한 것 하나
- 1907년, 잡지 태양 창간 20주년 기념 메이지 명저집明治名著集
- 학문을 권함学問のすゝめ / 후쿠자와 유키치 福沢諭吉
- 백일신론百一新論 / 니시 아마네 西周
- 일본경제론日本経済論 / 타구치 우키치 田口卯吉
- 인권신설人権新説 / 가토 히로유키 加藤弘之
- 민약역해民約訳解 / 나카에 초민 中江兆民
- 왕법론王法論 / 토리오 코야타 鳥尾小彌太
- 윤리신설倫理新説 / 이노우에 테츠지로 井上哲次郎
- 천부인권론天賦人権論 / 바바 타츠이 馬場辰猪
- 문명동점사文明東漸史 / 후지타 모키치 藤田茂吉
- 구황식물집설救荒植物集説 / 이토 케이스케 伊藤圭介
- 소설신수小説神髄 / 쓰보우치 소요 坪内逍遙
- 사회개량과 기독교의 관계社会改良と耶蘇教との関係 / 토야마 마사카즈 外山正一
- 일본도덕론日本道徳論 / 니시무라 시게키 西村茂樹
- 신일본의 청년新日本の青年 / 토쿠토미 소호 徳富蘇峰
- 한학불가폐론漢学不可廃論, \bnm{思想を管理する要を論ず} / 나카무라 마사나오 中村正直
- 일본문화론의 계보 목차
text
Copy
서장 거울을 바라보는 일본인
제1장 메이지 개국과 민족의식의 각성
시가 시게타카의 『일본풍경론』
니토베 이나조의 『무사도』
오카쿠라 덴신의 『차의 책』
5 정치사 / 일본어[ | ]
- 井上勝生『幕末維新政治史の研究』塙書房、1994年
- 家近良樹『幕末政治と倒幕運動』吉川弘文館、1995年
- 田中彰『幕末維新史の研究』吉川弘文館、1996年
- 三谷博『明治維新とナショナリズム』山川出版社、1997年
- 吉田昌彦『幕末における「王」と「覇者」』ぺりかん社、1997年
- 宮地正人『幕末維新期の社会的政治史研究』岩波書店、1998年
- 青山忠正『明治維新と国家形成』吉川弘文館、2000年
- 松尾正人『廃藩置県の研究』吉川弘文館、2001年
- 田中彰『岩倉使節団の歴史的研究』岩倉書店、2002年
- 毛利敏彦『明治維新政治外交史研究』吉川弘文館、2002年
- 佐々木克『幕末政治と薩摩藩』吉川弘文館、2004年
- 久住真也『長州戦争と徳川将軍』岩田書院、2005年
- 青山忠正『明治維新の言語と史料』清文堂、2006年
- 高橋秀直『幕末維新の政治と天皇』吉川弘文館、2007年
- 奈良勝司『明治維新と世界認識体系』有志舎、2010年
- 町田明広『幕末文久期の国家政略と薩摩藩』岩田書院、2010年
- 原口清著作集1〜5
- ↑
* 임옥균 · 임태홍 역(譯) 《논어징》(전3권), 2010년, 소명출판
* 마루야마 마사오 저, 김석근 역 《일본정치사상사연구》1995년, 통나무
* 미나모토 료엔 《도쿠가와 시대의 철학 사상》 2000년, 예문서원 - ↑ 일본 난학의 개척자 스기타 겐파쿠 | 이종각 저 | 서해문집 | 2013년 10월
- ↑ 메이지 유신의 무대 뒤 | 이시이 다카시 저 / 김영작 역 | 일조각 | 2008년 06월 09일
- ↑ 양학겸학의 실학(사쿠마 쇼잔), 유교 개혁의 실학(요코이 쇼난), 정치 변혁의 실학(요시다 쇼인)의 등장,
- ↑ * 일본 근세의 쇄국과 개국 | 야마구치 게이지 저/ 김현영 역 | 혜안 | 2001년 11월
* 일본 근세의 ‘쇄국’이라는 외교 : 일본의 ‘쇄국’은 ‘쇄국’이 아니었다 | 로널드 토비 저/허은주 역 | 창해(새우와 고래) | 2013년 02월 - ↑ 삼취인경륜문답 | 나카에 초민 저 | 소명출판 | 2005년 05월 10일
- ↑ 일본의 경제사 https://m.blog.naver.com/blog_6139/220700349405
- ↑ 일본 화학의 개척자들 | 시바 데쓰오 저 / 허태성 역 | 전파과학사 | 2012년 08월
- ↑ 에노모토 다케아키와 메이지 유신 | 손일 저 | 푸른길 | 2017년 09월 02일
- ↑ 천재와 괴짜들의 일본 과학사
- ↑
* 다나카 아키라 저 / 현명철 역, 2006년, 메이지 유신과 서양 문명 이와쿠라 사절단은 무엇을 보았는가
* 구메 구니타케 저 / 정애영 역, 2011년, 특명전권대사미구회람실기 - ↑
- 변혁기의 일본과 조선 일본이 근세에서 근대로 전환하는 에도시대의 조선 | 김광옥 저 | 인문사(교재) | 2011년 11월 30일
- 세계사의 흐름으로 본 명치유신 | 나가이 미치오 등저 | 교문사(유제동) | 1994년 11월
- 다시보는 동아시아 근대사 | 강진아 역 | 까치(까치글방) | 2011년 04월 20일 | 원제 : 大人のための近現代史 19世紀編
- 근대 일본 형성기의 국가와 민중 근대 천황상의 형성과 민중 | 박진우 저 | 제이앤씨(J&C) | 2004년 02월 25일
- 근대화와 동서양 | 이혜령, 염운옥, 노서경, 박용희, 김봉중, 조준배, 조행복, 천성림, 원지연 |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 주자학과 근세일본사회 | 박홍규 역 | 예문서원 | 2007년 02월 28일
- 장소의 국제정치사상 | 장인성 저 | 서울대학교출판부 | 2002년 08월
- 천황제 근대국가의 탄생 일본 | 함동주 저 | 창비 | 2009년 02월 27일
- 조선을 탐한 사무라이 | 이광훈 저 | 포북(forbook) | 2016년 09월 09일
- 요시다 쇼인 시대를 반역하다 | 김세진 저 | 호밀밭 | 2018년 08월
편집자
Pinkcrimson
로그인하시면 댓글을 쓸 수 있습니다.
- 분류 댓글:
- 일본사 (30)
강좌 메이지 유신 ― Kiren강좌 메이지 유신 ―Pinkcrimson
강좌 메이지 유신 ― Kiren강좌 메이지 유신 ―Pinkcrimson
동북아역사재단 ―Pinkcrimson
동아시아 개념연구 기초문헌해제 ―Pinkcrimson
동아시아 개념연구 기초문헌해제 ―Pinkcrimson
메이지 유신 ―Pinkcrimson
메이지 유신 ―Pinkcrimson
메이지 유신 ―Pinkcrimson
메이지 유신 ―Pinkcrimson
메이지 유신 ―Pinkcrimson
메이지 유신 ―Pinkcrimson
메이지 유신 ―Pinkcrimson
메이지 유신 ―Pinkcrimson
메이지 유신 ―Pinkcrimson
메이지 유신 ―Pinkcrimson
산리즈카 투쟁 ―Pinkcrimson
산리즈카 투쟁 ―Pinkcrimson
이와쿠라 사절단 ― Jeong Cheol이와쿠라 사절단 ― Jeong Cheol일본사 ―Pinkcrimson
일본사 ―Pinkcrimson
일본사 ―Pinkcrimson
전후역사학 용어사전 ― Kiren전후역사학 용어사전 ― Kiren전후역사학 용어사전 ― Jmnote절대지식 일본고전 ―Pinkcrimson
절대지식 일본고전 ―Pinkcrimson
절대지식 일본고전 ―Pinkcrims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