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로쿠 잡지

1 개요[ | ]

明六雑誌
메이로쿠 잡지

2 총목차[ | ]

#표시는 빈서재 선집에 수록


vol.1

  • 제1호
    • 서양 글자로 국어를 표기하자 (니시 아마네)#
    • 개화의 정도에 따라 문자를 개량해야 한다 (니시무라 시게키)#
  • 제2호
    • 후쿠자와 선생의 논의에 답하다 (가토 히로유키)#
    • 학자직분론에 대하여 (모리 아리노리)#
    • 학자직분론에 대한 평 (쓰다 마미치)#
    • 비학자직분론 (니시 아마네)#
  • 제3호
    • 개화 제1화 (모리 아리노리)#
    • 진언일칙 (니시무라 시게키)#
    • 민선의원설립건언서에 대한 평 (모리 아리노리)#
    • 러시아 표트르 대제의 유훈 (스기 고지)
    • 개화를 진전시킬 방법에 대해 논하다 (쓰다 마미치)#
    • 옛 상공들의 주장을 반박한다 (니시 아마네)
  • 제4호
    • 인민의 자유와 토지의 기후는 서로 관련이 있다 ① (미쓰쿠리 린쇼)
    • 블룬칠리 씨 『국법범론』 발췌 번역 민선의원 불가립의 설 (가토 히로유키)#
    • 프랑스인 ‘쉴리’ 씨의 국가가 쇠미하게 되는 징후를 든 조목은 다음과 같다 (스기 고지)
    • 종교론 ① (니시 아마네)#
    • 벽돌 건물에 관한 설 (니시 아마네)
  • 제5호
    • 보호세가 잘못이라는 주장 (쓰다 마미치)
    • 종교론 ② (니시 아마네)#
    • ‘북아메리카합중국의 자립’ (스기 고지)
    • 인민의 자유와 토지의 기후는 서로 관련이 있다 ② (미쓰쿠리 린쇼)
    • 미국의 정치와 종교 ① (가토 히로유키)
  • 제6호
    • 출판의 자유가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쓰다 마미치)#
    • 종교론 ③ (니시 아마네)#
    • 미국의 정치와 종교 ② (가토 히로유키)
    • 종교 (모리 아리노리)
    • 필리모어 『만국공법』 중 종교를 논하는 장 (발췌 요약) (시바타 씨)
  • 제7호
    • 독립국 권의 (모리 아리노리)
    • 무관의 공순 (가토 히로유키)
    • 개화를 앞당기는 것은 정부가 아니라 인민의 중론이다 (버클의 『영국개화사』에서 초역) (미쓰쿠리 린쇼)#
    • 남북아메리카 연방론 (스기 고지)
    • 고문론 ① (쓰다 마미치)#
    • 히라가나의 설 (시미즈 우사부로)#
  • 제8호
    • 복장론 (쓰다 마미치)
    • 처첩론 ① (모리 아리노리)#
    • 교육담 (미쓰쿠리 슈헤이)#
    • 공상에 관해서 기록하다 (스기 고지)
    • 종교론 ④ (니시 아마네)#
    • 근본은 하나가 아니다 (쓰다 마미치)
  • 제9호
    • 운송론 (쓰다 마미치)
    • 리버티설 (미쓰쿠리 린쇼)#
    • 종교론 ⑤ (니시 아마네)#
    • 정론 ① (쓰다 마미치)
  • 제10호
    • 고문론 ② (쓰다 마미치)#
    • 참된 위정자에 관한 설 (스기 고지)
    • 서학 일반 ① (나카무라 마사나오)
    • 질의일칙 ① (사카타니 시로시)#
  • 제11호
    • 정론 ② (쓰다 마미치)
    • 처첩론 ② (모리 아리노리)#
    • 서학 일반 ② (나카무라 마사나오)
    • 질의일칙 ② (사카타니 시로시)#
  • 제12호
    • 종교론 ⑥ (니시 아마네)#
    • 정론 ③ (쓰다 마미치)#
    • 서학 일반 ③ (나카무라 마사나오)
  • 제13호
    • 미국의 정치와 종교 ③ (가토 히로유키)
    • 상상론 (쓰다 마미치)
    • 민선의원을 세우는 데 먼저 정체를 정해야 한다는 것에 대한 의문 (사카타니 시로시)#


vol.2

  • 제14호
    • 지설 ① (니시 아마네)
    • 리버티설 ② (미쓰쿠리 린쇼)#
    • 화폐의 효능 (스기 고지)
    • 덴구설 (쓰다 마미치)
  • 제15호
    • 처첩론 ③ (모리 아리노리)#
    • 서학 일반 ④ (나카무라 마사나오)
    • 조세의 권한은 상하가 함께 관여해야 한다는 설 (사카타니 시로시)#
    • 정론 ④ (쓰다 마미치)
  • 제16호
    • 정론 ⑤ (쓰다 마미치)
    • 인간 공공의 설 ① (스기 고지)#
    • 서학 일반 ⑤ 베이컨 (나카무라 마사나오)
    • 애적론 (니시 아마네)#
  • 제17호
    • 재정 변혁의 설 (간다 다카히라)#
    • 지진의 설 (쓰다 마미치)
    • 지설 ② (니시 아마네)
  • 제18호
    • 서양의 개화는 서행한다는 설 (쓰다 마미치)#
    • 국가를 가볍게 여기는 정부 (가토 히로유키)
    • 인간 공공의 설 ② (스기 고지)#
    • 화장에 관한 의문 (사카타니 시로시)
    • 정실에 관한 설 (니시 아마네)
    • 국악을 진흥해야 한다는 주장 (간다 다카히라)
  • 제19호
    • 비밀에 관한 설 (니시 아마네)
    • 민선의원의 시기는 아직 도래하지 않았음을 논한다 (간다 다카히라)#
    • 존이설 (사카타니 시로시)#
    • 인간 공공의 설 ③ (스기 고지)#
  • 제20호
    • 신문지론 (쓰다 마미치)#
    • 처첩론 ④ (모리 아리노리)#
    • 호설에 대한 의문 (사카타니 시로시)
    • 호설의 넓은 뜻 (사카타니 시로시)
    • 지설 ③ (니시 아마네)
  • 제21호
    • 정대화의에 대한 연설 (후쿠자와 유키치)#
    • 삼성론 (쓰다 마미치)#
    • 인간 공공의 설 ④ (스기 고지)#
    • 여성의 치장에 대한 의문 (사카타니 시로시)
  • 제22호
    • 지설 ④ (니시 아마네)
    • 부부유별론 (쓰다 마미치)
    • 정교에 대한 의문 (사카타니 시로시)
    • 화학 개혁의 대략 (시미즈 우사부로)
    • 지폐인체간원록 (화폐론 첫 번째) (간다 다카히라)
  • 제23호
    • 내지 여행 (니시 아마네)#
    • 정금외출탄식록 (화폐론 두 번째) (간다 다카히라)
    • 서학 일반 ⑥ (나카무라 마사나오)
  • 제24호
    • 내지여행론 (쓰다 마미치)#
    • 무역개정론 (스기 고지)
  • 제25호
    • 지설 ⑤ (니시 아마네)
    • 정교에 대한 나머지 의문 (사카타니 시로시)
    • 괴설 (쓰다 마미치)
  • 제26호
    • 내지 여행에 관한 니시 선생의 설을 반박한다 (후쿠자와 유키치)#
    • 무역균형론 (쓰다 마미치)
    • 지폐성행망상록 (화폐론 세 번째) (간다 다카히라)
  • 제27호
    • 처첩론 ⑤ (모리 아리노리)#
    • 민선의원 변칙론 (사카타니 시로시)
  • 제28호
    • 민선의원 변칙론 (사카타니 시로시)
    • 정체삼종설 (상) (니시무라 시게키)
    • 정체삼종설 (하) (니시무라 시게키)

vol.3

  • 제29호
    • 망라의원의 설 (니시 아마네)#
    • 자유교역론 (니시무라 시게키)
    • 종교론 의문 ① (가시와바라 다카아키)#
  • 제30호
    • 메이로쿠샤 제1년 차 역원 개선에 대한 연설 (모리 아리노리)#
    • 인재론 (쓰다 마미치)
    • 종교론 의문 ② (가시와바라 다카아키)#
    • 인민의 성질을 개조하는 것에 대한 설 (나카무라 마사나오)#
  • 제31호
    • 부부동권 유폐론 ① (가토 히로유키)#
    • 부부동권 유폐론 ② (가토 히로유키)#
    • 수신치국비이도론 (니시무라 시게키)#
    • 종교론 의문 ③ (가시와바라 다카아키)#
    • 남녀동수론 (후쿠자와 유키치)#
  • 제32호
    • 국민기풍론 (니시 아마네)
    • 처첩에 관한 설 (사카타니 시로시)#
  • 제33호
    • 선량한 어머니를 만드는 일에 대한 설 (나카무라 마사나오)#
    • 적설 (니시무라 시게키)#
    • 일요일의 설 (가시와바라 다카아키)
    • 화폐병근치료록 (화폐론 네 번째) (간다 다카히라)
  • 제34호
    • 상상 쇄국설 (스기 고지)
    • 화폐사록 부언 (간다 다카히라)
    • 정욕론 (쓰다 마미치)
  • 제35호
    • 지나를 경시해서는 안 된다 (나카무라 마사나오)#
    • 천강설 (사카타니 시로시)
    • 부부동권변 (쓰다 마미치)#
  • 제36호
    • 천강설 (속편) (사카타니 시로시)
    • 서어십이해 ① (니시무라 시게키)#
  • 제37호
    • 자주자유해 (서어십이해 ②) (니시무라 시게키)#
    • 상벌훼예론 (나카무라 마사나오)
    • 철산을 개발해야 함을 논한다 (간다 다카히라)
  • 제38호
    • 인세삼보설 ① (니시 아마네)
    • 전환접교설 (사카타니 시로시)
  • 제39호
    • 인세삼보설 ② (니시 아마네)
    • 정부와 인민이 이해를 달리하는 것에 대한 논의 (니시무라 시게키)#
    • 서학 일반 ⑦ (나카무라 마사나오)
  • 제40호
    • 인세삼보설 ③ (니시 아마네)
    • 양정신일설 ① (사카타니 시로시)
  • 제41호
    • 사형론 (쓰다 마미치)#
    • 화화매조법지설 (쓰다 센)
    • 양정신일설 ② (사카타니 시로시)
  • 제42호
    • 권리라는 말에 대한 풀이 (서어십이해 ③) (니시무라 시게키)
    • 인세삼보설 ④ (니시 아마네)
    • 폐창론 (쓰다 마미치)
  • 제43호
    • 전환설 (니시무라 시게키)
    • 존왕양이설 (사카타니 시로시)#

3 같이 보기[ | ]

4 참고[ | ]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