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 ]
- 동아시아 개념연구 기초문헌해제
2 한국[ | ]
한글표기 | 한자표기 | 발행도 | 수록권호 | 번역서 |
---|---|---|---|---|
상재상서 | 上宰相書 | _(1839) | _2-01 | 정하상 |
벽위신편평어 | 闢衛新編評語 | _(1848 추정) | _2-02 | |
척사론 | 斥邪論 | _(1856) | _2-03 | |
지구전요 | 地毬典要 | _(1857) | _2-04 | |
심행일기 | 沁行日記 | _(1876) | _2-05 | 김종학 |
태서각국정형초록 | 泰西各國情形抄錄 | _(1876~ 추정) | _2-06 | |
일동기유 | 日東記遊 | _(1877) | _2-07 | 구지현 |
공보초략 | 公報抄略 | _(1879) | _2-08 | |
조선책략 | _(1880) | _1-01 | 윤현숙 | |
일본국문견조건 | 日本國聞見條件 | _(1881) | _2-09 | |
일집 | 日集 | _(1881) | _2-10 | |
천진담초 | 天津談草 | _(1882) | _2-11 | |
사화기략 | 使和記略 | _(1882) | _2-12 | |
치도약론 | 治道略論 | _(1882) | _2-13 | |
경쟁론 | 競爭論 | _(1883) | _2-14 | |
세계대세론 | 世界大勢論 | _(1883) | _2-15 | |
의전기술 | 宜田記述 | _(1884~1888) | _2-16 | |
건백서 | 建白書 | _(1888) | _2-17 | |
미속습유 | 美俗拾遺 | _(1888) | _2-18 | |
격치고 | 格致藁 | _(1893) | _3-01 | |
국민소학독본 | _(1895) | _1-02 | ||
서유견문 | _(1895) | _1-03 | ||
텬로력뎡 | 텬로력뎡 | _(1895) | _3-02 | |
유학경위 | 儒學經緯 | _(1896) | _3-03 | |
해천추범 | _(1897) | _1-04 | ||
조회원본 | 照會原本 | _(1900~1902) | _3-05 | |
청국무술정변기 | 淸國戊戌政變記 | _(1900) | _3-04 | |
북여요선 | 北輿要選 | _(1904) | _3-06 | |
법학통론 | _(1905) | _1-05 | ||
대한강역고 | 大韓疆域考 | _(1905) | _3-07 | |
만국사기 | 萬國史記 | _(1905) | _3-08 | |
역사집략 | 歷史輯略 | _(1905) | _3-09 | |
고등소학독본 | 高等小學讀本 | _(1906, 1907) | _3-16 | |
국가학 | _(1906) | _1-06 | ||
국민수지 | _(1906) | _1-07 | ||
월남망국사 | _(1906) | _1-08 | ||
정치원론 | _(1906) | _1-09 | ||
형법대전 | 刑法大典 | _(1906) | _3-10 | |
윤리학교과서 | 倫理學敎科書 | _(1906) | _3-11 | |
일본유신삼십년사 | 日本維新三十年史 | _(1906) | _3-12 | |
정선만국사 | 精選萬國史 | _(1906) | _3-13 | |
준비시대 | 準備時代 | _(1906) | _3-14 | |
중등교과 동국사략 | 中等敎科 東國史略 | _(1906) | _3-15 | |
경제학 | _(1907 추정) | _1-14 | ||
평시국제공법 | _(1907 추정) | _1-15 | ||
서사건국지 | _(1907) | _1-10 | ||
애국부인전 | _(1907) | _1-11 | ||
이태리건국삼걸전 | _(1907) | _1-12 | 공역 | |
헌법 | _(1907) | _1-13 | ||
만하몽유록 | 晩河夢遊錄 | _(1907) | _3-17 | |
유년필독 | 幼年必讀 | _(1907) | _3-18 | |
유년필독석의 | 幼年必讀釋義 | _(1907) | _3-19 | |
이십세기조선론 | 二十世紀朝鮮論 | _(1907) | _3-20 | |
국가사상학 | _(1908) | _1-16 | ||
노동야학독본 | _(1908) | _1-17 | ||
법학통론 | _(1908) | _1-18 | ||
세계삼괴물 | _(1908) | _1-19 | ||
십구세기 구주문명진화론 | _(1908) | _1-20 | ||
초등동물학 | _(1908) | _1-21 | ||
금수회의록 | 禽獸會議錄 | _(1908) | _3-21 | |
동양사교과서 | 東洋史敎科書 | _(1908) | _3-22 | |
을지문덕 | 乙支文德 | _(1908) | _3-23 | |
중국혼 | 中國魂 | _(1908) | _3-24 | |
철세계 | 鐵世界 | _(1908) | _3-25 | |
초등소학수신서 | 初等小學修身書 | _(1908) | _3-26 | |
몽견제갈량 | 夢見諸葛亮 | _(1908) | _3-27 | |
만국사물기원역사 | _(1909) | _1-22 | ||
산수격몽요결 | 刪修擊蒙要訣 | _(1909) | _3-28 | |
초목필지 | 樵牧必知 | _(1909) | _3-29 | |
독립정신 | 독립정신 | _(1910) | _3-30 | |
동양평화론 | 東洋平和論 | _(1910) | _3-31 | |
고등한문독본 | 高等漢文讀本 | _(1910) | _3-32 | |
단조사고 | 檀祖事攷 | _(1911) | _3-33 | |
몽배금태조 | 夢拜金太祖 | _(1911) | _3-34 | |
발해태조건국지 | 渤海太祖建國誌 | _(1911) | _3-35 | |
왕양명선생실기 | 王陽明先生實記 | _(1911) | _3-36 | |
원한국일진회歷사 | 元韓國一進會歷史 | _(1911) | _3-37 | |
귀원정종 | 歸源正宗 | _(1913) | _3-38 | |
조선불교유신론 | 朝鮮佛敎維新論 | _(1913) | _3-39 | |
신단실기 | 神檀實記 | _(1914) | _3-40 | |
시문독본 | _(1916) | _1-23 | ||
우주문답 | 宇宙問答 | _(1917) | _3-41 | |
자조론 | _(1918) | _1-24 | ||
정신철학통편 | _(1920) | _1-25 | ||
자각론 | _(1920) | _1-26 | ||
개조론 | _(1921) | _1-27 | ||
오뇌의 무도 | _(1921) | _1-28 | ||
사랑의 선물 | _(1922) | _1-29 | ||
조선문명사 | _(1923) | _1-30 | ||
인내천 요의 | _(1924) | _1-31 | ||
파리콤뮨 | _(1926) | _1-32 | ||
가치가격급이윤 | _(1927) | _1-33 | ||
변증법적유물론 | _(1927) | _1-34 | ||
사회진화론 | _(1927) | _1-35 | ||
고대희랍철학고변 | _(1928) | _1-36 | ||
신인철학 | _(1931) | _1-37 | ||
조선상고사 | _(1948) | _1-38 |
3 중국[ | ]
- 중국근대사상사론 : 이택후
한글표기 | 한자표기 | 발행도 | 수록권호 | 기타 |
---|---|---|---|---|
해국도지 | _(1843-1852) | _1-39 | 번역완료 | |
해국사설 | 海國四說 | _(1846) | _2-19 | |
영환지략 | _(1848) | _1-40 | 원전소개 | |
수학계몽 | 數學啓蒙 | _(1853) | _2-20 | |
지리전지 | 地理全志 | _(1853) | _2-21 | |
박물신편 | 博物新編 | _(1855) | _2-22 | |
대영국지 | 大英國志 | _(1856) | _2-23 | |
자정신편 | 資政新篇 | _(1859) | _2-24 | 태평천국 관련 |
만국공법 | _(1864) | _1-41 | ||
초사태서기 | 初使泰西記 | _(1877) | _2-25 | 해제 |
사서기정 | 使西紀程 | _(1877) | _2-26 | 안양대 역 |
주양추의 | 籌洋芻議 | _(1879) | _2-27 | Xue_Fucheng |
이언 | 易言 | _(1880) | _1-42 | 민현식 |
도원문록외편 | _(1883) | _1-43 | 왕도(王韜) | |
서학고략 | _(1883) | _1-44 | Martin | |
교빈려항의 | _(1884) | _1-45 | Feng_Guifen | |
자서조동 | _(1884) | _1-46 | 설충수 | |
좌치추언 | _(1885) | _1-47 | ||
일본국지 | _(1890) | _1-48 | 황준헌 | |
실리공법전서 | 實理公法全書 | _(1890~ 추정) | _2-28 | 해제 |
적가재기언기행 | 適可齋記言記行 | _(1897) | _2-29 | 마건충 |
성세위언 | _(1898) | _1-49 | 이화승 역 | |
권학편 | _(1898) | _1-50 | 송인재 역 | |
천연론 | _(1898) | _1-51 | 양일모 역 | |
인학 | _(1901) | _1-52 | 임형석 역 | |
신민설 | _(1902-1906) | _1-53 | 이혜경 역 | |
군기권계론 | _(1903) | _1-54 | ||
서학동점기 | 西學東漸記 | _(1915) | _2-30 | 용굉 |
3.1 집옥재 소장본[ | ]
- 광물학으로의 첫걸음 『광석도설』
- 지도를 만드는 두 가지 기술 『측지회도』
- 세상을 보는 새로운 눈 『화형도설』
- 어린이용 미술 교재 『논화천설』
- 야전(野戰)을 위한 보루 쌓기 『영루도설』
- 당대 최고의 대포를 소개하다 『극로백포설』
- 청불전쟁의 서막을 기록하다 『회도월법전서』
- 보불전쟁과 유럽 정세를 알린 책 『보법전기』
- 그림으로 보는 상해의 랜드마크 『신강승경도』
- 그림과 시로 『홍루몽』 감상하기 『증각홍루몽도영』
- 기이한 일들의 기록 『후요재지이도설』 (aka 《淞隐漫录》, 왕타오)
- 상해 기녀들의 사연과 일상 『해상중외청루춘영도설』
3.2 산지니 중국근현대사상총서[ | ]
- 인학 - 근대적 가치의 불을 밝힌 담사동의 인의 학 ㅣ 담사동 (지은이), 임형석 (옮긴이) |
- 구유심영록 - 랑치차오의 유럽여행과 근대문명 성찰 ㅣ 량치차오 (지은이), 이종민 (옮긴이) |
- 과학과 인생관 - 20세기 초 중국 사상계를 흔든 과학과 인생관 논쟁 ㅣ 천두슈 (지은이), 한성구 (옮긴이) |
- 신중국미래기 ㅣ 량치차오 (지은이), 이종민 (옮긴이) |
- 권학편 ㅣ 장지동 (지은이), 송인재 (옮긴이) |
- 천두슈 사상선집 ㅣ 천두슈 (지은이), 심혜영 (옮긴이) |
- 류스페이 사상선집 ㅣ 류스페이 (지은이), 도중만 (옮긴이) |
- 중국문화요의 - 인류사에서 본 중국문화의 특수성 ㅣ 량수밍 (지은이), 강중기 (옮긴이) |
- 중국 윤리사상 ABC ㅣ 셰푸야 (지은이), 한성구 (옮긴이) |
- 취추바이 선집 - 『신아국유기新俄國遊記』, 『적도심사赤都心史』 ㅣ 취추바이 (지은이), 이현복 (옮긴이) |
3.3 안양대 동서교류문헌총서[ | ]
- 신편천주실록 | Ruggieri
- 천주강생출상경해 | Nadal
- 복음서 도해집 | Nadal
- 사서기정 | 곽숭도
- 영애승람 | 마환 / 홍상훈
- 서역행정기-서역번국지 | 진성, 이섬 / 신원철
4 일본[ | ]
- 복옹자전 외 출간 : 후쿠자와 유키치
- 논어와 주판 외 출간 : 시부사와 에이이치
- 입헌정체략·진정대의 (가토 히로유키, 1868·1870 / 세창출판사)
- 미구회람실기 (구메 구니타케, 1878 / 소명출판)
- 삼취인경륜문답 (나카에 초민, 1887 / 소명출판)
한글표기 | 한자표기 | 발행도 | 수록권호 |
---|---|---|---|
서양사정 | _(1866-1870) | _1-55 | |
태서국법론 | _(1868) | _1-56 | |
입헌정체략 | 立憲政體略 | _(1868) | _2-31 |
여지지략 | _(1870-1890) | _1-57 | |
진정대의 | 眞政大意 | _(1870) | _2-32 |
서국입지편 | 西國立志編 | _(1870~1871) | _2-33 |
백학연환 | 百學連環 | _(1870~1871) | _2-34 |
국법범론 | _(1872-1874) | _1-59 | |
자유지리 | _(1872) | _1-58 | |
구라파문명사 | _(1874-1877) | _1-61 | |
백일신론 | _(1874) | _1-60 | |
개화문답 | 開化問答 | _(1874~1875) | _2-35 |
국체신론 | _(1875) | _1-62 | |
문명론지개략 | _(1875) | _1-63 | |
대의정체 | 代議政體 | _(1875~1878) | _2-36 |
민약론 | _(1877) | _1-64 | |
일본개화소사 | 日本開化小史 | _(1877~1882) | _2-37 |
남녀동권론 | _(1878) | _1-65 | |
자치론 | 自治論 | _(1880) | _2-38 |
사회평권론 | _(1881-1884) | _1-66 | |
신권신설 | _(1882) | _1-67 | |
국헌범론 | 國憲汎論 | _(1882~1885) | _2-39 |
민약역해 | 民約譯解 | _(1883) | _2-40 |
천부인권론 | 天賦人權論 | _(1883) | _2-41 |
윤리신설 | 倫理新說 | _(1883) | _2-42 |
구미여권 | _(1884) | _1-68 | |
지일본 | 之日本 | _(1886) | _2-43 |
국가론 | _(1889) | _1-69 | |
사회주의신도 | _(1903) | _1-70 |
5 같이 보기[ | ]
편집자
Pinkcrimson
로그인하시면 댓글을 쓸 수 있습니다.
Pinkcrimson 2022-05-25
Pinkcrimson 2020-08-31
강좌 메이지 유신 ― Kiren강좌 메이지 유신 ―Pinkcrimson
강좌 메이지 유신 ― Kiren강좌 메이지 유신 ―Pinkcrimson
동북아역사재단 ―Pinkcrimson
동아시아 개념연구 기초문헌해제 ―Pinkcrimson
동아시아 개념연구 기초문헌해제 ―Pinkcrimson
메이지 유신 ―Pinkcrimson
메이지 유신 ―Pinkcrimson
메이지 유신 ―Pinkcrimson
메이지 유신 ―Pinkcrimson
메이지 유신 ―Pinkcrimson
메이지 유신 ―Pinkcrimson
메이지 유신 ―Pinkcrimson
메이지 유신 ―Pinkcrimson
메이지 유신 ―Pinkcrimson
메이지 유신 ―Pinkcrimson
산리즈카 투쟁 ―Pinkcrimson
산리즈카 투쟁 ―Pinkcrimson
이와쿠라 사절단 ― Jeong Cheol이와쿠라 사절단 ― Jeong Cheol일본사 ―Pinkcrimson
일본사 ―Pinkcrimson
일본사 ―Pinkcrimson
전후역사학 용어사전 ― Kiren전후역사학 용어사전 ― Kiren전후역사학 용어사전 ― Jmnote절대지식 일본고전 ―Pinkcrimson
절대지식 일본고전 ―Pinkcrimson
절대지식 일본고전 ―Pinkcrims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