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제1텔레비전 U-KBS STAR | |
개국 | 1961년 12월 31일 1980년 12월 1일 (KBS-1TV) | (KBS-TV)
---|---|
폐국 | 1980년 11월 30일 (KBS-TV) |
네트워크 | 한국방송공사 |
해상도 | 1080i, 2160p |
슬로건 | 한국인의 중심채널 |
언어 | 한국어 |
방송 지역 | 대한민국 전역 |
본사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공원로 13 (여의도동) |
전신 | KBS-TV (1961-1980) |
자매 채널 | KBS 2TV |
디지털 채널 | 53-1 |
IPTV 채널 | B TV, 올레 TV 트와이스 채영 1999년생 채영2 (안재욱 분) 1971년생, U+ TV Spear Of Destiny Game: 53 (전국, 수도권 기준) 스카이라이프 : 55 (전국, 수도권 기준) |
위성 채널 | KBS위성1TV (1996년 ~ 2002년) |
웹사이트 | KBS1 - 공식 웹사이트 |
| |
개국 | 1961년 12월 31일 (58년 전) (KBS-TV) 1980년 12월 1일 (39년 전) (KBS-1TV) |
---|---|
IPTV 채널 |
|
위성 채널 | 53번 (HD) |
KBS 1TV(KBS 제1텔레비전, U-KBS STAR)는 한국방송공사에서 방송되는 텔레비전 채널로서 KBS 2TV와 달리 뉴스, 시사교양, 다큐멘터리 등을 방송한다. 대한민국에서는 EBS 2TV, OUN 방송대학TV, NATV 국회방송, KTV 국민방송 등과 함께 상업방송 광고가 없는 채널이다. 2012년 10월 8일부터 24시간 종일 방송 체제를 갖추고 있다.[1] DMB 채널 중 유일무이하게 전국적으로 HD로 송출하고 있다. DMB상의 채널 명칭은 U-KBS STAR이다. KBS 수신 안내로 DMB 개인별로 수신시 연동화로 자체 편성이다. 케이블 채널과 같다.
1 특징[ | ]
- 시사 및 보도와 교양 프로그램 방송을 담당하는 지상파 채널이며, 공익광고를 제외한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100% 방송하지 않는 채널이다. 그 외에 일일연속극 및 대하드라마도 방송하는 편이며 고정 채널번호는 9번이다.
- TV 편성표 상에 개국 이후부터 중앙(中央)텔레비전이었으며, 1973년 3월부터 한국방송공사 창립과 함께 KBS-TV으로 바뀌었다가, 1970년대 후반에 KBS로, 1980년 언론통폐합 이후에 KBS1로 명칭되었다.
- 방송통신위원회에서 재난방송 주관 방송사으로 지정되고 있다.
- 1997년에 종일방송을 도입 무산했으며, 2005년 12월부터 종일방송을 전면 도입하였으며, 2012년 10월 8일부터 종일방송 하루 24시간 체계로 편성하고 있다.
- 1981년 3월 6일에 KBS 1TV의 채널은 KBS 2TV의 채널과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실시 준비가 되었다.[2]
- 1981년 3월 7일에 KBS 2TV의 채널과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재개하였다.[3]
- 1981년 3월 7일부터 KBS 2TV의 채널과 1982년 1월 24일에 1차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하였다.[4]
- 1982년 1월 25일에 KBS TV의 채널은 2차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실시를 했는데 2TV의 채널은 광고시간을 15분 및 20분과 30분을 정한 후 1TV의 채널은 2TV의 채널과 광고방식이 달라졌다.[5]
- 1990년 3월 2일부터 평일 블록광고를 폐지하고 주말 및 공휴일에 당시 스포츠, 실황중계, 영화프로그램을 1994년 9월 30일까지 당시 스포츠, 영화, 실황 중계 프로그램 등의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보냈다.[6]
- 1994년 7월 23일에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 폐지 결정을 내리게 되었지만 1994년 10월 1일부터 상업광고를 폐지하게 되었으며,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은 편성하지 않게 되었다. 따라서 현재는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은 하지 않았는데 중단을 하였다.
- 2019년 1월 1일부터 곧이어(잠시후) 도입 추가되었다.
- 매년 신년전야에 열리는 보신각 제야의 종 타종식을 중계방송 하고 있다.
- 편성표 (1TV)는 2018년 8월 5일 홈페이지 개편 이후 최근 1개월 조회만 가능하다.
- 해당 TV 프로그램 (1TV)는 2018년 8월 5일 홈페이지 개편 이후 해당 프로그램이 종영되면 해당 프로그램의 시청자참여 게시판은 이용이 불가능 하게 되었다.
- 2020년 9월 15일부터 KBS의 정책에 따라 일부 지역에 1TV 지역국으로 적용받아 편성된다. 서울 본국에 송출되는 KBS 1TV는 서울, 인천, 경기, 강원, 충북, 전북, 경남, 울산, 제주 등을 축소되며, 부산과 경남은 부산 KBS1, 광주/전남권은 광주 KBS1, 대전/세종/충남은 대전 KBS1 등을 각각 송출한다.
- 2020년 10월 9일 한글날을 기념하여, 중계방송 경축식에는 한국방송1로 표기하였다.
2 연혁[ | ]
2.1 태동기[ | ]
- 1927년 2월 16일 : 라디오 개국
- 1961년 12월 31일 : KBS TV 개국.
- 1962년 1월 15일 : 1일 4시간 30분 동안 정규방송 실시
- 1963년 1월 1일 : 수신료(시청료) 징수를 시작 및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 개시[7]
- 1967년 2월 27일 : 6시 35분부터 9시까지 오전 방송 개시.
- 1969년 4월 30일 :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 마지막 방송.
- 1969년 5월 1일 :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 폐지. 아침 및 오전에 교육방송 시작.
- 1969년 7월 : 아폴로 11호 달 착륙 중계 방송
- 1969년 9월 17일 : 《명화극장》 방송 시작
- 1969년 10월 1일 : 오전 방송을 11시까지로 확대
- 1970년 10월 19일 : 평일 오전 방송 35분 축소
- 1971년 5월 3일 : 오전 방송 시작을 7시로 변경
- 1971년 6월 28일 : 오전 방송 10분 축소
- 1971년 8월 16일 : 오전 방송 시작을 6시 30분으로 변경
- 1971년 10월 11일 : 오전 방송 30분 축소
- 1971년 10월 18일 : 오전 방송 30분 축소
- 1972년 4월 3일 : 오전 방송 시작을 7시 20분으로 변경
- 1973년 3월 3일 : KBS 건립 및 공영방송 출범
- 1973년 12월 3일 : 오일 쇼크로 평일, 토요일 오전 방송 중단
- 1977년 10월 18일 : 《전설의 고향》 방송 시작
- 1978년 4월 8일 : 주택복권 추첨방송이 KBS로 변경하여 방송 개시 (주택복권 제319회)
2.2 도약기[ | ]
- 1980년 1월 6일 : 《KBS 바둑왕전》국내 유일의 TV 속기 바둑기전으로 창설(1기) 및 방영 개시
- 1980년 7월 28일 : 평일 방송 10분 축소
- 1980년 8월 11일 : 평일 심야방송 개시
- 1980년 9월 1일 : 평일 저녁 방송 시작을 6시 10분에서 6시로 변경
- 1980년 9월 8일 : 주중 저녁 방송 시작을 6시에서 5시 30분으로 변경
- 1980년 9월 29일 : 월요일 방송 20분 축소
- 1980년 10월 6일 : 월요일 방송 20분 확대
- 1980년 11월 3일 : 평일 심야방송 폐지
- 1980년 11월 9일 : 《전국노래자랑》 방송 시작
- 1980년 12월 1일 : 언론 통폐합과 함께 KBS 1TV로 채널 변경 및 컬러방송 개시 KBS 2TV 방송시작
- 1980년 12월 28일 : 《KBS 바둑왕전》의 언론 · 방송 통폐합으로 인하여 임시 중단 및 종영(1기) 결승 3번기 2국에서 조훈현 八단(당시)을 상대 노영하 七단을 물리치고 2 대 0을 완봉승으로 우승함(이후 KBS 바둑해설위원으로 활동했음)
- 1981년 1월 5일 : 평일 방송 5시 30분부터 11시 45분까지로 축소
- 1981년 1월 12일 : 평일 방송 5시 30분부터 익일 1시 30분까지로 확대
- 1981년 1월 26일 : 평일 방송 5시 30분부터 익일 1시 35분까지로 확대
- 1981년 2월 2일 : 평일 방송 5시 30분부터 11시 30분까지로 축소
- 1981년 3월 2일 : 평일 방송 5시 30분부터 11시 55분까지로 확대
- 1981년 3월 7일 : 광고방송(상업광고) 재개.
- 1981년 3월 9일 : 평일 방송을 5시 30분부터 11시 35분까지로 축소
- 1981년 5월 25일 : 새벽 5시 30분부터 오전 10시까지 평일 오전 방송 재개, 《KBS 뉴스와이드》, 《KBS 가정뉴스》 신설.
- 1981년 5월 30일 : 새벽 5시 30분부터 오전 10시까지 토요일 오전 방송 재개.
- 1981년 5월 31일 : 일요일 오전 방송 시작을 6시로 변경
- 1981년 7월 4일 : 토요일 방송 시작을 5시로 변경
- 1981년 7월 6일 : 오전 방송 시작을 5시로 변경
- 1982년 9월 20일 : 《KBS 뉴스와이드》가 《KBS 뉴스 80》으로 변경.
- 1983년 이산가족을 찾습니다 기간, 사상 최초로 24시간 종일방송
- 1983년 4월 3일 : 주택복권 추첨방송 임시 중단 (주택복권 제574회)
- 1983년 4월 10일 : 《당첨 올림픽복권》 방영 개시로 올림픽복권 추첨 개시 (올림픽복권 제1회)
- 1983년 6월 30일 ~ 11월 14일 : 《이산가족을 찾습니다》 방송 시작 (그 당시 방송에 453시간 45분간 기록을 남겼다)
- 1983년 7월 18일 :《KBS 오늘의 경제》 신설.
- 1984년 4월 2일 : 《KBS 뉴스 80》, 《KBS 가정뉴스》가 《KBS 아침뉴스》로 변경
- 1984년 10월 29일 : 《KBS 아침뉴스》가 《KBS 뉴스센터 645》로, 《KBS 아침뉴스 (930)》가 《KBS 뉴스센터 945》로, 《KBS 9시 뉴스》가 《KBS 뉴스센터 9》로, 《KBS 보도본부 24시》가 《KBS 뉴스센터 24시》로, 《KBS 뉴스》가 《KBS 뉴스센터》로 변경.
- 1984년 10월 30일 : 《퀴즈탐험 신비의 세계》 방송 개시.
- 1985년 7월 2일 : 《퀴즈탐험 신비의 세계》화요일 마지막방송. 수요일로 이동.
- 1985년 7월 10일 《퀴즈탐험 신비의 세계》수요일 저녁 19시 40분 방송.
- 1985년 10월 25일 : 《KBS 오늘의 경제》 종영.
- 1985년 10월 30일 : 《퀴즈탐험 신비의 세계》수요일 마지막방송. 목요일로 이동.
- 1985년 11월 7일 : 《퀴즈탐험 신비의 세계》목요일 저녁 19시 40분 방송.
- 1986년 6월 1일 : 《국악한마당》방송 시작.
- 1986년 9월 20일 ~ 10월 5일 : 1986년 아시안 게임 익일 오전 2시까지 방송.
- 1987년 3월 2일 : 《TV유치원 하나둘셋》 채널 이동.
- 1987년 3월 4일 : 《퀴즈탐험 신비의 세계》수요일 저녁 19시 40분 방송.
- 1987년 10월 17일 : 토요일 오전 방송 3시간 연장과 함께 주말 낮 방송시대 개막 및 《생방송 심야토론》방송 시작.
- 1987년 10월 28일 : 《퀴즈탐험 신비의 세계》목요일 마지막방송. 일요일로 이동.
- 1987년 11월 8일 : 《퀴즈탐험 신비의 세계》일요일 저녁 18시 10분 방송.
- 1988년 1월 10일 : 《퀴즈탐험 신비의세계》 마지막방송. (KBS2TV) 채널 변경.
- 1988년 9월 17일 ~ 10월 2일 :《1988년 하계 올림픽》익일 새벽 2시까지 방송.
- 1988년 12월 25일 : 《당첨 올림픽복권》 마지막 방송 (올림픽복권 제299회)
- 1989년 1월 3일 : 《남북의 창》방영 개시.
- 1989년 1월 8일 : 《당첨!주택복권》 방송 시작. (주택복권 제575회 부터 발행 재개)
- 1990년 4월 7일 : 《국악한마당》종영.
- 1990년 4월 9일 : 《퀴즈탐험 신비의 세계》 KBS1TV로 채널 복귀.
- 1990년 4월 18일 : 《사랑방중계》KBS 1TV로 채널 복귀. 수요일 저녁 방송.
- 1990년 6월 16일 : 《쇼 토요특급》방영 시작.
- 1991년 1월 21일 : 걸프 전쟁으로 평일 저녁 방송을 18시에서 밤 0시까지로 축소.
- 1991년 5월 13일 : 《퀴즈탐험 신비의세계》 마지막방송. KBS2TV 채널 변경.
- 1991년 5월 18일 : 《쇼 토요특급》종영.
- 1991년 5월 20일 : KBS 아침뉴스가 《KBS 뉴스광장》으로 확대 개편,《아침마당》,《6시 내고향》 방송 시작.
- 1992년 1월 26일 : 《당첨!주택복권》 추첨기 마지막 추첨 (구형 유리로 된 공을 추출하는 방식). (주택복권 제734회 까지)
- 1992년 2월 2일 : 《당첨!주택복권》 추첨기 변경 (공기 압축 화살발사의 전자식 방식). (주택복권 제735회 부터)
- 1992년 4월 8일 : 《성공시대》방송 개시.
- 1992년 4월 12일 : 《쇼! 주택복권》 방송 시작. (주택복권 제745회 부터)
2.3 변혁기[ | ]
- 1993년 1월 18일 : 《KBS 930 뉴스》 방송 개시.
- 1993년 3월 27일 : 《사랑방중계》종영.
- 1993년 4월 25일 : 《쇼! 주택복권》 방송 종료. (주택복권 제799회)
- 1993년 5월 1일 : 《사건 25시》 방송 시작 및 ,《KBS 뉴스(1TV)》OP 변경,《KBS 9시 뉴스현장》이 《KBS 9시 뉴스현장》과 통합,《KBS 뉴스 9》로 명칭 변경.
- 1993년 5월 2일 : 《대추나무 사랑걸렸네》 방송을 KBS1TV로 이전.
- 1993년 10월 6일 : 《성공시대》종영.
- 1993년 10월 18일 : 《KBS 뉴스(1TV)》OP 변경, KBS 저녁뉴스가 《KBS 지역권뉴스》와 통합, 《KBS 뉴스네트워크》로 확대 개편 및《사람과 사람들》방송 개시.
- 1993년 10월 24일 : 《시청자 의견을 듣습니다》방송 시작.
- 1993년 11월 8일 : 평일 오전방송 폐지 및 오후 방송 30분 축소. 평일 심야방송 폐지.
- 1993년 11월 12일 : 밤 12시부터 익일 새벽 1시까지 금요일 심야방송 개시.
- 1994년 2월 11일 : 밤 12시부터 익일 새벽 1시까지 금요일 공휴일 심야방송 개시
- 1994년 9월 24일 : 《사건 25시》 종영.
- 1994년 9월 26일 : 《사람과 사람들》월요일 마지막 방송. 금요일로 이동.
- 1994년 9월 30일 : 광고방송(상업광고)마지막 방송.
- 1994년 10월 1일 : 한국전력공사 수신료 징수제도 및 광고방송(상업광고)폐지.(상업방송광고 중단)
- 1994년 10월 9일 : 《대추나무 사랑걸렸네》일요일 마지막방송. 수요일로 이동.
- 1994년 10월 10일 : 《KBS 뉴스 24시》가 《KBS 뉴스라인》으로 확대 개편.
- 1994년 10월 18일 : 《긴급구조 119》 방송 시작.
- 1994년 10월 22일 : 《역사의 라이벌》방영 개시.
- 1994년 10월 23일 : 《KBS스페셜》방영 개시.
- 1994년 10월 26일 :《대추나무 사랑걸렸네》94가을개편에 따라 수요일로 이동. 수요일 저녁 19시 35분 방송.
- 1995년 2월 23일 : 《신세대 보고 - 어른들은 몰라요》방영 개시.
- 1995년 2월 24일 : 《사람과 사람들》금요일 마지막방송. 수요일로 이동.
- 1995년 2월 27일 : 《KBS 뉴스(1TV)》OP 변경
- 1995년 3월 8일 : 《사람과 사람들》 수요일 밤 22시 15분 방송.
- 1995년 3월 10일 : 《이것이 인생이다》방영 개시.
- 1995년 9월 2일 :《역사의 라이벌》종영.
- 1995년 9월 4일 : 평일 저녁 방송 시간을 오후 5시로 환원 및 밤 1시부터 새벽 2시까지 주중 심야방송 개시, KBS 뉴스 (1730)가 《KBS 뉴스 5》로 확대 개편. 《세상은 넓다》방송 개시.
- 1995년 9월 5일 : 《인생을 걸고》방영 시작
- 1995년 9월 7일 : 《국악한마당》을 목요일 밤 23시50분 방송.
- 1995년 9월 8일 : 《TV는 사랑을 싣고》KBS1TV로 채널 변경. 금요일 저녁 19시35분 방송.
- 1995년 9월 16일 : 《역사추리》방영 시작.
- 1996년 2월 13일 : 《인생을 걸고》종영.
- 1996년 3월 4일 : 평일 오전 방송을 아침 6시부터 낮 11시까지 확대, KBS 1TV 뉴스프로그램 방송 중 로고 표시 변경(KBS1 → KBS), KBS 낮 뉴스 방송 시작 《체험 삶의 현장》 KBS 1TV로 이동 19시 35분 방송.
- 1996년 7월 1일 : 구 KBS위성2TV 위성방송(KBS2) 개국 및 KBS 1TV 재송신 실시
- 1996년 11월 24일 : 《생로병사의 비밀》방송 시작.
- 1996년 12월 22일 : 《생로병사의 비밀》종영.
- 1997년 2월 28일 : 《이것이 인생이다》금요일 마지막방송. 목요일로 이동.
- 1997년 3월 1일 : 《역사추리》종영.
- 1997년 3월 3일 :《KBS 뉴스(1TV)》OP 변경방송 중 로고 표시 위치를 상단에서 하단으로 변경(KBS) 및 《KBS 뉴스(1TV)》OP 변경
- 1997년 3월 6일 : 《이것이 인생이다》매주 목요일 저녁 19시 35분 방송.
- 1997년 3월 11일 :《TV 조선왕조실록》방영 시작.
- 1997년 5월 13일 : 《긴급구조119》화요일 마지막방송. 97년 봄개편에 따라 수요일로 이동.
- 1997년 5월 14일 : 《대추나무 사랑걸렸네》 수요일 마지막방송. 화요일로 변경.
- 1997년 5월 19일 : 평일 오후 방송 시작을 16시로 변경
- 1997년 5월 20일 : 《대추나무 사랑걸렸네》방송을 97년 봄개편에 따라 수요일에서 화요일로 이동.
- 1997년 6월 4일 : 《긴급구조119》수요일 저녁 19시 35분 방송.
- 1997년 10월 16일 : 《신세대 보고 - 어른들은 몰라요》KBS 2TV로 채널 변경.
- 1997년 10월 25일 : 《시네마 데이트》가을개편에 따라 KBS 1TV로 채널 변경. 토요일 오전 10시 방송.
- 1998년 1월 3일 :《시네마 데이트》토요일 마지막방송. 일요일로 이동.
- 1998년 1월 5일 : IMF불황으로 오전 방송을 2시간 축소(6시부터 11시 10분 까지) 및 오후 방송을 2시간 축소(17시부터)
- 1998년 1월 10일 : 《사랑의 리퀘스트》KBS 1TV로 채널 변경 및 토요일 오후 19시 35분 방송.
- 1998년 1월 11일 : 《시네마 데이트》일요일 오후 17시 15분 방송. 《KBS 오늘의 경제》13년만에 부활.
- 1998년 2월 9일 : 《체험 삶의 현장》 (KBS 1TV) 마지막 방송 (KBS 2TV로 채널 이전)
- 1998년 2월 10일 :《대추나무 사랑걸렸네》 화요일 마지막방송. 수요일로 이동.
- 1998년 2월 11일 : 《긴급구조 119》 (KBS 1TV) 마지막 방송 (KBS 2TV로 채널 이전)
- 1998년 2월 13일 : 《TV는 사랑을 싣고》금요일 마지막방송.KBS2TV로 이동.
- 1998년 2월 14일 : 《시네마 데이트》토요일 마지막방송. KBS 2TV로 채널 변경.
- 1998년 2월 15일 : 《시네마 데이트》KBS 1TV 마지막방송. KBS 2TV로 채널 변경.
- 1998년 2월 16일 : 주중 심야방송 폐지(오후 17시 ~ 24시) 및 《신세대 보고 - 어른들은 몰라요》KBS 1TV로 채널 복귀. 월요일 저녁 19시 35분 방송.
- 1998년 2월 18일 : 《대추나무 사랑걸렸네》2월 개편에 따라 수요일 저녁 19시 35분 방송.
- 1998년 5월 20일 ~ 5월 21일 16기 KBS 바둑왕전 생방송으로 생중계 방송 구(KBS위성1TV 위성방송(KBS1) 재송신 동시 편성) (오후 2시 ~ 오후 5시) (해설 노영하 八단, 장수영 九단)조훈현 九단 2:0 이창호 九단 을 꺾고 통산 11회 우승
- 1998년 5월 26일 : 《TV 조선왕조실록》종영.
- 1998년 6월 15일 :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방송 시간 및 채널 변경.
- 1998년 9월 28일 : 《신세대 보고 - 어른들은 몰라요》종영.
- 1998년 10월 12일 : KBS 1998 가을 개편 (KBS 1TV) 실시, 밤 12시부터 익일 오전 1시까지 주중 심야방송 재개.(오후 17시 ~ 새벽 1시) 및《TV내무반 신고합니다》신설. 《KBS 뉴스(1TV)》OP 변경 및 《KBS 마감뉴스》 방송 개시.
- 1998년 10월 16일 : 《접속! 신세대》방송 개시.
- 1998년 10월 17일 : 《역사스페셜》방송 시작.
- 1998년 10월 25일 : 밤 12시부터 익일 오전 1시까지 일요일 심야방송 개시
- 1999년 1월 8일 : 접속! 신세대 코너《도전! 골든벨》 신설. 10회 방송 당시 코너 3개로 구성 <유아독존 내 마음을 받아줘/도전 골든벨/결전! 점프 챔프>
- 1999년 4월 16일 : 접속! 신세대 코너《도전! 골든벨》24회 방송 당시 코너 3개중 코너 2개로 구성 <도전 골든벨/결전! 점프 챔프>
- 1999년 4월 28일 : 《사람과 사람들》종영.
- 1999년 5월 1일 : KBS 1999 봄 개편 (K BS -TV) 실시,《사랑의가족》을 일요일에서 다시 토요일로 이동.
- 1999년 5월 9일 : 《긴급구조 119》가 다시 KBS 1TV로 채널 복귀 (일요일 편성으로 방송분량 30분)
- 1999년 10월 10일 : 《긴급구조 119》 (KBS 1TV) 마지막 방송 (종방 또는 2003년 5월 26일 KBS 2TV로 채널 이전 및 화요일 저녁 7시로 방송 시간 변경)
- 1999년 10월 17일 :《국악한마당》 일요일 마지막방송. 토요일로 이동.
- 1999년 10월 18일 : KBS 1999 가을 개편 (KBS 1TV) 실시, 오전 방송 시작을 새벽 5시 55분으로 변경.
- 1999년 10월 23일 : 《국악한마당》일요일 낮 12시 10분 방송.《퀴즈 탐험 신비의 세계》 방송 시간 및 채널 변경 오후 17시10분 방송.
- 2000년 1월 1일 : 《KBS 뉴스 9》 뉴스 스튜디오 새단장
- 2000년 1월 24일 : 평일 오후 방송 시작을 5시에서 4시 10분으로 환원.
- 2000년 2월 27일 : 《쇼 행운의 신용카드》 (매월 마지막 주 토요일 방송) 신설.
- 2000년 3월 3일 : 《KBS 공사창립 27주년 기념 이창호 · 루이나이웨이 특별대국》 공사창립 27주년 기념 대국 (KBS위성1TV 위성방송(KBS1) 재송신 동시 편성)
- 2000년 4월 30일 : 《시청자 의견을 듣습니다》종영
- 2000년 5월 2일 : 《피플 세상속으로》방영 시작.
- 2000년 5월 5일 : 《VJ특공대》 방송 개시(임시 가제 《TV특공대》).
- 2000년 5월 6일 : 주말 오전 방송 5분 축소, 《TV는 내친구》방영 개시.
- 2000년 5월 7일 : 《체험 삶의 현장》 KBS1TV로 이동.
- 2000년 7월 26일 : 《영상기록 병원 24시》KBS 1TV로 채널 변경. 수요일 밤 0시 방송.
- 2000년 10월 3일: 《피플 세상속으로》 화요일 마지막 방송. 목요일로 이동.
- 2000년 10월 4일 : 《영상기록 병원 24시》수요일 마지막방송. 가을개편에 따라 KBS 2TV로 채널 변경. 일요일로 변경.
- 2000년 10월 6일 : 《VJ특공대》 마지막방송. 가을개편에 따라 KBS 2TV 채널 변경 (현재 종영).
- 2000년 10월 8일 :《KBS 오늘의 경제》 일요일 마지막 방송. (KBS 2TV)로 채널이동. 가을개편에 따라 토요일로 변경.
- 2000년 10월 12일 : 《피플 세상속으로》목요일 저녁 19시 35분 방송.
- 2000년 10월 14일 : 《가족오락관》 채널 이전 및 방송 시간 변경.
- 2000년 12월 29일 : 《남북의 창》종영.
- 2001년 4월 30일 : 오후 방송을 오후 16시 10분에서 16시로 변경.
- 2001년 5월 7일 : 《영상기록 병원 24시》KBS 1TV로 채널 복귀. 월요일 밤 0시 방송.
- 2001년 11월 1일 : 《피플 세상속으로》목요일 마지막방송. 화요일로 이동.
- 2001년 11월 5일 : KBS 뉴스네트워크가 KBS 뉴스투데이와 통합, KBS 뉴스 7 (KBS 2TV)으로 확대 개편. KBS 2TV로 채널 이동《KBS 뉴스 헤드라인》신설. KBS 뉴스 (1600) 재신설.《인간극장》매주 월~금 저녁 19시 방송.
- 2001년 11월 6일 : 《피플 세상속으로》화요일 밤 22시 방송.
- 2001년 11월 9일 :《KBS 오늘의 경제》가을 개편에 따라 채널 이동 및 금요일 밤 23시45분 방송.
- 2001년 11월 11일 : 《도전! 골든벨》<충남 천안고등학교 - 최종문제:44번> 방송 시간 변경 및 KBS 1TV로 채널 복귀 (현재 방영 중단)(일요일 저녁 7시 10분 ~ 8시)(역대 방송시간의 방송채널 변경으로 최장수 방송채널 기록)
- 2002년 2월 26일 : 구 KBS 위성 1TV 폐국 및 KBS 1TV 재송신 종료(재송신 기준, 현재 KBS N 라이프(구 KBS 코리아로 통합),KBS W)
- 2002년 2월 27일 : KBS 1TV 방송 프로그램 방송 중 상단 오른쪽의 로고 표시 실시(KBS1) (단 1TV 뉴스 프로그램은 제외)
- 2002년 3월 26일 : 《피플 세상속으로》 화요일 마지막방송.
- 2002년 4월 1일 : KBS 뉴스 (1150)에서 KBS 정오뉴스(월~금 오전 11시 55분 ~ 낮 12시 15분 - 15분)로 개편.
- 2002년 4월 4일 : 《피플 세상속으로》목요일 저녁 19시 30분 방송.
- 2002년 5월 31일 : 2002년 FIFA 월드컵 기간 24시간 종일방송
- 2002년 10월 25일 : 《인간극장 김우빈배우》마지막 채널 방송. KBS 2TV로 채널 변경 및《KBS 뉴스 헤드라인》종영.
- 2002년 10월 28일 : KBS 뉴스 7이 KBS 뉴스 8와 분리, KBS 뉴스네트워크로 명칭 환원 및 KBS 1TV로 채널 환원.
- 2002년 10월 29일 : 《생로병사의 비밀》6년만에 부활 재신설.
- 2003년 4월 7일 : 《아침마당》 <명랑발언대 - 우리는 새내기> 2003년 29기 KBS 아나운서 출연
- 2003년 5월 12일 : 《TV내무반 신고합니다》 종영
- 2003년 5월 19일 : 《청춘! 신고합니다》 방영.
- 2003년 6월 20일 :《KBS 오늘의 경제》금요일 마지막방송. 일요일로 이동.
- 2003년 6월 21일 : 《TV는 내친구》와 《역사스페셜》종영.
- 2003년 6월 28일 : 《TV비평 시청자데스크》 방영 개시.
- 2003년 6월 29일:《KBS 오늘의 경제》일요일로 이동. 밤 23시 방송.
- 2003년 10월 31일 : 《좋은나라 운동본부》금요일 마지막방송. (KBS 2TV)로 채널 변경. 일요일로 이동.
- 2003년 11월 7일 : 《신화창조의 비밀》방영 시작.
- 2003년 11월 9일 : 《남북의 창》3년만에 부활.
- 2004년 1월 1일 : KBS 1TV 방송 프로그램 방송 중 상단 오른쪽에서 왼쪽 로고 표시 위치 변경(KBS1), KBS 1TV 뉴스프로그램 방송 중 상단 오른쪽의 로고 복귀(KBS → KBS1) (1TV 뉴스 프로그램은 굵은 글자 로고 표시)
- 2004년 9월 3일 : 《가요무대》MC 진행자 전인석 아나운서 2004년 한국방송대상 아나운서상 수상
- 2004년 10월 31일 : 《 퀴즈 탐험 신비의 세계》 종영. 《KBS 오늘의 경제》 일요일 마지막 방송. 평일로 이동 및 (KBS 2TV)로 채널 변경.
- 2004년 11월 6일 : 《우리말 겨루기》방송 시간 변경. KBS 1TV로 채널 이전.《콘서트7080》방영 개시.
- 2005년 1월 2일 : 《영상앨범 산》방영 시작.
- 2005년 4월 26일 : 《이것이 인생이다》종영.
- 2005년 3월 3일 : 《아침마당》 <해피타임> 2005년 31기 KBS 아나운서 출연 (이정민 아나운서(현 여자 MC) 등 출연)
- 2005년 5월 3일 : 《구TV는 사랑을 싣고》가 《신 TV는 사랑을 싣고》로 변경 및 KBS1TV로 채널 복귀. 화요일 저녁 19시30분 방송.
- 2005년 5월 6일 : 《역사스페셜》2년만에 부활.
- 2005년 5월 8일 : 《24기 KBS 바둑왕전》KBS 코리아(이후 폐국)(현 KBS N 라이프 구 KBS 프라임 으로 이관)에서 1TV로 이동.
- 2005년 10월 24일 : 《영상기록 병원 24시》종영.
- 2005년 10월 28일 : 《신화창조의 비밀》종영.
- 2005년 10월 31일 :《KBS 오늘의 경제》 가을 개편에 따라 (KBS 1TV)채널 복귀.
- 2005년 11월 5일 :《러브인아시아》방송 시작.
- 2005년 11월 6일 : 《신화창조》방영 시작.
- 2005년 12월 1일 : U-KBS STAR 방송 개시, 평일 지상파 낮 방송 개시, KBS 정오뉴스가 클릭 날씨@생활과 통합, 《KBS 뉴스 12》로 확대 개편 및 《KBS 뉴스 2》방영 개시, KBS 뉴스 수화방송 (1TV) 장소를 일반 뉴스 스튜디오에서 별도로 분리하여 방영 개시.
- 2006년 1월 1일 : 《영상앨범 산》시간이 23시 45분으로 변경.
- 2006년 9월 24일 : 《신화창조》종영.
- 2006년 9월 29일 : 《역사스페셜》종영.
- 2006년 11월 3일 :《과학카페》방송 시작.
- 2006년 11월 16일 : 《피플 세상속으로》목요일 마지막 방송. 금요일로 이동.
- 2006년 11월 24일 : 《피플 세상속으로》금요일 저녁 19시 30분 방송.
- 2007년 1월 1일 : 《KBS 930 뉴스》, 《KBS 뉴스 5》, KBS 뉴스네트워크, KBS 주말뉴스 HD 방송 시작. KBS 1TV 뉴스 프로그램 스튜디오 임시 단장 및 《KBS 뉴스(1TV)》OP 변경
- 2007년 3월 1일 : KBS 1TV 뉴스 프로그램 오픈 뉴스 스튜디오 새 단장 및 《KBS 뉴스(1TV)》OP 변경
- 2007년 4월 24일 : '2007 KBS TV 봄 프로그램 개편 설명회' 의 KBS 아나운서의 도전! 골든벨 - MC 前 오정연 등,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거행함. 《TV는 사랑을 싣고》 화요일 마지막 방송. 금요일로 이동.
- 2007년 4월 26일 : 《청춘! 신고합니다》 종영.
- 2007년 4월 27일 : 《TV유치원 하나둘셋》 마지막방송. KBS2TV로 이동.《과학카페》금요일 마지막방송. 토요일로 이동. 《피플 세상속으로》종영.
- 2007년 4월 28일 : 《러브인아시아》토요일 마지막방송. 목요일로 이동.
- 2007년 4월 30일 : KBS 뉴스 (1600)가 경제포커스와 통합, KBS 오늘의 경제로 확대 개편 및 HD 방송 개시 및 KBS 마감뉴스 방영 개시
- 2007년 5월 3일 :《러브인아시아》봄개편에 따라 목요일 저녁 19시 30분 방송.《다큐멘터리 3일》신설. (2009년 12월 26일 방송)
- 2007년 5월 4일 : 《TV는 사랑을 싣고》 금요일 저녁 19시 30분 방송.
- 2007년 5월 5일 : 《과학카페》토요일 저녁 19시 10분 방송.
- 2007년 7월 1일 : 《KBS 뉴스광장》, 《KBS 뉴스 12》 HD 방송 개시
- 2007년 10월 10일 : 《대추나무 사랑걸렸네》 종영
- 2007년 10월 24일 : 《산 너머 남촌에는》 신설.
- 2008년 3월 25일 : 《생로병사의 비밀》화요일 마지막방송. 일요일로 변경.
- 2008년 3월 27일 : 《다큐멘터리 3일》과《러브인아시아》목요일 마지막방송. 《러브인아시아》는 화요일로변경.《다큐멘터리 3일》은 토요일로 이동.
- 2008년 3월 31일 : 《KBS 뉴스 9》KBS 1TV 뉴스 프로그램 오픈 뉴스 스튜디오 장소 이동.
- 2008년 4월 5일 : 《다큐멘터리 3일》토요일 밤 22시 10분 방송.
- 2008년 4월 6일 : 《생로병사의 비밀》일요일로 방송. 밤 22시 20분 방송.
- 2008년 7월 26일 : KBS 마감뉴스 주말 방영 개시(토요일 ~ 일요일 밤 12시 50분 ~ 12시 55분,5분), 《KBS 바둑왕전》 (27기) 5분 늦춰 방송시간 변경(토요일 밤 12시 55분)
- 2008년 11월 15일 : 《과학카페》와 《콘서트7080》토요일 마지막방송. 화요일로 이동.《과학카페》는 화요일로 변경.《콘서트7080》은 일요일로 변경.
- 2008년 11월 16일 : 《생로병사의 비밀》일요일 마지막방송. 목요일로 이동.
- 2008년 11월 18일 : 《느티나무》방영 시작.《과학카페》화요일 밤 23시 30분 방송.
- 2008년 11월 20일 : 《생로병사의 비밀》목요일로 이동 및 밤 22시 방송.
- 2008년 11월 23일 : 《콘서트7080》토요일에서 일요일로 변경.
- 2009년 2월 24일 : 《과학카페》화요일 마지막방송. 토요일로 이동.
- 2009년 3월 7일 :《과학카페》토요일 저녁 19시 10분 방송.
- 2009년 4월 18일 : 《가족오락관》 25년만에 종영
- 2009년 4월 20일 : 《인간극장 김우빈배우》과 《TV유치원 하나둘셋》KBS 1TV로 채널 복귀.
- 2009년 7월 4일 : 《역사스페셜》3년만에 재부활.
- 2009년 12월 26일 : 《다큐멘터리 3일》토요일 마지막방송. KBS 2TV로 채널 이동.
2.4 디지털 시대[ | ]
- 2010년 5월 6일 : 《TV유치원 하나둘셋》마지막방송. KBS2TV로채널 이동.
- 2010년 5월 7일 : 《느티나무》종영.
- 2010년 5월 8일 : 《신 TV는 사랑을 싣고》종영 및 《과학카페》토요일 마지막방송. 월요일로 이동.
- 2010년 5월 10일 :《과학카페》월요일 밤 11시 30분 방송. 《KBS 뉴스(1TV)》OP 뉴스 로고 변경
- 2010년 11월 18일 : 《생로병사의 비밀》목요일 마지막 방송. 토요일로 이동.
- 2010년 11월 27일 : 《생로병사의 비밀》 토요일로 이동. 토요일 밤 8시 방송.
- 2010년 12월 26일 : 《체험 삶의 현장》과 《영상앨범 산》(KBS 1TV) 마지막 방송.《체험 삶의 현장》은 KBS 2TV로 채널 이전 및 목요일 밤으로 방송 시간 변경 및 《영상앨범 산》은 일요일로 (KBS2TV)로 채널 변경.
- 2011년 1월 1일 : KBS 2011년 대개편. : KBS 1TV 방송 프로그램 방송 중 상단 왼쪽에서 오른쪽 로고 표시 위치 변경(KBS1), KBS 1TV 뉴스프로그램 방송 중 상단 오른쪽에서 왼쪽 표시 변경(KBS1) (1TV 뉴스 프로그램은 굵은 글자 로고 표시)
- 2011년 1월 6일 : 《한국인의 밥상》 신설.
- 2011년 5월 25일 :《산 너머 남촌에는》수요일 마지막방송. 일요일로 이동.
- 2011년 5월 30일 : 《KBS 뉴스네트워크》뉴스 마지막 방송
- 2011년 5월 30일 : 《KBS 뉴스네트워크》에서 《KBS 뉴스 7》로 개편
- 2011년 6월 5일 : 《산 너머 남촌에는》일요일 오전 10시 방송.
- 2011년 11월 6일 : KBS TV 2011년 가을 개편
- 2011년 11월 27일 : 《KBS 뉴스 옴부즈맨》(매월 마지막 주 일요일 방송) 신설.
- 2012년 2월 26일 : 《산 너머 남촌에는》 종영.
- 2012년 3월 5일 : KBS 1TV 방송 프로그램 방송 중 오른쪽 로고 표시 및 KBS 1TV 뉴스프로그램 방송 중 상단 오른쪽에서 표시 통폐합(KBS1)
- 2012년 3월 31일 : 《6시 내고향》 - 5,000회 특집 방영 <경상북도 영천시 화북면 입석리 에서 기념 특집 방송>
- 2012년 5월 7일 : 《과학카페》종영.
- 2012년 5월 18일 :《강연 100도씨》방영 시작.
- 2012년 5월 20일 《산 너머 남촌에는 2》 방영 개시.
- 2012년 10월 8일 : 24시간 종일방송 개시,[8] 《KBS 뉴스 (500)》 재신설.
- 2012년 12월 13일 : 《역사스페셜》종영.
- 2012년 12월 31일 : 새벽 4시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 종료
- 2013년 1월 1일 :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전환.
- 2013년 3월 10일 : 《KBS 바둑왕전》(제31기) (결승 3국 - 최종국) (이창호 九단 - 패자 : 박정환 九단 - 승자) 2:1 역전 우승으로 노영하 九단 마지막 고별 해설자.
- 2013년 3월 17일 : 《KBS 바둑왕전》(제32기) 박정상 九단 첫 해설자.
- 2013년 4월 5일 : 《강연 100도씨》금요일 마지막방송. 일요일로 이동.
- 2013년 4월 6일 : 《생로병사의 비밀》토요일 마지막방송. 수요일로 이동.
- 2013년 4월 7일 : 《KBS스페셜》종영.
- 2013년 4월 8일 : KBS TV 2013년 봄 개편, 《KBS 글로벌 24》 신설 및 《긴급출동 24시》방송 시작, 《6시 내고향》 진행자 변경 - 남자 김재원 아나운서(3번 이상 재진행)(이후 단독 프로그램 하지 못함), 가애란 아나운서(첫진행)
- 2013년 4월 10일 : 《대한민국 행복발전소》방영 시작 및《생로병사의 비밀》수요일로 이동. 수요일 밤 22시 방송.
- 2013년 4월 14일 : 《강연100도씨》일요일 밤 20시 방송.
- 2013년 6월 30일 : 《전국노래자랑》 2013 상반기 결선(진행자 송해, 엄지인 아나운서) 마지막 방송으로 이후 2014년 연말 결선으로 통합 및 대체.
- 2013년 10월 16일 : 지상파 디지털 TV 방송 채널 재배치.
- 2013년 10월 21일 : KBS TV 2013년 가을 개편, 《KBS 오늘의 경제》가 《KBS 뉴스 (1400)》와 통합 KBS 뉴스토크로 확대 개편, 《KBS 글로벌 24》가 KBS 2TV로 채널 환원.
- 2013년 10월 26일 : 《역사저널 그날》방영 시작.
- 2014년 4월 2일 : 《대한민국 행복발전소》종영.
- 2014년 4월 7일 : KBS TV 2014년 봄 개편, 《시사진단》 신설,
- 2014년 4월 9일 : 《좋은나라 운동본부》부활. 수요일 저녁 19시 30분 방송.
- 2014년 4월 14일 : 《강연100도씨》일요일 밤 20시 방송. 《6시 내고향》 여자 진행자 변경 - 김솔희 아나운서
- 2014년 4월 ~ 5월 : 세월호 침몰 사고 및 KBS 노조 파업의 여파로 일부 프로그램 중단.
- 2014년 7월 13일 : 《도전! 골든벨》 <전북여자고등학교 편 - 100대 골든벨 김희주(당시 3학년)> 으로 100대 골든벨 금자탑 달성 첫 골든벨이 등극한지 5,623일만에 달성(전라북도 지역은 역대 최장 공백기로 4,895일만에 등극)
- 2014년 8월 27일 : 《좋은나라 운동본부》종영.
- 2014년 9월 1일 : 《KBS 뉴스토크》에서 《KBS 뉴스 (1500)》로 명칭 변경. 《긴급출동 24시》종영.
- 2014년 12월 26일 : 《명화극장》 방송 종료
- 2014년 12월 27일 : 《사랑의 리퀘스트》 종영. (백승주 아나운서의 이후 프로그램 마지막 진행자)
- 2014년 12월 28일 : 《산 너머 남촌에는 2》 종영. 《전국노래자랑》 2014 연말 결선(진행자 송해, 이정민 아나운서)의 진행으로 이후 2013년 상반기 결선 폐지로 2014년 연말 결선으로 통합
- 2014년 12월 30일 : 《러브인아시아》화요일 마지막방송. 일요일로 이동. 《KBS 뉴스라인》이지연(小) 아나운서 여자 마지막 앵커, 이후 뉴스프로그램 마지막 진행자.
- 2014년 12월 31일 : 《세상은 넓다》(주 5회)마지막 방송. (KBS 2TV)로 채널 이동으로 주1회 편성 변경 및《KBS 뉴스 9》 이현주 아나운서 여자 마지막 앵커, 이후 뉴스프로그램 마지막 진행자.
- 2015년 1월 1일 : KBS 2015년 대개편으로 KBS 1TV의 뉴스 프로그램 진행자 대거 변경으로 쇄신됨. 《KBS 뉴스(1TV)》OP 변경,
- 2015년 1월 1일 ~ 2018년 4월 13일 : KBS 뉴스 9 평일 앵커였던 황상무 기자의 주말 임시 앵커의 다른 남성 앵커 없이 단독 독덤 임시 진행
- 2015년 1월 2일 : 《KBS 뉴스 (1500)》에서 《KBS 뉴스 4》로 명칭 변경.
- 2015년 1월 3일 : 《시니어 토크쇼 황금연못》방영 개시.
- 2015년 1월 4일 : 《러브인아시아》일요일 오전 11시 방송, 《도전! 골든벨》 <경기 성남 계원예술고등학교 편 - 최종문제:50번 골든벨 문제 탈락> 으로 2015년 1월 4일 부터 대개편으로 새단장으로 프로그램 명칭 OP 변경과 도전 상황의 직선 글자 자막 표시 변경과 정답 발표 모습 변경과 최후의 1인 도전자의 학생이 확정 이후 무대 세팅에서 기존 밝은 표현이 이후 어두운 밤으로 표현하여 변경함. (최종 50번 골든벨 문제 까지 도전함)
- 2015년 2월 8일 : 《콘서트7080》일요일 마지막방송. 토요일로 이동.
- 2015년 2월 14일 : 《콘서트7080》토요일 밤 11시 20분 방송.
- 2015년 2월 22일 : 《러브인아시아》종영.
- 2015년 3월 3일 : 《이웃집찰스》방영 시작.
- 2015년 4월 6일 : 《KBS 뉴스 4》에서 《KBS 오늘의 경제》로 명칭 변경.
- 2015년 4월 12일 : 《강연 100도씨》종영. ,《열린음악회》 17년만에 진행자 변경 이현주 아나운서(현재 진행중)
- 2015년 5월 31일 : 《오! 할매》 방영
- 2015년 7월 23일 : 《오! 할매》 종영
- 2015년 9월 1일 : 지역총국 실시간방송지원
- 2015년 10월 2일 : 《TV비평 시청자데스크》 여자 진행자 변경 (백정원 아나운서(재진행)) (현재 진행중)
- 2016년 2월 18일 : 《KBS스페셜》3년만에 부활.
- 2016년 4월 14일 ~ 4월 16일 : 《6시 내고향》6000회 특집 - <토종 씨앗축제> 특집으로 한마당을 펼침. (진행 및 MC 김재원(재진행), 김솔희 아나운서)
- 2016년 4월 22일 : 《KBS 오늘의 경제》 종영.
- 2016년 4월 25일 : KBS TV 2016년 봄 개편, 시사진단이 4시 뉴스집중으로 확대 개편, 《인간극장》내레이션 변경 (이규원 아나운서(내레이션)) (현재 진행중)
- 2016년 5월 1일 : 《도전! 골든벨》 <충북 청주 오송고등학교 편 - 최종문제:47번> 으로 5분 확대(저녁 7시 10분 ~ 8시 5분)
- 2016년 6월 26일 : 《KBS 뉴스 옴부즈맨》(매월 마지막 주 일요일 방송)(진행자 故 박태남 아나운서) 종영. (종영 이후 《TV비평 시청자데스크》 코너인 <뉴스 비평>(매월 3째주 방송)으로 일부 코너 흡수와 《저널리즘 토크쇼 J》 일부 내용 통합)
- 2016년 7월 1일 : 《아침마당》 여자 MC의 1998년 6월 15일 진행 이후 18년 만에 진행자 변경 (이금희 前 아나운서 · 방송인 → 엄지인 아나운서)
- 2016년 8월 5일 : 《생방송 심야토론》종영.
- 2016년 8월 8일 : 방송 1시간 축소.
- 2016년 8월 : 리우 하계올림픽 중계방송으로 인하여 임시로 24시간 방송 실시.
- 2016년 8월 22일 : 방송 시작을 새벽 5시로 환원.
- 2016년 9월 4일 : 《생방송 심야토론》에서 《생방송 일요토론》으로 명칭 변경.
- 2016년 10월 2일 : 《101세의 프러포즈》방영 개시 및 《강연100도씨》부활.
- 2016년 10월 8일 : 《노래가 좋아》 방영 개시.
- 2016년 10월 22일 : 《콘서트7080》토요일 마지막방송. 금요일로 이동.
- 2016년 10월 28일 : 《콘서트7080》 금요일 밤 11시 40분 방송.
- 2016년 12월 3일 : 《노래가 좋아》 저녁 8시에서 오전 10시30분으로 변경.
- 2016년 12월 12일 : 《아침마당》 여자 MC 진행자 변경 (오유경 아나운서)
- 2017년 2월 19일 : 《도전! 골든벨》 방송시간 5분 확대 및 1시간 편성(저녁 7시 10분 ~ 8시 10분)
- 2017년 2월 22일 : 《KBS 뉴스 옴부즈맨》(종영)(매월 마지막 주 일요일에 방송) 진행자였던 (故 박태남 아나운서) 별세
- 2017년 3월 19일 : 《강연100도씨》종영.
2.5 UHD 시대[ | ]
- 2017년 5월 31일 : UHD 방송 개시.
- 2017년 9월 4일 ~ 2018년 1월 22일 : KBS 노조 파업의 여파로 일부 임시 진행(1TV 뉴스 포함)으로 대체 및 해당 1TV 프로그램 결방으로 인하여 중단 · 방송시간 단축 및 종료.
- 2017년 10월 8일 : 《도전! 골든벨》 방송 중단.
- 2017년 11월 8일 : 《아침마당》 수요일 코너 <전국 이야기 대회 - 도전! 꿈의 무대>로 첫 방영. (윤인구 아나운서의 KBS 공영방송 총 파업으로 인하여 오유경 아나운서 여자 MC 단독 진행)
- 2017년 12월 9일 : 《같이 삽시다》 방영 시작.
- 2017년 12월 31일 : 《전국노래자랑》2017 연말결선 방영 (진행 - 송해, 홍진영)《도전! 골든벨》 2017 왕중왕전 편성 취소
- 2018년 1월 26일 : 《TV비평 시청자데스크》 남자 진행자 변경 (이재후 아나운서) - KBS 공영방송 총 파업으로 인하여 진행기간 변경.
- 2018년 2월 8일 ~ 2월 28일 : 평창올림픽 주관방송의 《평창올림픽 라이브》 중계방송 실시.
- 2018년 3월 1일 : 《KBS 뉴스 9》KBS 뉴스 홈페이지의 과거 1987년 1월 1일 ~ 2000년 3월 31일 까지 과거 다시보기 서비스 실시
- 2018년 3월 4일 : 《도전! 골든벨》 부산 부경보건고(만학도) 최종문제:44번 탈락 이후 5개월 만의 방송 재개.
- 2018년 3월 12일 : 《아침마당》 남자 MC 윤인구 아나운서의 파업 이후 복귀(오유경 아나운서의 여자 MC와 함께 진행함)
- 2018년 4월 16일 : KBS 1TV 2018년 봄개편. 및 《KBS 뉴스 9》 3년 3개월 16일만의 평일 앵커 변경 - 남자 김철민, 여자 김솔희 아나운서 변경, 《6시 내고향》여자 진행자 변경 - 이지연(小) 아나운서(4월 16일 ~ 5월 27일, 역대 40일 미만의 최단 여성 진행자)
- 2018년 4월 23일 : 《KBS 930 뉴스》 여자 앵커 마지막 진행자 박지현 아나운서 변경
- 2018년 5월 28일 : 《아침마당》 김재원 (재진행) 남자 MC, 이정민 아나운서 여자 새 MC · 《6시 내고향》 윤인구 남자 MC, 가애란 아나운서 - 여자 재진행 MC(2명의 아나운서는 《도전! 골든벨》 남녀MC로 진행했음) (이상 2개의 프로그램과 2명 모두 진행한 프로그램은 현재 2년 5개월 이후 진행중)
- 2018년 6월 16일 : 《생방송 일요토론》에서 《엄경철의 심야토론》으로 명칭 변경.
- 2018년 6월 17일 : 《저널리즘 토크쇼 J》방송 개시.
- 2018년 6월 18일 : 4시 뉴스집중이 사사건건으로 명칭 변경.
- 2018년 7월 1일 : 《101세의 프러포즈》 종영.
- 2018년 7월 5일 : 《시청자칼럼 우리사는 세상》 20년 만에 종영.
- 2018년 7월 13일 :《거리의 만찬》방영 시작.
- 2018년 7월 21일 : 《같이 삽시다》 종영.
- 2018년 8월 5일 : KBS 홈페이지 개편으로 최적화로 1TV 프로그램 과거 종영 프로그램과 방영 프로그램의 다시보기 일부 삭제 및 종영 프로그램 삭제(일부 2012년 ~ 2016년, 2017년 ~ 이후 ) 기준
- 2018년 8월 5일 : 《도전! 골든벨》 <908회 경기 안양 근명여자정보고등학교 편(방송일의 참가 학교명 변경 - 7월 29일 → 8월 5일(1주일 연기)) - 최종문제:45번 탈락> 으로 최후의 1인 이유민( 학과 미확정 2학년,33번) 학생이 답판 위의 화이트보드 모자이크 처리로 동일 범죄 사건.
- 2018년 9월 7일 : 《콘서트7080》금요일 마지막방송. 토요일로 이동.
- 2018년 9월 8일 : 《KBS 뉴스 (500)》 종영
- 2018년 9월 9일 : 《도전! 골든벨》 <913회 - 특집 청소년 참여법정 참여인단 편 - 최종문제:50번 골든벨 문제 탈락> 으로 프로그램명 로고 3개월 8개월 만의 변경
- 2018년 9월 10일 :《KBS 930 뉴스》 남자 앵커 진행자 김은성 아나운서 변경,《오늘밤 김제동》 신설.
- 2018년 9월 14일 : 《추적 60분》 금요일 밤 10시 50분 변경 및 KBS 1TV로 채널 환원.
- 2018년 9월 15일 : 《콘서트7080》 토요일 밤 23시40분으로 이동.
- 2018년 9월 28일 : 《TV는 사랑을 싣고》 8년 만에 부활.
- 2018년 10월 7일 : 《도전! 골든벨》 <2018 제4회 한글 골든벨 편 - 최종문제:49번 탈락> 2명 진행자(KBS 43기 공채 아나운서) 강성규 아나운서와 함께 진행한 여자 MC 이혜성 前 아나운서의 이씨 여자 아나운서에만 최초로 진행함
- 2018년 10월 31일 :《비상소집 - 전국이장회의》방영 개시.
- 2018년 11월 2일 : 《콘서트 7080》 14년 만에 종영.
- 2018년 11월 24일 :《김영철의 동네 한 바퀴》방송 시작.
- 2018년 11월 29일 : 《KBS 뉴스라인》 24년 만에 임시 종영.
- 2018년 12월 3일 : 《KBS 뉴스라인》임시 종영으로 KBS 마감뉴스 개편 및 재방영 개시.
- 2018년 12월 30일 : 《전국노래자랑》2018 연말결선 방영 (진행 - 송해, 홍진영)《도전! 골든벨》 2018 왕중왕전 재편성
- 2019년 1월 1일 : KBS 1TV 2019년 KBS 대개편. KBS 1TV 뉴스 프로그램《KBS 뉴스 9 평일 - 엄경철 앵커, 이각경 아나운서(이상 2명의 평일 앵커 중 마지막 남성 앵커, 여자 아나운서 마지막 앵커)》주말 임시 앵커의 다른 남성 앵커 없이 단독 독덤 임시 진행 , 《KBS 뉴스 7 - 김솔희 아나운서》 방송 변경 및 진행자 변경 및 . 《KBS 뉴스(1TV)》OP 변경
- 2019년 2월 16일 : 《엄경철의 심야토론(진행자 엄경철 - 前 KBS 뉴스 9 평일 앵커)》에서 《생방송 심야토론》으로 명칭 환원.
- 2019년 3월 10일 : 《도전! 골든벨》 <939회 대구 운암고등학교 편 - 최종문제:50번 골든벨 문제 등극, 125대 골든벨 송명(당시 2학년), 남학생은 630일만에 등극, 역대 2번째로 여자MC 첫진행으로 2,251일만에 등극함> 으로 강서은 아나운서의 역대 진행자 중 여자MC의 30대가 진행자 변경(여자 아나운서에만 진행함)
- 2019년 4월 5일 : 《TV비평 시청자데스크》 남자 진행자 변경 (김태규 아나운서) (현재 진행중)
- 2019년 6월 2일 : 《일요진단》에서 《일요진단 라이브》로 명칭 변경.
- 2019년 6월 12일 : 《비상소집 - 전국이장회의》종영.
- 2019년 8월 29일 : 《오늘밤 김제동》 종영.
- 2019년 8월 30일 : 《추적 60분》 36년 만에 종영.
- 2019년 9월 16일 : 2019년 KBS 가을편성변경 실시, 《1TV KBS 뉴스 2》(2TV KBS 2시 뉴스타임에서 채널 이동과 이후 2TV KBS 3시 뉴스타임 재편성, 및《다큐멘터리 3일》이 (KBS 1TV)로 채널 환원,《거리의 만찬》이 (KBS 2TV)로 채널 이동.
- 2019년 9월 20일 : 《다큐멘터리 3일》채널 이동 및 금요일 밤 22시방송.
- 2019년 9월 23일 : 《더 라이브》 방송 개시.
- 2019년 9월 26일 : 《KBS스페셜》종영.
- 2019년 10월 3일 : 《다큐 인사이트》 방송 개시.
- 2019년 10월 4일 : 《시사직격》 방송 개시.
- 2019년 10월 20일 : 《도전! 골든벨》 <968회 인천영선고등학교 편 - 최종문제:49번 탈락> 으로 프로그램명 로고 변경(2014년 12월 28일 이후 복귀)
- 2019년 11월 25일 : 《KBS 뉴스 9》평일 앵커 변경으로 여성 최초로 기자가 앵커로 진행(이소정 기자), 남성 아나운서(최동석 아나운서)가 최초로 진행, 《KBS 뉴스광장》 여자 앵커 변경 (김도연 아나운서)
- 2019년 11월 30일 : 《KBS 뉴스 9》주말 앵커 변경 (남성 - 정연욱 기자, 여성 - 박지원 아나운서), 《KBS 뉴스광장》 여자 앵커 변경(변우영 아나운서)
- 2019년 12월 3일 :《바다 건너 사랑》방송 시작.
- 2019년 12월 29일 : 《KBS 바둑왕전》 38기 끝으로 임시 종영.
- 2020년 3월 4일 : 코로나19 여파로 《코로나19 통합뉴스룸》 뉴스 방송 시작.
- 《KBS 930 뉴스》, 《KBS 뉴스 2》, 《KBS 뉴스 5》, 《KBS 마감뉴스》, 《KBS 주말 뉴스》 등의 《코로나19 통합뉴스룸》으로 방송.
- 2020년 3월 28일 : 《도전! 골든벨》(988회 충북 청주여자고등학교 (2번 이상 재도전) (131대 골든벨 류한나 - 당시 2학년(현 3학년 재학중)) 마지막 골든벨 <명예의 전당> 의 최후의 등극자.
- 2020년 4월 5일 : 《도전! 골든벨》 마지막 참가학교의 회차(990회 대전동산고등학교 (2번 이상 재도전) 최종문제:46번 - 과거 첫도전(2001년 12월 30일 방영 당시-2001년 마지막 방송) 이후 2명 동시 탈락의 같은 최종문제의 3번 이상(3번 동시 탈락) 탈락) 방영.
- 2020년 4월 12일 ~ 6월 28일 : 《도전! 골든벨》한회의 정규 회차 없이 스페셜(5부) 및 온라인 특집(7부)으로 대체 변경 (이 중에서 1,000회 특집은 방영되지 않았으나 공식적인 회차에 가산되지 않았음)
- 2020년 6월 19일 : 《TV는 사랑을 싣고》종영.
- 2020년 6월 20일 : 《노래가좋아》마지막 방송(KBS 2TV)로 채널 이동. 매주 화요일 밤 8시 30분.
- 2020년 6월 23일 : 《바다 건너 사랑》화요일 마지막방송. 일요일로 이동.
- 2020년 6월 25일 : 《사랑의 가족》 목요일 마지막방송. 토요일로 이동.
- 2020년 6월 26일 : 《한국인의 노래》방송 시작. 《다큐멘터리 3일》마지막방송. (KBS 2TV)로 채널 이동. 일요일 밤 11시 5분 방송.
- 2020년 6월 28일 : 《도전! 골든벨》 20년 만에 이후 임시 종영(MC 강성규, 박지원 아나운서). 이후 코로나 감염 예방 관계로 방영 재개 미확정(남현종, 송지원 아나운서 진행 미확정)
- 2020년 6월 29일 : 《KBS 뉴스 7》 남자 앵커 변경으로 재진행(이규봉 아나운서),《KBS 뉴스 9》평일 남자 앵커 변경으로 남성 2번쨰로 앵커로 진행(박노원 아나운서),《KBS 뉴스라인》 1년 7개월 만에 재신설.
- 2020년 7월 4일 : 《사랑의 가족》 토요일로 이동 및 오후 13시 10분 방송.
- 2020년 7월 5일 : 《바다 건너 사랑》개편에 따라 일요일 밤 22시 30분 방송.
- 2020년 8월 2일 : 《이슈 픽 쌤과 함께》방송 시작. (《도전! 골든벨》의 결방 관계로 방송시간을 대체하여 편성)
- 2020년 8월 21일 : 《한국인의 노래》종영.
- 2020년 8월 28일 : 《인간극장 플러스+》방영.
- 2020년 9월 13일 : 《KBS 바둑왕전》 39기로 재부활.
- 2020년 10월 19일 : 《6시 내고향》남성 MC 윤인구 아나운서(KBS 아나운서실 한국어연구부 부장) - 제42회 외솔상 실천부문 수상(세종대왕기념관 앞뜰에서 시상)
3 로고송[ | ]
주로 KBS 1TV 프로그램, KBS 뉴스 9, KBS 뉴스 (1TV) 등의 시작 전에 사용되는 로고송이다.
- 1973년 3월 ~ 1980년 11월 : 정지된 그림과 함께 여성 내레이터가 "KBS 텔레비전입니다."라고 말했다.
- 1980년 12월 ~ 1984년 3월 : 정지된 그림과 함께 여성 내레이터가 "KBS 제1텔레비전입니다."라고 말했다.
- 1984년 1월 ~ 1994년 10월 : KBS 라디오 노래 "영원한 우리들의 KBS KBS" MR 버전
- 1994년 10월 ~ 2001년 2월 28일 : "정성을 다하는 국민의 방송 KBS"
- 2001년 3월 1일 ~ 2018년 8월 12일, 2018년 8월 27일 ~ 현재 : "정성을 다하는 국민의 방송 KBS 한국방송"
- 2018년 8월 13일 ~ 2018년 8월 26일 : "함께 하는 평화, 함께 여는 미래 국민의 방송 KBS"
4 로고[ | ]
- 파란색 바탕의 그래픽 큐브를 사용한다. 2003년에 처음 사용되었으며, 현재도 사용하고 있다. 푸른색 바탕을 배경으로 입체적으로 움직여지거나 흩어진 큐브가 모아져서 하나로 만들어지는 모습이 보이기도 하였다.
- 네모 1로 표시되었다.
5 방송 문구 변천사[ | ]
- 이 프로그램은 KBS 홈페이지를 통해 다시보실 수 있습니다. (2014년 ~ 현재)
- KBS 한국방송은 방송통신심의위원회[10]의 심의규정을 준수합니다. (1981년 ~ 현재)
- 일단 정규 편성으로 1TV 중계방송을 마칩니다.[11] 이 경기는 계속해서 EBS English 채널을 통해 중계방송하오니 여러분에 양해 부탁 드립니다. (2002년 ~ 현재)
- 아래에 방송 문구로 시 김우빈배우 위한 자막방송, 화면해설방송, 수어방송 등이 있다.
6 프로그램[ | ]
- 모든 프로그램은 DMB에서 동시에 방송되며, 지역 뉴스와 지역 프로그램은 제외다.
- 2020년 10월 12일부터 일부를 제외한 모든 프로그램은 UHD 본방송으로 전환됩니다. UHD로 전환되지 않는 KBS 1TV 프로그램은 총 3개입니다.
- 뉴스 24는 주말에는 1TV방송 내용 대부분을 수중계하며 평일에는 일부시간대에는 뉴스 프로그램 재방이나 자체 프로그램을 내보낸다.
6.1 드라마[ | ]
방송 시간 | 방송 프로그램 | UHD | 등급제 | 방영예정 (첫) | 비고 |
---|---|---|---|---|---|
평일 저녁 8시 30분 ~ 밤 9시 | KBS 1TV 일일 드라마(누가 뭐래도) | ![]() |
O | 초록빛 내 사랑 | 2TV (재) |
6.2 음악[ | ]
방송 시간 | 방송 프로그램 | UHD | 뉴스24 | 등급제 | 지역 비고 |
---|---|---|---|---|---|
월요일 밤 10시 ~ 10시 50분 | 가요무대 | O | 무 | ||
목요일 밤 12시 10분 ~ 새벽 1시 | 올댓뮤직 | O | 무 | 지역 자체 방송 | |
토요일 낮 12시 10분 ~ 오후 1시 | 국악한마당 | O | O | 1회 지역제작 | |
일요일 낮 12시 10분 ~ 오후 1시 20분 | 전국노래자랑 | O | O | 시청자 참여 프로그램 | |
일요일 저녁 6시 ~ 7시 | 열린음악회 | O | O |
6.3 다큐[ | ]
방송 시간 | 방송 프로그램 | 방송 지역 | UHD | 뉴스24 | 지역 방영예정 (첫) 비고 |
---|---|---|---|---|---|
평일 아침 7시 50분 ~ 8시 25분 | 인간극장 | 전국 | O | 무 | 5부작 다큐멘터리 프로그램 |
평일 오후 5시 30분 ~ 저녁 6시 주말, 공휴일 오후 5시 10분 ~ 저녁 6시 |
동물의 왕국 | 수도권 | O | 무 | 주말,공휴일 전국,화면 해설 및 뉴스24방송 [12] |
화요일 밤 10시 ~ 10시 50분 | 역사저널 그날 | 호남권 자체방송(전주,광주) | O | O | |
목요일 밤 10시 ~ 10시 50분 | 다큐 인사이트 | 전국 | O | O | |
금요일 밤 10시 50분 ~ 11시 40분 토요일 밤 11시 40분 ~ 12시 30분 |
다큐On | 전국 | O | O | |
밤 11시 40분 (수) | 트레킹노트 세상을 걷다 | 전국 | O | O | |
낮 1시 (월) | 문화산책 | 전국 | O | 무 | |
저녁 7시 10분 (토) | 김영철의 동네 한 바퀴 | 전국 | O | O | |
저녁 6시 55분 (토), 밤 12시 45분 (일) | 숨 터 | 전국 | O | O | |
밤 11시 25분 (일) | 글로벌 다큐멘터리 | 전국 | O | O | 화면 해설 방송 실시 [13] |
6.4 애니메이션[ | ]
방송 시간 | 방송 프로그램 | 등급제 | UHD | 방영예정 후속작 (첫) (재) | 비고 |
---|---|---|---|---|---|
오후 2시 30분 ~ 2시 45분 (목) | 명탐정 핑크퐁과 호기 | ![]() |
O | [14] | |
오후 2시 45분 ~ 3시 00분 (목) | 엉뚱발랄 콩순이와 친구들 6기 | ![]() |
|||
오후 3시 00분 ~ 3시 30분 (목) | 마법소녀 디디 | ![]() |
|||
오후 2시 30분 ~ 2시 45분 (토) | 시간여행자 루크 | ![]() |
|||
오후 2시 45분 ~ 3시 00분 (토) | 브레드 이발소 시즌2 | ![]() |
6.5 바둑[ | ]
방송 시간 | 방송 프로그램 | UHD | 비고 |
---|---|---|---|
밤 12시 35분 ~ 새벽 1시 55분 (일) (월) | KBS 바둑왕전 | O | TV 속기 바둑 기전[15] |
6.6 교양[ | ]
방송 시간 | 방송 프로그램 | 방송 지역 | UHD | 뉴스24 | 지역 방영예정 (첫) (라) 중단 비고 |
---|---|---|---|---|---|
월요일 ~ 수요일 새벽 5시 10분 ~ 아침 6시 | 내고향 스페셜 | 전국 | O | 무 | [16] |
평일 아침 8시 25분 ~ 9시 30분 | 아침마당 | 전국 | O | 무 | 월 ~ 금(코너별) 일부지역 자체방송(주 1회 금요일 자체 편성) |
평일 오전 10시 ~ 11시 |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 전국 | O | 무 | [14] |
평일 오후 4시 ~ 5시 | 사사건건 | 전국 | O | O | (L) |
월요일 ~ 화요일 낮 1시 50분 ~ 1시 55분 | 안녕 우리말 | 전국 | O | 무 | |
평일 저녁 6시 ~ 7시 | 6시 내고향 | 전국 | O | 무 | [17] |
월요일 ~ 목요일 밤 10시 50분 ~ 11시 30분 | 더 라이브 | 전국 | O | O | |
일요일 밤 10시 35분 ~ 11시 25분 | 다큐멘터리 링크 | 전국 | O | O | |
화요일 ~ 수요일 오후 1시 ~ 1시 50분 | KBS 네트워크 특선 | 전국 | O | 무 | 일부지역 자체방송 |
월요일 저녁 7시 40분 ~ 8시 30분 | 우리말 겨루기 | 전국 | 무 | 무 | |
화요일 저녁 7시 40분 ~ 8시 30분 | 이웃집 찰스 | 수도권,부산,대구 | O | 무 | 일부지역 자체방송(부산,대구 제외) |
수요일 밤 10시 ~ 10시 50분 | 생로병사의 비밀 | 전국 | O | O | |
수요일 오후 7시 40분~ 8시30분 | 이슈 픽 쌤과 함께 | 수도권방송 | X | X | |
수요일 ~ 목요일 새벽 1시 ~ 1시 40분 | KBS 중계석 | 전국 | O | 무 | |
토요일 오후 1시 10분 ~ 2시 | 사랑의 가족 | 전국 | O | 무 | 수화 통역 방송 |
목요일 저녁 7시 40분 ~ 8시 30분 | 한국인의 밥상 | 전국 | 무 | 무 | |
금요일 오후 1시 ~ 2시 | TV비평 시청자데스크 | 전국 | O | O | 시청자 옴부즈맨 프로그램 |
목요일 오후 3시 30분 ~ 4시 | 열린채널 | 부산,광주/전국 | O | 무 | 시청자 제작 프로그램[18][19] |
금요일 저녁 7시 40분 ~ 8시 30분 | 재난탈출 생존왕 | 지역 | 무 | 무 | 2020년 10월 30일 첫방송 |
금요일 밤 10시 ~ 10시 50분 | 시사직격 | 전국 | O | O | |
토요일 아침 7시 50분 ~ 8시 30분 | 남북의 창 | 전국 | O | O | 북한 전문 프로그램 |
토요일 아침 8시 30분 ~ 오전 9시 30분 | 시니어토크쇼 황금연못 | 전국 | O | O | |
오전 9시 40분 ~ 10시 30분 | 걸어서 세계속으로 | 전국 | O | O | |
토요일 저녁 6시 ~ 6시 55분 | 동행 | 전국 | O | O | |
토요일 저녁 8시 5분 ~ 밤 9시 | 시사기획 창 | 전국 | O | O | |
토요일 밤 9시 40분 ~ 10시 30분 | 특파원 보고 세계는 지금 | 전국 | O | O | (L) |
토요일 밤 10시 30분 ~ 11시 40분 | 생방송 심야토론 | 전국 | O | O | (L) |
일요일 아침 8시 10분 ~ 오전 9시 10분 | 일요진단 라이브 | 전국 | O | O | (L) |
일요일 오전 11시 ~ 낮 12시 | TV쇼 진품명품 | 전국 | O | O | 지역별 출장 감정 |
일요일 오후 7시 10분~ 8시 | 명견만리 | 전국 | 0 | 0 | |
일요일 밤 9시 40분 ~ 10시 35분 | 저널리즘 토크쇼 J | 전국 | O | O |
6.7 뉴스[ | ]
방송 시간 | 방송 프로그램 | UHD | 비고 |
---|---|---|---|
06:00 ~ 07:50 (월~토) | KBS 뉴스광장 | O | KBS 제1라디오 수중계 1부 한국 수어 통역 방송 서울 이외의 모든 지역 자체뉴스 |
09:30 ~ 10:00 (평일) 09:30 ~ 09:40 (토) |
KBS 930 뉴스 | O | 한국 수어 통역 방송 서울 이외의 모든 지역 자체뉴스 |
12:00 ~ 13:00 (평일) | KBS 뉴스 12 | O | 한국 수어 통역 방송 |
14:00 ~ 14:30 (평일) | KBS 뉴스 2 | O | 한국 수어 통역 방송 |
17:00 ~ 17:30 (평일) | KBS 뉴스 5 | O | 한국 수어 통역 방송 |
19:00 ~ 19:40 (평일) | KBS 뉴스 7 | O | 서울 이외의 모든 지역 자체뉴스 |
21:00 ~ 22:00 (평일) 21:00 ~ 21:40 (주말) |
KBS 뉴스 9 | O | 서울 이외의 모든 지역 자체뉴스 |
21:45 ~ 22:00 (평일) 21:30 ~ 21:40 (주말) |
|||
23:30 ~ 00:00 (월~목)
23:40 ~ 00:10 (금) |
KBS 뉴스라인 | O | |
12:00 ~ 12:10 17:00 ~ 17:10 19:00 ~ 19:10 (주말) 06:00 ~ 06:10 08:00 ~ 08:10 (일) |
KBS 뉴스 (주말) | O | |
00:30 ~ 00:40 (토) 00:25 ~ 00:35 (일) |
KBS 뉴스 (2430) | O | 수어 통역 방송 |
특집 및 긴급 뉴스 편성 | KBS 뉴스특보 | O | 수어 통역 방송(다시보기 참조) |
불시 편성 | 코로나19 통합뉴스룸 | O | 수어 통역 방송 |
7 시청률[ | ]
1992년 ~ 2006년 가구 시청률 · 점유율 (단위 : %) | |||||||||||||||||||||||||||||
---|---|---|---|---|---|---|---|---|---|---|---|---|---|---|---|---|---|---|---|---|---|---|---|---|---|---|---|---|---|
1992년 | 1993년 | 1994년 | 1995년 | 1996년 | 1997년 | 1998년 | 1999년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
7.3 | 17.0 | 7.4 | 16.0 | 9.7 | 20.0 | 11.7 | 24.0 | 12.2 | 27.0 | 12.9 | 28.0 | 12.1 | 25.0 | 10.7 | 23.0 | 10.8 | 23.0 | 9.9 | 20.3 | 9.2 | 19.8 | 9.4 | 19.5 | 9.5 | 19.5 | 8.8 | 18.6 | 8.1 | 18.4 |
2000년 ~ 2018년 6월 황금시간대 시청률[20] (단위 : %)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6월 |
15.87 | 15.33 | 14.27 | 14.03 | 13.58 | 12.24 | 12.62 | 15.08 | 14.34 | 11.38 | 11.93 | 12.57 | 12.52 | 11.92 | 11.68 | 11.12 | 11.24 | 9.36 | 8.41 |
8 각주[ | ]
- ↑ 단 일요일과 월요일 편성이 끝나는 시점(표준시각으로 월요일과 화요일 새벽)에는 새벽 2시까지만 방송된다. (휴일 제외)
- ↑ KBS TV의 채널은 1TV의 채널 및 2TV의 채널과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1981년 3월 7일로 결정이 났다.
- ↑ 2TV의 채널은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개시를 하면서 평일에 블록식광고에 4블록 20분 및 주말,공휴일에 5블록 25분으로 정했다.
- ↑ 2차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은 1982년 1월 25일로 결정 및 2TV의 채널은 광고시간을 185분에서 474분으로 늘리기로 했는데 1TV의 채널은 광고시간을 150분에서 90분으로 줄였다.
- ↑ 1TV 240분 2TV 474분
- ↑ 당시에 제공 자막을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 ↑ 가뭄이 어려워져서 수신료(시청료) 징수를 시작하고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개시를 하였다.
- ↑ 주 2회 (일요일, 월요일)는 21시간 방송하며 나머지 주 5회 (화요일 ~ 토요일)와 신정, 설날, 추석 등 연휴에는 24시간 종일방송이다.
- ↑ 1988년 하계 올림픽 당시에 사용.
- ↑ 1961년부터 1981년까지 한국방송윤리위원회, 1982년부터 2008년까지 방송위원회, 2008년부터 현재까지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등으로 바뀌었다.
- ↑ 1996년 7월부터 2002년 2월말까지 KBS 위성방송 채널에 스포츠 경기 계속해서 볼 수 있음.
- ↑ 일부 회차는 UHD로 방송.
- ↑ 일부 회차는 UHD로 방송.
- ↑ 14.0 14.1 특집 방송시 취소되거나 지연 편성
- ↑ 우승자와 준우승자 그리고 겹쳐 3위를 차지한 TV 바둑 아시아 선수권대회 출전 자격을 획득함
- ↑ 6시 내고향에 방송되어 기획한 프로그램
- ↑ 지역 연결 코너의 경우 각 지역 방송국에서 직접 제작한 내용을 방송되면 리포터에서만 진행,금요일 지역연결
- ↑ 일부 지역에 한해 월 1회 자체 편성.(부산,광주에서 별도편성)
- ↑ 일부 방송분은 유해성 여부에 따라 시청등급이 분류될 수 있음.
- ↑ 그 많던 KBS·MBC 시청자는 어디로 갔을까
편집자 223.38.87.247 Jmnote 1.250.60.187 223.38.80.242 175.197.21.93
로그인하시면 댓글을 쓸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