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 조선왕조실록》는 대한민국의 KBS에 방송됐던 교양 프로그램이다.
1 기획 의도[ | ]
조선 건국부터 조선왕조 472년간의 역사가 고스란히 담겨 있는 조선왕조실록을 근거로 묻혀버린 사실들의 잘못 알려진 것들은 역사의 재조명한 프로그램이다.
2 방송 시간[ | ]
- KBS 1TV - 1997년 3월 11일부터 1998년 5월 26일까지, 매주 화요일 밤 10시 15분 ~ 11시
3 진행자[ | ]
4 에피소드 목록[ | ]
4.1 1997년[ | ]
펼치기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
횟수 |
방송 일자 |
제목
|
1
|
3월 11일 |
조선시대 블랙박스 - 조선왕조실록
|
2
|
3월 18일 |
나라이름을 "조선"으로 정한 까닭은?
|
3
|
3월 25일 |
개국 프로젝트 제1호 - 종묘
|
4
|
4월 1일 |
킹 메이커 정도전의 사후 이력서
|
5
|
4월 8일 |
조선시대에는 인사청탁법이 있었다
|
6
|
4월 15일 |
태조가 태종에게 활을 쏜 까닭은?
|
7
|
4월 22일 |
1402년, 조선이 바라본 세계
|
8
|
4월 29일 |
세종탄신 600주년 기획 1 - 세종 즉위, 태종의 시나리오였다
|
9
|
5월 6일 |
세종탄신 600주년 기획 2 - 집현전에 물어보라
|
10
|
5월 13일 |
세종탄신 600주년 기획 3 - 세종, 최초의 여론조사를 실시하다
|
11
|
5월 20일 |
세종탄신 600주년 기획 4 - 그러나 세종은 불행한 왕이었다
|
12
|
6월 17일 |
단종은 영월에 살아있다
|
13
|
7월 8일 |
조선 선비 중국 표류기
|
14
|
7월 15일 |
노비의 출산휴가는 80일이었다
|
15
|
7월 22일 |
사치하는 자는 장 100대에 처하라
|
16
|
8월 5일 |
홍길동은 실존인물이었다
|
17
|
8월 19일 |
철저해부! 연산의 다섯가지 폭정
|
18
|
8월 26일 |
언관 채수가 귀신 이야기를 쓴 까닭은 - 조선시대 금서 "설공찬전"
|
19
|
9월 2일 |
1581년, 조선팔도는 지금
|
20
|
9월 9일 |
전하, 그 뜻을 거두소서 - 조선시대의 언론정신
|
21
|
9월 23일 |
발 뒤의 정치 - 문정왕후의 수렴청정
|
22
|
9월 30일 |
다시 보는 임진왜란 1 - 7년 전쟁, 패배는 60일 뿐이었다
|
23
|
10월 7일 |
다시 보는 임진왜란 2 - 전쟁중에도 과거를 실시했다
|
24
|
10월 14일 |
조선외교 비사 - 왜란 후 10년, 통신사를 보낸 까닭은?
|
25
|
10월 21일 |
광해군 다시보기 1 - 파주가 서울이 될 뻔했다
|
26
|
10월 28일 |
광해군 다시보기 2 - 조선 최초의 해외 파병, 실리외교로 풀었다
|
27
|
11월 4일 |
아! 잊으랴 어찌 우리 이날을 - 삼전도의 치욕
|
28
|
11월 11일 |
실록 청문회 - 김자점이 간신인 다섯가지 이유
|
29
|
11월 18일 |
그때 우리는 북벌을 꿈꾸었다
|
30
|
11월 25일 |
17세기, 조선에도 소빙하기가 있었다
|
31
|
12월 9일 |
장희빈이 사약을 받은 진짜 이유는?
|
32
|
12월 16일 |
놀부는 왜 처음부터 부자였나 - 조선시대의 가족제도
|
|
4.2 1998년[ | ]
펼치기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
횟수 |
방송 일자 |
제목
|
33
|
1월 6일 |
조선시대 독도지킴이 - 안용복
|
34
|
1월 13일 |
조선의 삼평통보 살리기 - 환율을 잡아라
|
35
|
1월 20일 |
일어서는 한강 서울의 상인들
|
36
|
2월 3일 |
조선의 절반은 노비였다
|
37
|
2월 10일 |
조선의 뉴딜정책 - 영조의 청계천 준설공사
|
38
|
2월 17일 |
아들을 죽인 임금, 그러나 - 영조의 두얼굴
|
39
|
3월 10일 |
조선의 르네상스 정조시대 1 - 개혁의 산실 규장작
|
40
|
3월 17일 |
조선의 르네상스 정조시대 2 - 국왕도 일기를 썼다
|
41
|
3월 24일 |
조선의 르네상스 정조시대 3 - 피가로의 결혼과 판소리 춘향전
|
42
|
3월 31일 |
조선의 르네상스 정조시대 4 - 인왕산 선언 "조선은 양반의 나라가 아니오"
|
43
|
4월 7일 |
조선의 르네상스 정조시대 5 - 그들은 신주를 불태웠다
|
44
|
4월 14일 |
입체분석 정약용의 자서전 1 - IQ는 150+a
|
45
|
4월 21일 |
입체분석 정약용의 자서전 2 - 유배 18년 500권의 책 어떻게 썼나
|
46
|
4월 28일 |
최초 공개 홍경래 난 진중일기
|
47
|
5월 5일 |
사례분석 세도정치하의 부정부패
|
48
|
5월 12일 |
궁궐에 조선이 있다
|
49
|
5월 19일 |
철종즉위 누구의 시나리오였나
|
50
|
5월 26일 |
다시보는 조선왕조실록
|
|
5 제작진[ | ]
- 책임 프로듀서 : 남성우
- 연출 : 남기석, 김규태, 왕현철, 이도경, 김형일, 허진, 권오주, 우종택, 양승동, 이완희, 장성주
- 작가 : 이혜진, 빈선화, 권기경, 정윤정, 주은경
6 같이 보기[ | ]
7 외부 링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