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얼 월드 레코드

(RealWorld에서 넘어옴)

1 세계로 열린 창 - Real World & WOMAD[ | ]

--허경, 2000, 뮤지컬박스 2호 : 리얼월드 앨범 내려받기 from http://damageisdone.net

이 세계, 이 우주는 도대체 얼마만큼의 결로 이루어져 있는 것일까? 이 세계는 얼마나 많은 세계를 자기 안에 숨기고 있는 것일까? 누군가의 말대로 이 세계에는 인간의 수만큼의 세계가 존재하는 것일까? 아니 모든 살아있는 생명체의 수만큼의 세계가 존재하는 것일까? 그러나 우리는 도대체 죽을 때까지 몇 개의 세계나 알고 죽는 것일까? 재즈의 세계는 얼마나 깊은가. 아트 록의 세계는 얼마나 깊은가. 팝의 세계는 얼마나 깊은가 ... 음악의 세계는 얼마나 깊은가. 영화의 세계는 얼마나 깊은가. 문학의 세계는 얼마나 깊은가 ... 건축의 세계는 얼마나 깊은가. 도박의 세계는 얼마나 깊은가. 연애의 세계는 얼마나 깊은가 ... 우리는 이 여자, 저 남자 혹은 나의 친구와 얼마나 깊은 또 하나의 세계를 만들어낼 수 있는가 ... 우리 어머니의 세계는 얼마나 깊으며, 내 동생의 세계는 얼마나 깊으며, 당신의 세계는 또 얼마나 깊단 말인가! 그 세계들이 모여 우주가 될 것이고, 우리 모두와 우리 안의 모든 세계 또한 그 우주의 한 부분일 것이다. 여기 당신이 아는 그 우주밖에도 무수한 수의 우주들이 존재하고 있음을, 당신의 우주가 당신만의 것이 아님을, 혹은 당신의 우주가 언제나 이미 그들의 우주와 만나고 소통하고 있었음을 말해주는 또 하나의 우주가 있다.

2 # WOMAD의 시작[ | ]

"어느 날 저는 채널을 이리저리 돌리며 <라디오 4> 방송을 찾고 있었지요. 그 얼마 전에 그 방송국 주파수가 바뀌었거든요. 근데 이 방송국을 못 찾고 헤매다가 우연히 어떤 네덜란드 방송국 주파수가 잡혔는데 거기서 스탠리 베이커(Stanley Baker) 감독의 영화 (Dingaka) 사운드트랙을 틀고 있었죠. 그 때가 제 기억으론 '야 여기 뭔가 진짜 재미있는 게 있는데 ... 잘 하면 내 작업에도 써 볼 수 있겠는데'하고 생각한 첫 번째 일이예요. 전 그 음악을 녹음했지요. 또 앤소니 무어(Anthony Moore)가 저한테 달러 브랜드(Dollar Brand)나 압둘라 이브라힘(Abdullah Ibrahim)의 노래를 틀어줬지요. 제 음악, 'Biko' 같은 곡들이 이런 노래들의 영향을 받았어요."

이것이 피터 게이브리얼이 '월드 뮤직', 혹은 보다 정확하게는 '비-서구권' 음악들에 진지한 흥미를 가졌던 최초의 경험이다(물론 이 논란의 여지가 다분한 '월드 뮤직'이란 명칭은 현재 WOMAD 기획팀의 디렉터를 맡고 있는 브루먼의 표현대로 '월드 뮤직이란 것이 있는지조차 확신하기 어려운 것'이며, 또한 상당한 수준의 '제국주의적 관심'마저 포함하고 있는 것이지만, 이에 대해서는 이 글의 후반부에서 자세히 다루기로 하고 일단 우리도 이 '관례적 표현'을 아쉬운 대로 사용하기로 하자). 이는 정확한 날짜가 나와 있지 않지만 여러 전후 사정으로 보아 대략 75년 게이브리얼의 제너시스 탈퇴를 전후한 70년대 중반 경의 일로 짐작된다. 이와 같은 게이브리얼의 관심은 이후 80년 그가 영국 브리스톨의 음악 전문지 <The Bristol Recorder>의 토머스 브루먼(Thomas Brooman) 및 스티븐 프리챠드(Stephen Pritchard)와 행한 대담을 계기로 하여 처음으로 구체적인 모습을 갖게 된다. 게이브리얼이 대담 도중 자신의 인터뷰어들 또한 자신과 유사한 관심을 갖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그들에게 이를 위한 보다 '정식의' 토론회를 제안한 것이다. 이후 이어진 일련의 토론에서 게이브리얼은 한 아프리카 그룹의 콘서트를 제안하고, 바로 이 제안이 이후 대규모 '국제 페스티벌' WOMAD로 발전하게 될 일련의 기획들의 뿌리가 된다. 그러나 그들은 곧 이러한 '단발성' 콘서트로는 재정적 현실성이 전혀 따르지 않음을 발견하고, 보다 큰 규모의 '세계 음악 페스티벌'을 기획한다. 이후 게이브리얼과 동료들은 이후 출연 아티스트들의 선정을 위한 '현장 조사'(field work)에 착수한다. 이를 통해 그들은 수많은 뛰어난 아티스트들을 발견하지만, 또 한편으로 이러한 행사의 관객 서비스 대부분이 '거의 전무할 정도의' 초보적 걸음마 수준임을 발견하게 된다. 여러 면에서 볼 때 초기 WOMAD 행사의 기획은 그들 자신의 표현대로 '벤처기업'이라 부를 만한 것이었다.

3 WOMAD란?[ | ]

- 역대 페스티벌 개최지 및 참가 아티스트·그룹들

우선 WOMAD란 우선 게이브리얼이 82년 조직한 '월드 뮤직' 국제 페스티벌을 지칭하는 '음악, 미술, 춤의 세계'(World Of Music, Arts & Dance)의 영문 약자이다. 총칭 WOMAD '그룹'은 현재 세계 곳곳에서 매년 10여 회 이상의 페스티벌을 주최하는 이외에도, 게이브리얼 소유의 리얼 월드 레코드 컴퍼니 및 출판·교육 담당 부서 등 다양한 부속 기관들을 포괄하는 총명이다. 우선 아래에서는 1992년 WOMAD 창립 10주년을 맞아 그룹이 발간한 공식 자료집 <Worldwide: Ten Years Of WOMAD>에 수록된 역대 페스티벌 개최지 및 참가 아티스트·그룹들을 정리해 보자.

1982. 7. 16-18.
제1회 WOMAD 페스티벌 장소: Shepton Mallet, Somerset, UK 참가 아티스트: Peter Gabriel, Echo & The Bunnymen, The Beat, Simple Minds, Ian McCulloch, Ekome Dance Company, The Drummers Of Brundi, Aklowa, Tian Jin Dancers(China), Les Musiciens Du Nil(Egypt), Chieftains(Ireland), Ustad Amjad Ali Khan, Prince Nico Mbarga, Imrat Khan, Don Cherry, Jon Hassell & etc.
훌륭한 공연 내용에 비해 일반의 인식 부족 및 진행 미숙 등으로 인해 '처음이자 마지막 WOMAD'가 될 뻔했던 공연으로 1만 5천명 이상의 관중이 모였지만 이는 예상치를 훨씬 밑도는 숫자로 주최측은 엄청난 재정적 적자를 보아 파산 지경에 이르렀다. 이 적자를 충당하기 위해 제너시스와 게이브리얼은 82년 1회의 'WOMAD 기금 마련 자선 조인트 콘서트'를 82년 개최했다. 한편 WOMAD는 기금 마련을 위한 앨범 <Music And Rhythm>을 발매했다.

1983. 7. 5-17.
제2회 WOMAD 페스티벌 장소: The Institute Of Contemporary Arts, London, UK 참가 아티스트: Kanda Bongo Man, Jah Wobble, Misty in Roots, Test Department & etc.
지난 해 자선 공연에서 충당된 기금으로 WOMAD 재단 설립.

1984
제3회 WOMAD 페스티벌 장소: Ashton Court, Bristol, UK 참가 아티스트: Hugh Masekela, Toto La Momposina, Kanda Bongo Man & etc.
기금 마련을 위한 자선 앨범 <Raindrops Pattering On Banana Leaves And Other Tunes> 발매하다.

1985. 7. 19-21.
제4회 WOMAD 페스티벌 장소: Mersea Island, Essex, UK 참가 아티스트: New Order, The Fall, Toots & The Maytals, M'Bilia Bel(Zaire), Nusrat Fateh Ali Khan, Franco General Public, The Pogues, James, A Certain Ratio, Thomas Mapfumo, Penguin Cafe Orchestra, Somo Somo & etc.
이후 WOMAD와 리얼 월드 레코드사의 최대 성공작이 된 파키스탄의 누스라트 파테 알리 칸이 첫 공연을 하다. WOMAD가 세계 각국의 음악을 소개하는 서적과 테이브 혹은 CD가 함께 들어있는 <Talking Book> 시리즈를 발간하기 시작하다. 이는 후에 교육용 프로그램으로 WOMAD의 두 번째 시리즈인 <Exploring The Music Of The World>로 발전한다.

1986. 7. 18-20.
제5회 WOMAD 페스티벌 장소: Clevedon, near Bristol, UK 참가 아티스트: Youssou N'Dour(Senegal), Bhundu Boys(Zimbabwe), Flaco Jimenez, Gil Scott-Heron, Garifuna Peoples(Belize), Arrow, Aswad, The Jazz Warriors, The Dance Company Of Sri Lanka, The Gambian National Troupe & etc.
약 1만 명 이상의 관객이 운집한 성공적 공연.

1987년 WOMAD 페스티벌 장소: 1) Glastonbury, Somerset, UK 2) Earl's Court, London, UK 3) Carlyon Bay, Cornwall, UK 4) Winter Festival, Bristol, UK 참가 아티스트: Najma Akhtar, Silvan(Kurdestan), Michelle, Farafina, Alaap, The Drummers Of Brundi, Jon Hassell, Fatala & etc.
'월드 뮤직'이란 명칭이 언론에 오르내리며 새로운 수용자 층을 형성한 해로 최초의 동계 페스티발 등 처음으로 네 곳에서 분산 개최되었다. WOMAD는 이 해에 페스티벌 프로덕션, 아티스트 담당 부서, 레코드 컴퍼니, 교육 부서 등 4 부분으로 조직을 확장했다.

1988년 WOMAD 페스티벌 장소: 1) Roskilds, DENMARK 2) Bracknell, UK 3) Toronto, CANADA 4) Carlyon Bay, UK 참가 아티스트: The Guo Brothers, Nusrat Fateh Ali Khan, Orchestre Super Matimila, Remmy Ongala, Amayenge, Flaco Jimenez, Los Van Van, Amampondo, Youssou N'Dour, Peter Gabriel Band & etc.
덴마크, 캐나다 등 최초로 영국 이외의 나라에서 공연이 개최된 해로, 최초로 해당 개최 도시의 행정·재정 협력을 얻어내는 데 성공한 페스티벌이다. 최초로 예매 입장권이 매진되다.

1989년 WOMAD 페스티벌 장소: 1) Seinajoki, FINLAND 2) Morecambe Bay, UK 3) Hamburg, GERMANY 4) Bracknell, UK 5) Barcelona, SPAIN 6) Toronto, CANADA 7) Carlyon Bay, UK 8) Guernsey, UK 9) Catania, ITALY 참가 아티스트: Farafina(bourkina-Faso), The Guo Brothers, Shung Tian(China), Seigneur Tabuly Le Rochereau And Afrisa International(Zaire), Geoffrey Oryema(Uganda), The Prahalad Natak Dance-Drama Group(India), Dou Dou N'Diaye Rose(Senegal), Kanda Bongo Man, Irshad Khan(India), Taj Mahal, Eyuphuro, Orquesta Rev , Orchestre Super Matimila, Remmy Ongala, Nusrat Fateh Ali Khan & etc.
세계 곳곳에서 개최된 총 9회의 행사로 WOMAD가 이미 성공적인 국제 페스티벌로서의 입지를 굳혔음을 보여준다. 역시 매진 사례를 이루다. 브랙크널의 페스티벌은 <블루즈와 리듬> 특별 공연이었다. 이 해에 리얼 월드 레코드사가 설립되었다. 1월 WOMAD 그룹이 이전까지의 브리스톨에서 게이브리얼 고향 근처인 윌트셔의 박스 인근 리얼 월드 스튜디오/레코드 사 건물로 본사를 옮기다.

1990년 WOMAD 페스티벌 장소: 1) Morecambe Bay, UK 2) Seinajoki, FINLAND 3) Mainz, GERMANY 4) Florence, ITALY 5) Hamburg, GERMANY 6) Badalona, SPAIN 7) Falun, SWEDEN 8) Rivermead, Reading, UK 9) Toronto, CANADA 10) Barcelona, SPAIN 참가 아티스트: The Cambodian National Dance Company, Nusrat Fateh Ali Khan, The Dmitri Pokrovsky Ensemble(Russia), Thomas Mapfumo & The Blacks Unlimited(Zimbabwe), Batsumi(Botswana), Kalonne(Senegal), Kafala Brothers(Angola), Eyuphuro(Mozambique), Kariakoo Taraab Group(Tanzania) & etc.

1991년 WOMAD 페스티벌 장소: 1) Barcelona, SPAIN 2) Rivermead, Reading, UK 3) Hamburg, GERMANY 4) Seinajoki, FINLAND 5) Toronto, CANADA 6) <Real World Recording Week>, Box, UK 7) Morecambe Bay, UK 8) Yokohama, JAPAN 9) Barcelona, SPAIN 참가 아티스트: The Pogues, Remmy Ongala(Kenya), Youssou N'Dour, Flaco Jimenez, Suzanne Vega, Yomo Toro(Puerto Rico), Toto La Momposina(Columbia), Koko Taylor, Robert Clay Band, The Holmes Brothers, Cheb Khaled(Algerie), Remmy Ongala And Orchestre Super Matimila, Kanda Bongo Man, George Clinton, Detty Kurnia(Indonesia), Sakamo Ryuichi, Takio Ito, Shang Shang Typhoon, Sandii(Japan), Wunmi, SamulNori(Korea), African Headcharge, John Chibadura(Zimbabwe), The Tibetan Institute Of Performing Arts, Mzwhake Mbuli(South Africa) & etc.
최초의 '리얼 월드 레코딩 주간'이 열린 해이다. 비-서구권에서는 최초로 일본의 요코하마에서 페스티벌이 열려 2만명 이상이 참가하는 대성공을 거둔다. 이 공연에는 사카모토 류이치 등이 참여했다.

1992년 WOMAD 페스티벌(5월까지) 장소: 1) Adelaide, AUSTRALIA 2) Madrid, SPAIN 3) Caceres, Extemandura, SPAIN 4) Le Havre, Normandy, FRANCE 5) Morecambe Bay, UK 참가 아티스트: Nusrat Fateh Ali Khan And The Party, Crowded House, Youssou N'Dour, Balkana, The Voice Of Georgia, Ayub Ogada, Sheila Chandra, The Drummers Of Brudi, Courtney Pine Quartet, Jonathan Richman, Terem Quartet, Remmy Ongala & etc.
남반구에서는 최초로 오스트레일리아에서 페스티벌이 개최됨. 바르셀로나 페스티벌의 경우에는 7-8월의 올림픽에 앞서는 축제 행사의 일환으로 개최되어 이후 스페인 TV에 의해 세계에 방영되었다(이는 자료집이 발간된 92년 5월까지의 페스티벌들로 이후의 자료는 생략).

4 # WOMAD의 조직 및 구성[ | ]

우리는 게이브리얼이 처음 WOMAD를 기획했던 80년대 초반 당시 서구 음악계의 상황이 - 심지어 '월드 뮤직'(World Music)이란 명칭조차 아직 형성되지 않았던 - 그야말로 초보적 '황무지' 수준에 머무르고 있었음을 기억해야 한다. 실로 게이브리얼의 작업은 선구적이었다. 또한 우리가 대략적으로 살펴본 것처럼 2000년 현재 WOMAD는 실로 1982년의 첫 페스티벌 당시와는 비교도 할 수 없을 만큼 풍부하고 다양한 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갖춘 종합 예술 축제로 성장했다. 이제 아래에서는 WOMAD 그룹의 기본적 조직 구성을 간략히 알아본다.
총칭 WOMAD '그룹'은 기본적으로 1) 페스티벌과 이벤트를 기획·주관하는 WOMAD '프로덕션' 2) 이에 참가하는 각국 아티스트들의 교통·숙박 등을 관리하는 WOMAD '에이전시' 3) 아티스트들의 레코딩 작업 및 발매를 담당하는 '리얼 월드 레코드사' 4) 연관 교육 사업 및 서적 출판 등을 담당하는 WOMAD '교육·출판'의 주요 네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출판' 부분에는 아티스트들의 악보 출판 및 저작권을 담담하는 'WOMAD 음악사'(WOMAD Music Ltd.) 및 '리얼 월드 음악사'(Real World Music Ltd.)가 속해 있다. 한편 이외에도 그룹에는 기타 행정적인 일을 처리하는 그룹 '행정' 부서 및 '광고·홍보' 부서 등이 속해 있다. 그룹의 본부는 89년 이후 리얼 월드 스튜디오와 본사가 위치한 영국 윌트셔의 박스(Box, Wiltshire)에 있다 - 게이브리얼은 87년의 이혼 이후 이 곳에 혼자 살고 있다. 한편 게이브리얼은 82년의 '파산 위기' 이후 WOMAD 그룹 경영에는 관여하지 않으며, 다만 토머스 브루먼 등과 함께 리얼 월드 레코드 컴퍼니의 5인 공동 디렉터 중 하나로만 참여하고 있다.
이 중 특기할 만한 조직은 교육·출판 부서인 <WOMAD Educational Publications>이다. 비-영리 기관인 이 부서는 특히 학교 음악 교육을 위한 교재의 출판, 학생·교사 및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 프로그램의 실시 등을 주목적으로 하여 설립된 것으로 특히 WOMAD 커뮤니케이션(WOMAD Communications), 리얼 월드 출판부, 리얼 월드 멀티미디어 및 파인 라인 출판사(Fine Line Books) 등과 제휴하여 음악에 관한 서적과 테이브 혹은 CD가 함께 들어있는 <Talking Book> 시리즈, <Exploring The Music Of The World> 등을 발간하고 있다. 한편 교육 부서에서는 캐리비언, 서 아프리카, 중국, 인도 등의 민속 음악에 대한 전문가들의 레슨·워크숍·콘서트 등을 실시하고 있으며, 이와 연관된 종교학, 문화인류학을 포괄하는 제반 인문 과학 세미나 등을 주최하고 있다.

5 # 1991: 리얼 월드 레코딩 주간[ | ]

- <A Week In The Real World: Part 1>

누구나 쉽게 짐작할 수 있듯이 WOMAD 페스티벌과 리얼 월드 레코드사는 상호 보완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일 회의 페스티벌 공연은 한 장의 라이브 앨범을 의미할 수도 있으며, 앨범 취입을 위해 스튜디오에 온 아티스트들은 그들이 원한다면 몇 차례의 공연을 가질 수도 있다. 때로 아티스트들은 페스티벌 기간 혹은 특별히 설정된 '리얼 월드 레코딩 주간'을 통해 이들 모두를 얻을 수도 있었다.
1991년 여름 8월의 한 주 동안 리얼 월드 스튜디오에는 20개국에서 참가한 75명의 음악가들이 모여들었다. 게이브리얼의 주관으로 이 자리에 모인 아티스트들의 면면은 실로 화려해서 대충 중요한 인물들만 꼽아봐도 우선 시인 닐 스팍스(Neil Sparks)와 진 빈터 브리즈(Jean Binta Breeze)이 있으며, 독자분들이 알만한 영미권의 그리드(The Grid), 셰일러 챈드라(Sheila Chandra), 시니어드 오코너(Sinead O'Connor), 밴 모리슨(Van Morrison), 월드 파티(World Party)의 칼 월링어(Karl Wallinger), 이전 PIL의 쟈 워블(Jah Wobble) 이외에도 아윱 오가다(Ayub Ogada), 홈즈 브라더즈(The Holmes Brothers), 레미 옹갈라(Remmy Ongala), 테렘 콰르텟(Terem Quartet), 구오 유에(Guo Yue), 라 보틴 수리앙트(La Bottine Souriante), 아로나 느디아예(Arona N'Diaye) 등이 참여했으며, 프로듀서들로는 필 레이몬(Phil Ramone), 루퍼트 하인(Rupert Hine), 폴 브래넌(P l Brennan) 등이 참여했다.
아마도 나 자신이 그랬던 것처럼 많은 독자 여러분들은 여기까지 글을 읽으면서 '아, 우리 나라 음악가는 한 번도 참가한 적 없나...'하는 생각을 한 번쯤 해보셨을 지도 모른다. WOMAD와 리얼 월드는 생각보다 우리와 가깝다. 여기서 궁금하실 독자 여러분을 위해 '기쁜' 소식 하나와 '실망스런' 소식 하나를 전해드리도록 하자.
먼저 '기쁜' 소식 하나: 이제까지 WOMAD 페스티벌에 참가한 우리 나라의 아티스트는 - 필자의 지식 범위 안에서는 - 김석출, 김덕수 사물놀이 등이 있었다. 더구나 김덕수 사물놀이는 바로 이 1991년의 리얼 월드 레코딩 주간에 참여했으며, 리얼 월드 레코드에서는 본 '주간'에 녹음된 곡들을 모아 다음 해인 92년 발표한 앨범 <A Weekend In The Real World - Part 1>에 자신들의 연주곡을 싣고 있다! 앨범의 크레딧을 보면 김덕수 사물놀이는 (당연히) 영문으로 SamulNori로 표기되어 수록곡 15곡 중 13번 트랙 'Variations On Tong Sal Puri(Eastern Exorcism)'을 단독으로, 14번 트랙인 중국인 보컬리스트 리우 솔라(Liu Sola)의 곡 'Wuming Wuyi(No Name No Meaning)'에서는 '드러밍'(drumming)으로 참가하고 있다. 영문 표기와 제목만으로 우리말/한자 제목을 추측해보면 아마도 13번 트랙은 '동(東) 살풀이 변주곡' 정도 인 것 같고, 13번 곡은 '無名無義'인 듯 싶다. 이 두 곡 모두 이전 클래너드(Clannad) 출신의 아일랜드 뮤지션 폴 브레넌이 프로듀스하고, 크리스 로슨(Chris Lawson)이 엔지니어링을 담당하고 있다. 한편 13번 트랙의 크레딧은 '김덕수: 장고, 이광수: 꽹과리, 강민석: 북, 박병준: 징'으로 (영문) 표기되어 있다. 더구나 다양한 아티스트들의 사진을 콜라쥬한 앨범의 뒷커버에는 북을 든 강민석의 모습이 나타나 있다. 한편 위에서 말한 WOMAD의 92년 자료집 의 53쪽에도 사물놀이의 사진이 '한국에서 온 사물놀이가 녹음 작업에 앞서 리얼 월드 스튜디오의 정원을 돌고 있다'(전문)라는 간단한 해설과 함께 실려 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폴 브레넌이 제작한 이 한 곡, 혹은 두 곡의 '소리'이다. 사실 필자는 그가 재적했다는 클래너드라는 그룹이나 폴 브레넌이란 인물을 모른다. 다만 내가 알고 있는 것은 동숭동 문예극장 등에서 직접 본 사물놀이의 공연과 그들의 독집들 혹은 프리 재즈 그룹 레드 선(Red Sun)과의 조인트 공연 그리고 그 앨범들 몇 장이다. 그러나 - 불행하게도 혹은 다행스럽게도 - <A Weekend In The Real World - Part 1> 앨범에 실린 사물놀이의 단 한 곡 '동 살풀이'에서 들리는 엔지니어링 및 제작 역량은 글자 그대로 사물놀이가 발표한 기존 어느 앨범보다도 월등하게 나은, 압도적으로 '좋은 소리'를 들려준다. 한 마디로, 녹음된 트랙에는 한국 사람만 아는 사물놀이 연주의 '아우라'(aura)가 살아 있다. 아마도 단 몇 번의 리허설만으로, 단 일주일 동안 15곡을 녹음해야 하는 불리한 스튜디오 조건 속에서, 사물놀이 음악의 전문가도 아닐 터인 폴 브레넌이란 벽안의 청년이 제작한 이 트랙의 소리는 우리로 하여금 게이브리얼이 의도했던 리얼 월드 스튜디오 및 레코딩 주간의 가치를 십분 인식하게 만든다. 한편 이렇게 뛰어난 소리에도 불구하고 자료집 의 '레코딩 주간' 해당 부분인 52-57쪽은 물론 모두 96쪽에 이르는 이 자료집의 어디에서도 - 위의 간단한 사진 설명을 제외하고는 - 사물놀이에 대한 어떤 언급도 발견되지 않는다. 이는 말할 것도 없이 사물놀이가 이 '주최자들'에게 강력한 음악적 인상을 주는 데 실패했음을 의미할 것이다. 그러나 아마도 여기에는 더 많은 매우 복합적인 요소들이 중층적으로 작용하고 있었을 것이다.
2) '실망스런' 소식 하나: 대부분의 한국인들은 물론 우리 나라의 음악 매니어들 사이에서조차 거의 알려지지 않은 이 '세계인의 축제' WOMAD 페스티벌은 이미 오래 전에 당신도 모르는 사이에 우리 나라에서도 한 번 열릴 뻔했다! 1996년 8월 4일 <> 14면에는 이정재 기자의 <음악무용축제 '워매드' 현장르포 - '열린 무대' 관객들 자유로운 몸짓>이란 취재 기사가 실려 있다 - 당시 게이브리얼의 팬이던 나는 이 기사를 보고 실로 '나의 눈을 의심했다.' 더욱이 함께 실린 WOMAD '조직 위원장' 토머스 브루먼은 기자와의 인터뷰를 통해 '세계 각국에서 WOMAD 개최 요청이 들어옵니다. 우리는 국경과 인종을 초월해 장소만 마련된다면 어느 곳에서라도 이 음악축제가 열리도록 지원하고 있다'며, 이어 자신이 '한국의 김덕수, 김석출씨 등의 사물놀이에 반했으며 ... 월드컵 유치 기념 공연을 겸해 WOMAD가 내년께엔 한국에서도 꼭 치러지길 바란다'고 말했다. 여하튼 이정재 기자는 당시 '한번 행사 개최 비용이 50만 파운드(당시 6억5천만원)이며, 이번 공연이 평균 40파운드의 입장 티켓을 1만 6천장 팔아 64만 파운드의 수입을 올렸으니 상업적으로도 성공한 셈'이라고 분석했다. 나는 물론 피터 게이브리얼이 올지도 모른다는 희망 섞인 기대와 함께 두 손을 모아 우리 나라에서 WOMAD 페스티벌이 열리길 기다리고 또 기다렸지만, 결과는 ... 물론 안 열렸다.
사실 2002년이 아직 안됐으니 아직 희망은 있지만, 우리 나라 행정부와 일반인들의 '월드 뮤직'에 대한 인식 수준으로 볼 때 성사되긴 좀 어려울 것 같다 - 한편 마찬가지로 역시 '세계인의 축제'라는 월드컵의 주최국이라는 대외 이미지 등을 생각해볼 때 아주 기대를 버리기는 아직 좀 이른 것인지도 모른다. 여하튼 2002년 월드컵이든 어떤 명분이든 '미스 유니버스 대회' 같은 것보다는 이런 좋은 음악·문화 공연이 우리 날에서 좀 더 많이 개최되었으면 하지만, 만약 우리 나라에서 개최된다 해도, 공연에서 그리드나 뉴 오더 등 영미권 주류 아티스트들의 공연은 매진되어 꽉 차고, 제프리 오리에마나 유순 두르 같은 분명 더욱 뛰어난 음악성을 가진 비-서구권 아티스트들의 공연은 파리를 날리는 끔찍한 사태가 벌어진다면 - 우리 나라에 그들이 그야말로 '전혀 안 알려져 있기 때문에' 정직하게 말해 내 생각으로는 이렇게 될 확률이 아주 높을 것 같다 - 그 또한 더욱 민망스런 일일 것 같다.

2000년 WOMAD 페스티벌 타임 테이블

3월 16-18일: mailto:WOMAD@Skyscape.MilleniumDome.London.UK 3월 하순: WOMAD South Africa 5월 12-14일: WOMAD C ceres, Extremadura, Spain 7월 14-17일: WOMAD at Hannover Expo, Germany 7월 16일: Globe to Globe, WOMAD Acoustic Concert, Shakespeare's Globe Theater, London, UK 7월 21-23일: WOMAD Festival, Rivermead, Reading, UK 7월 28-30일: WOMAD USA, Marymoor Park, King County, Washington State 8월 4-6일: WOMAD Palermo, Sicily, Italy 9월 1-3일: WOMAD Festival 2000, Fort Canning Park, Singapore 9월: WOMAD Festival 2000, Malaysia 9월 15-17일: WOMAD Prague, 체코 공화국 -스펠이 뭐냐?
11월 10-12일: WOMAD Canarias 2000, Gran Canaria

  • 보다 자세한 것은 본 기사 말미의 인테넷 홈 페이지 등을 참조.

6 # 1989: 리얼 월드 레코드 컴퍼니의 창설[ | ]

그러나 역시 우리의 관심은 1989년 게이브리얼이 창립한 리얼 월드 레코드사(Real World Records)에 집중될 수밖에 없다. 실상 WOMAD 페스티벌이 열리는 곳은 한정되어 있으며, 페스티벌이 열리지 않는 곳에 살고 있는 대부분의 게이브리얼 및 WOMAD 팬들은 음반을 통해서만 이들의 음악을 접할 수 있기 때문이다. 위에서 말한 것처럼, 우리 나라에서도 이른 시일 안에 WOMAD 페스티벌이 개최되길 바라면서, 먼저 리얼 월드 레코드 레이블의 명칭과 조직 및 발매된 주요 '콜렉션·시리즈' 등에 대해 간략히 알아보도록 하자.
우선 '리얼 월드'(Real World)란 이름은 참으로 놀라울 정도로 다양한 의미와 함축을 지니는 명칭이다. 우선 피터 게이브리얼의 이름 안에도 (발음상으로는) '리얼'이 들어간다. 즉, 'Peter Gabriel'이란 이름은 영어에서 'Peter Gave (It) Real'이란 뜻으로 읽힐 수도 있다 - 이 경우 물론 영어권 사람들은 b와 v의 차이를 결코 놓치지 않겠지만 여하튼 발음상의 재미있는 펀(pun)을 발생시킨다. 영어의 이 real이란 단어는 실로 엄청나게 다양한 의미를 가지고 있어서 우리말에서 너무도 다양한 의미를 파생시켜, 오히려 해석이 불가능할 정도이다. 영어의 real은 '진짜 있는', '참된', '현실적인', '실재하는', '객관적인', '진리의' 혹은 우리말의 그야말로 '리얼한' 이란 뜻이다. 한편 우리가 그 상대어들을 살펴보면 real의 '반대편', 즉 'not real'에는 '참이 아닌', 혹은 '거짓의', '없는', '틀린', '환상의' 등등이 속함을 알 수 있다. 이제 '리얼 월드'란 우리말로 '진짜 (있는) 세계', '참 세계', '참(된) 세상', '현실 세계', '실재 계' 등등으로 다양하게 번역될 수 있다. 그러나 게이브리얼이 의도하는 바는 아마도 다음과 같은 것일 듯 싶다: 그러나 무엇이 정말 있는가?(What Is Real?) 무엇이 현실인가? 무엇이 사실인가? 이는 물론 '철학적' 문제이다. 게오르그 루카치의 말대로 언제나 '문제는 리얼리즘'(realism)이다. 그는 '무엇이 참으로 존재하는가'라는 문제야말로 모든 철학이 해결해야 할 최우선의 과제라고 본 것이다. 아니, '참으로 있는 것'(reality)이란 게 정말 있을까? 그것은 '영원 불변하는' 진리일까? '환상의 실재성'(The Reality Of Fantasy)이란 것도 있지 않을까? 우리는 이제 이렇게 말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리얼 월드는 리얼 월드이며, 리얼 월드가 아니다(Real World is and Real World is not).

Real World is a never-ending source of exasperation and wonder.
Real World is open.
Real World is working with WOMAD - The World of Music, Arts and Dance.
Real World is all in the mind.
Real World is numerous tartan-clad, wode-painted morris dancing druids in our midst.
Real World is a record company.
Real World is making something that has its heart in creative work
Real World makes interactive toys.
Real World is a publisher.
Real World is a fingerclicking, toepicking, bamboo stick tapping kinda place.
Real World is open.
'Real World' means something different to everyone we meet.
Real World is closed.
Real World is not what it first appears.
Real World is getting out bed and looking forward to the day.
Real World is frustrating and hard and easy and fun.
Real World is a recording studio.
Real World is Peter Gabriel.
Real World is is and Real World is not.
Real World is is the bringing together of a dream that never wakes up.

리얼 월드는 분노와 경이의 끊임없는 원천이다.
리얼 월드는 열려 있다.
리얼 월드는 WOMAD와 함께 작업한다.
리얼 월드는 모두 마음속에 있다.
리얼 월드는 타탄 옷을 입고 워드를 칠한 채 모리스 춤을 추는 우리 안의 드루이드이다.
리얼 월드는 레코드 회사이다.
리얼 월드는 창조적 작업 환경의 창출을 위해 존재한다.
리얼 월드는 상호-반응하는 장난감들을 만들어낸다.
리얼 월드는 출판사이다.
리얼 월드는 손가락으로 클릭하고, 발로 집고, 대나무 젓가락으로 톡톡 치는, 그런 곳이다.
리얼 월드는 열려 있다.
리얼 월드는 우리가 만나는 모든 사람과는 다른 무언가를 의미한다.
리얼 월드는 닫혀 있다.
리얼 월드는 당신의 첫 인상과는 다른 것이다.
리얼 월드는 침대에서 일어나 해가 나길 기다리는 것이다.
리얼 월드는 실망스럽고 어려우며 쉽고 재미있다.
리얼 월드는 레코딩 스튜디오이다.
리얼 월드는 피터 게이브리얼이다.
리얼 월드는 있으며 리얼 월드는 없다.
리얼 월드는 결코 깨어나지 않는 하나의 꿈을 모으는 것이다.

7 # 리얼 월드 레이블 앨범의 분류 표기들[ | ]

리얼 월드 레코드(Real World Records)는 1989년 6월 피터 게이브리얼과 토머스 브루먼 등의 주도로 WOMAD 그룹 산하의 마이너 레이블로서 창립되었다. 리얼 월드 레코드의 경영진이라 할 공동 디렉터 5인 중에는 1982년 첫 WOMAD 페스티벌의 엄청난 적자 이후 WOMAD 그룹 경영 부분에서 은퇴한 게이브리얼이 포함되어 있다. 나머지 4인의 디렉터들은 토마스 브루먼 이외에도 이언 깁슨(Ian Gibson), 마이크 라지(Mike Large), 마리아 페드로(Maria Pedro)이다. 한편 창립 이후 현재까지 리얼 월드 앨범들의 배급은 게이브리얼 자신이 속하고 있는 메이저 레이블 버진(Virgin) 레코드가 맡고 있다. 리얼 월드 레이블 안에는 몇 개의 콜렉션·시리즈들이 다양한 분류 기호들에 따라 존재하고 있는데, 아래에서는 이를 차례대로 알아보자: 1) 특별한 명칭이 없는 리얼 월드의 메인 콜렉션: 분류 기호 RW로 시작되어 2000년 2월 현재 총 87매의 앨범이 발매되어 있다.
2) WOMAD 셀렉트(WOMAD Select): 분류 기호 WS로 시작되는 WOMAD 페스티벌의 연관 콜렉션이다. 이 시리즈 중 '아프리카 시리즈'(Africa Series)는 WS1으로, '아시아 시리즈'(Asia Series)는 WS2 등의 기호로 시작된다.
3) WOMAD 페스티벌의 라이브 앨범을 의미하는 분류 기호 WSVEN 이외에도, 리얼 월드 멀티 미디어, 퍼블리싱 컴퍼니 등과 연계된 CD-롬 시리즈에는 분류 기호 PI가, 홈 비디오 컬렉션에는 기호 V가, 서적 등에는 기호 B 혹은 BK가 표시되어 있다. 한편 이들 중 특히 게이브리얼 자신의 앨범들은 분류 기호에 PG라는 표기가 부가되기도 한다.
4) 또 리얼 월드는 게이브리얼의 근황은 물론 레이블 및 WOMAD 소식을 전하는 반년간 소식지 <Real World Note>를 발매하고 있다. 쉽게 말해 '팬 클럽 매거진'의 성격을 갖는 이 소식지에는 매호마다 게이브리얼을 포함한 리얼 월드 발매의 최근 신보들이 앨범별로 한 곡씩 실려 있는 CD가 포함되어 있으며, 통상 마지막 트랙은 비디오 버전으로 되어 있다. 이 의 가장 최신호는 2000년 1월 발매된 9호인데, 수록 CD에는 리얼 월드 레이블의 최근작들인 조셉 아서·아프로-켈트 사운드 시스템·앤디 화이트 등의 곡 이외에도 아마도 <노트 CD> 표지에 사진이 실린 것처럼 '밀레니엄 돔 개관식'을 위해 작곡된 게이브리얼의 신곡 '100 Days To Go'가 실려 있다!
5) 이외에도 리얼 월드 레코드에는 의류·가방·악세사리 등을 제작·판매하는 리얼 월드 의류 회사 와 이를 판매하는 리얼 월드 무역(Real World Trade Ltd.)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우리 나라의 독자들도 본 특집 말미에 실린 주소를 통하면 CD에서 의류에 이르는 리얼 월드 발매의 모든 아이템들을 우편으로 주문할 수 있다(보통 앨범 CD는 한 장 당 8.99-12.99 파운드, 싱글 CD는 3.99 파운드, 홈 비디오는 12.99 파운드, CD-롬은 24.99-34.99 파운드 정도의 가격이다).

한편 리얼 월드에서 발매된 모든 앨범 커버에는 앞면 좌측 하단 1센티 가량에서 뒷면 우측 하단 5센티 가량에 이르는 아홉 가지 색깔의 띠가 그려져 있다 - 따라서 CD의 경우 진열장에 꼽혀있는 상태에서도 앞에서 이 아홉 가지 색깔의 띠가 보인다. 이 아홉 가지 색깔은 '월드 뮤직' 전문 레이블답게 각각 세계를 아홉 가지 지역으로 구분한 것이다. 이 띠의 색깔을 위쪽부터 차례로 살펴보면, 1) 맨 위의 초록은 아프리카 2) 짙은 청색은 북아메리카 3) 보라는 남아메리카 대륙 4) 노랑은 '아시아 1'로 중앙 아시아 지역 5) 주황은 '아시아 2'로 중국·일본·한국 등 극동·남방 아시아 지역 6) 밤색은 오세아니아 지역 7) 하늘색은 캐리비언 지역 8) 파랑은 유럽 9) 인도·스리랑카·파키스탄 등 인도 아(亞)대륙 지역을 의미한다. 또한 각 대륙의 모든 나라는 고유한 기호를 가지고 있으며, 이 기호 또는 영어 국명이 해당 국가가 속한 대륙의 색깔 띠 위에 적혀 있다. 만약 우리 나라의 아티스트가 리얼 월드에서 앨범을 냈다면, 그 앨범에는 '아시아 2 지역'을 뜻하는 주황색 띠 위에 영문으로 KOREA 혹은 기호 (상만, 기호를 보내면 글이 깨질 것 같아 설명으로 한다. 아주 간단하다. 정사각형의 빈 네모가 있고, 그 중간에 위아래로 직선이 지난다. 좌측 반은 공백이고, 우측 반은 검은 색이 칠해진 것) 가 표기된다. 따라서 우리는 영국 아티스트인 게이브리얼의 라이브 앨범 <Secret World Live>의 뒤쪽 커버에는 유럽을 의미하는 파랑 띠 위에 ENGLAND라는 글자가 써있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 유용하고도 재미있는 발상이다.

8 # 리얼 월드 레이블의 또 한 가지 매력[ | ]

- '@ 어소티드 이미지즈'의 앨범 커버 작업

한편 리얼 월드 발매 앨범들의 매력 중 하나는 앨범 커버들의 뛰어난 디자인 작업이다. 리얼 월드 소속의 전담 디자인 팀 이외에도 @ 어소티드 이미지즈(@ Assorted images) 팀, 특히 맬콤 개럿(Malcolm Garrett) 등이 맡고 있는 커버 작업은 70-80년대 프로그레시브 계열의 앨범들에서 디자인 팀 힙그노시스(Hypgnosis)가 보여준 것에 버금가는 성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는 전통과 현대의 만남을 통해 '여기-오늘의 음악'을 창조한다는 리얼 월드의 레이블 정신에도 부합할 뿐 아니라, 최근 앨범 커버와 레이블 이미지의 측면에서도 세련된 예술적 감각을 선호하는 젊은 음악 수용자 층에도 크게 어필하는 요소 중 하나가 된다. 독자 여러분들께서도 본 글의 진행에 따라 등장하는 여러 앨범들의 커버와 이미지 작업들을 눈 여겨 살펴보아 주시기 바란다.

9 # 1989-1990: 리얼 월드 레이블의 초기 앨범들 - 그 기본적 지향점[ | ]

이제 아래에서는 리얼 월드 레이블에서 발매된 몇몇 주요 앨범들을 앨범 리뷰의 형식으로 소개해 본다 - 리얼 월드 레이블의 뛰어난 앨범들이 아직 우리 나라에 정식 라이선스 음반으로 발매되지 않은 것은 정말 너무도 아쉬운 일이다. 이미 유럽과 미국·일본 등지에서는 리얼 월드 레이블과 WOMAD의 당상 수 '골수 팬들'이 존재하는 것처럼, 나는 본 특집을 계기로 우리 나라에서도 이 훌륭한 '월드 뮤지션들'의 작품들이 제대로 소개될 수 있기를 진심으로 희망한다. 다만 분명히 해두어야 할 것은 아래에 선정된 음반들이 '리얼 월드 레이블 베스트 선'은 아니라는 사실이다. 2000년 현재 레이블에서는 모두 약 200여장에 이르는 앨범들이 발매되어 있으나, 이 중 필자가 음반 전체를 들어본 것은 반 가량밖에 되지 않는다(앨범의 한두 곡 정도는 거의 모두 들어봤다). 그 이유는 물론 이 곳 유럽에서도 CD 한 장 당 보통 2만원을 웃도는 음반 가격 때문이다. 필자는 리얼 월드에 <뮤지컬 박스> 이름으로 협조를 의뢰하는 편지를 보냈지만 긍정적 답변을 받지 못했다. 언젠가 보다 나은 기회에 이번에 누락된 앨범들을 소개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또 한 가지 언급해두어야만 할 점은 아티스트·그룹들의 우리말 표기에서 어려움을 겪었다는 사실이다. 실상 영어 표기만으로는 한국인의 이름도 거꾸로 찾아가기 어려운 경우가 종종 있는 것이 사실이다. 아래에 표기한 인명들 중 필자가 확신할 수 있는 인명은 영어·불어·독어·이탈리아어·스페인어·일어 정도이고, 아프리카의 스와힐리어·아랍어·포르투갈어·티벳어 등등은 영어로 적혀있는 대로 그대로 음사(音寫)했을 따름이다. 이에 대한 여러분의 적절한 조언을 기대하면서 특집을 시작해 본다.

사실 리얼 월드 레이블 이전에도 이른바 세계 각국 전통 아티스트들의 앨범을 발매하는 '월드 뮤직 전문 레이블'은 적지 않게 존재해 왔다. 그러나 나의 판단으로 감히 말하자면 리얼 월드 레이블의 시도는 이전의 레이블들과 질적으로 차이가 난다. 물론 그 차이가 만드는 것은 - 참여한 세계 아티스트들의 질이라기보다는 - 이 레이블의 '월드 뮤직'에 대한 관점의 참신성 및 그것을 현실화시켜 주는 스튜디오·프로덕션·엔지니어링 기술·역량의 존재이다. 쉽게 말하면 우리 나라 혹은 세네갈의 훌륭한 전통 예인 혹은 아티스트들의 앨범은 이전에도 발매되었다. 그러나 그것들 대부분은 해당 전통에 대한 보다 '소개적' 차원의, 아니라면 보다 '학술적' 가치에, 혹은 그것도 아니라면 구미인들의 '이국적' 취향에 초점을 맞춘 것이었다. 따라서 그것들은 대부분 태국·우즈베키스탄·볼리비아 등의 국가 명 혹은 탱고·판소리·라이 등의 장르 명을 달고 나온 것이 대부분이었으며, 우리가 (한 아티스트의 독집도 아닌) 그러한 작품집들에 대해 '해당 전통의 충실한 소개와 재현'을 넘어서는 '오늘의 문제 의식을 담은 깨어있는 현대적 작품'을 요구하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이는 단순히 테크놀로지의 측면만을 지적하는 것은 아니다(물론 기존 대부분의 '민속 음악' 콜렉션들의 음질에도 많은 문제가 있지만, 이는 보다 덜 중요한 측면이다). 우리의 판소리나 사물놀이만 하더라도 우리 나라 음악 전문가라면 누구나 그 안에 세계 민속 음악계에서도 보기 드문 놀라운 예술적 힘과 보편적 가능성이 있음을 쉽게 수긍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리얼 월드 레이블의 앨범들에는 기존의 콜렉션들과 정말 '질적으로 다른' 성취가 담겨 있다. 만약 나의 이러한 평가가 옳은 것이라면, 그들은 어떻게 이러한 성과를 획득할 수 있었을까? 그 이유는 바로 - 역시 게이브리얼이 소유하여 레코드 본사와 같은 곳에 위치한 - 리얼 월드 스튜디오의 존재, 그를 돕는 프로듀서·엔지니어·뮤지션 집단, 그리고 이 모든 것을 가능케 하는 게이브리얼의 '월드 뮤직'에 대한 새로운 인식에 놓여 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리얼 월드가 고답적인 차원의 '비-서양권 전통 음악 소개'에만 머무르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리얼 월드 레이블에서 발매된 모든 앨범의 커버 안쪽에는 게이브리얼이 직접 쓴 다음과 같은 말이 적혀 있다: "이 레이블은 세계 모든 곳의 전통에서 가장 최근의 현대에 이르는 광범위한 영역의 음악들을 발매하기 위해 리얼 월드와 WOMAD에 의해 설립되었습니다. 우리는 이러한 연주를 위한 최상의 공간을 만들어내기 위해 열심히 노력했습니다. 어떤 음악, 어떤 테크놀로지가 있다해도, 훌륭한 앨범은 훌륭한 연주에서만 나옵니다. 여러분들도 저희가 이 앨범들을 만드는 동안 느꼈던 즐거움을 맛보실 수 있기를 바랍니다 - 피터 게이브리얼"(전문) 따라서 글자 그대로 리얼 월드의 앨범 발매 목록에는 - 우리 나라의 예를 상상해 보면 - 박동진, 황병기의 창작집뿐만 아니라, 정태춘, 한상원, 신해철의 앨범들도 포함되어 있는 그야말로 '세계 모든 곳의 전통에서 가장 최근의 현대에 이르는'(from the traditional to the very modern from all corners of the world) 아티스트의 앨범들이 들어있는 것이다.

NusratFatehAliKahn GeoffreyOryema RemmyOngala MusiciansOfTheNile Abdelli Ashkhabad ShuDe YungchenLhamo JosephArthur AfroCeltSoundSystem

  • 서양과 비-서양, 혹은 현대와 전통의 만남

사실 위에서 소개된 이러한 기획이 실현될 수 있다는 것은 정말 한편으론 놀랍고도 한편으론 부러운 일이다. 생각해 보라. 박동진 선생님의 새로운 곡들이 담긴 창작집 신보가 발표된다. 녹음은 리얼 월드 스튜디오에서, 프로듀서는 브라이언 에노, 엔지니어 리차드 에반스, 믹서에 데이빗 보트릴, 북·장고에 김덕수와 사물놀이, 북에 조지 히로타, 기타에 후안 카니자레스, 바이올린에 샹카르, 베이스 믹 칸, 신서사이저 드럼 프로그래밍에 피터 게이브리얼, 백 보컬리스트에 제프리 오리에마와 누스라트 파테 알리 칸! 그리고 매시브 어택의 리믹스 곡이 CD 보너스 트랙으로 담겨 있다! 이것은 물론 과장된 일람표일 테지만, 실상 또 그렇게 과장만도 아니다 - 실제로 위에 적은 아티스트들은 박동진 선생만 빼고는 모두 리얼 월드 레이블의 앨범에 위에 적은 동일한 포지션으로 적어도 한 번 이상 참가한 아티스트들인 것이다! 이제 당신은 리얼 월드에서 발매된 앨범들이 왜 단순한 전통의 재현이 '아닐 수밖에 없는지'를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위에 적은 대로 이렇게 리얼 월드가 이른바 '전통의 현대화'에 성공할 수 있었던 다양한 요인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역시 이들과 작업하고 있는 뛰어난 프로듀서 군(群)의 존재라 해야 할 것이다. 리얼 월드에서 일하고 있거나, 일했던 프로듀서들은 위에 적은 피터 게이브리얼, 브라이언 에노, 마이클 브룩, 데이빗 보트릴, 리차드 에반스 이외에도 필 레이몬(Phil Ramone), 루퍼트 하인(Rupert Hine), 폴 브레넌(P l Brennan), 리차드 블레어(Richard Blair), 크리스 로슨(Chris Lawson), 그리드(The Grid) 등이 있다. 이는 물론 프로듀서의 존재 이유와 가치에 대한 분명한 인식이 없이는 현실화되기 어려운 '불가능한 라인업'이다. 그러나 위에 적은 일람표를 잘 보면, 우리가 아는 아티스트들은 - 우리 나라 분들만 빼고는 - 모두 서양 아티스트들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물론 우리는 박동진, 김덕수씨나 사물놀이의 실력은 그들과 견줄만한, 아니 그들을 아마도 넘어설 '보편적 음악적 역량'의 소유자들임에 쉽게 동의할 수 있다. 그렇다면 위에 적은 일본의 조지 히로타, 우간다의 제프리 오리에마, 혹은 파키스탄의 누스라트 파테 알리 칸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해야 할까? 물론 마찬가지다. 다만 우간다인들이 박동진을 모르듯 우리는 제프리 오리에마를 모르며, 우리가 알리 칸을 모르듯 파키스탄인들은 김소희를 모를 뿐이다.

10 # Et Cetra[ | ]

그 외 지역의 아티스트들 + 각종 프로모션 앨범·콜렉션들

사실 이상의 리뷰에서도 대략 드러난 것처럼 리얼 월드 레이블의 아티스트들은 대부분 아프리카와 중동·아랍권 혹은 인도 대륙 지역 출신들이다 - 그리고 이는 실상 영국의 제국주의·식민주의 시절의 침략 지역과 대강 일치한다. 물론 영국 혹은 유럽인들로서 자신들과 지리적으로 가까우며 따라서 자신들과의 관계에 있어서 '불행했던 과거'를 가진 지역을 더 잘 알게되는 것은 자연스런 일일 것이다. 한편 이들의 선구자적인 노력을 공정히 평가해보면, 이 정도의 구색을 갖추는 것도 어려운 일이며, 더구나 첫술에 배부르기를 바랄 수는 없는 일이다. 이런 점을 염두에 두고, 아래에서는 최소한 현재로서는 이러한 '주변적 문명권' 아티스트들의 이름과 앨범들을 간략히 소개해본다.
중동 및 인도·파키스탄 등을 제외한 아시아권 아티스트로 리얼 월드에서 정규 앨범을 낸 아티스트는 그리 많지 않다. 2000년 3월 현재까지의 앨범들을 살펴보면, 90년 발매된 중국의 전통 아티스트들인 구오 브라더즈와 슝 티안(The Guo Brothers & Shung Tien)의 (RW11)이 최초이다. 이후 91년 런던에서 공연했던 캄보디아 국립 전통 무용단(Musicians Of The National Dance Company)의 (RW18), 92년 구오 브라더즈의 구오 유에·폴 브레넌·조지 히로타의 트리오 '트리산'(Trisan)의 동명 앨범(RW32), 93년 쿠르크메니스탄의 아슈카바드가 낸 <City Of Love>(RW34), 94년 중앙 아시아 투바의 슈-데가 낸 <Voices From The Distant Steppe>(RW41), 96년 티벳의 융첸 라모가 낸 1집 <Tibet, Tibet>(RW59), 98년의 2집 <Coming Home>(RW72), 99년 일본의 북 연주자 조지 히로타가 낸 <The Gate>(RW82) 등 모두 87장의 시리즈 중 8장이다. 물론 우리 나라 아티스트는 앞에서 말했던 것처럼 92년의 컴파일레이션 앨범 <A Week In The Real World - Part 1>(RW25)에 김덕수 사물놀이가 수록된 것을 제외하곤 전혀 없다. 한편 남북 아메리카 대륙 전체의 아티스트들도 (조인트 앨범 등을 포함해도) 겨우 7장의 앨범을 발매하는데 그치고 있으며, 그나마 쿠바, 미국, 캐나다 등 단 3개국에 국한되어 있다. 오세아니아 출신 아티스트는 한 명도 없다.
이처럼 리얼 월드 메인 콜렉션의 대부분, 약 60-70% 이상이 아프리카·중동 및 인도·파키스탄 지역의 출신 아티스트이며, 나머지 30-40% 정도를 남북 아메리카·아시아 등지의 아티스트들이 차지하고 있다. 간단히 말해 현재로서의 리얼 월드 레이블은 - 다른 지역도 앞으로 넓히고자 희망하는 - '아프리카·중동 음악 전문 레이블'이다. 그러나 리얼 월드 참여 아티스트들의 분포도는 분명 점차로 다양해지고 있으며, 그 아티스트와 앨범의 질 또한 유럽·미국 등지에서는 이미 월드 뮤직 계의 충실한 '보증 수표'로서 평가받고 있다.
한편 리얼 월드는 레이블의 특성상 음악 홍보 등의 목적으로 이제까지 다양한 조인트·컴파일레이션 앨범들을 발매했는데, 마지막으로 아래에서는 이러한 앨범들을 일별해보기로 한다(단 위에서 언급한 켈트 컴파일레이션은 제외한다). 물론 이러한 계열에서 가장 먼저 발매된 앨범은 게이브리얼 자신이 선곡한 89년의 걸작 모음집 <Passion Sources>(RW2)였다. 이외에도 WOMAD는 페스티벌 창설 10주년을 맞은 1992년 <Worldwide: Ten Years Of WOMAD>를 내놓았다. 모두 17곡이 수록된 본 CD에는 드러머즈 오브 브룬디·알리 칸·유순 두르·제임즈·포지스·테렘 콰르텟·홈즈 브라더즈 이외에도 본 CD를 위해 게이브리얼이 작곡한 그의 'Across The River' 스튜디오 풀 버전이 실려 있다. 이후 리얼 월드는 92년 위에서 언급한 <A Week In The Real World - Part 1>(RW25)를 발매했다. '리얼 월드 레코딩 주간 1'이란 제명의 본 앨범에는 사물놀이 이외에도 그리드·아윱 오가다·홈즈 브라더즈·후안 카니자레스·제프리 오리에마·레미 옹갈라·토토 라 몸포시나 이 수스 탐보레스·폴 브레넌·조지 히로타·구오 유에·리우 솔라·테렘 콰르텟 등의 참여한 15곡의 스튜디오 라이브 곡이 수록되어 있다. 한편 94년에는 리얼 월드 레코딩 주간의 '파트 2'인 <A Week Or Two In The Real World>(RW30), 게이브리얼의 에 참여한 아티스트들의 곡을 모은 <Plus From Us>(RW33), 갈리아노·럭키 듀브·빌 코뱀·쟈 워블 등이 참여한 프로젝트 밴드 '잼 네이션'(Jam Nation)의 <Way Down Below Buffalo Hell>(RW36), 나이젤 케네디·알렉스 기포드·나나 바스콘첼로스 등이 참여한 프로젝트 앨범 (RW40)이 발매되었다. WOMAD는 '베니스 카니발' 기간 중인 96년 2월 17-18일 양일 간 베니스의 성 마가 광장(St. Mark Square)에서 '세계 물 부족 해결을 위한 자선 페스티벌'을 열었는데, 이 공연의 라이브는 <WOMAD Live At The Carnival Of Venice>(WSVEN2)라는 제명으로 발매되었다.
98년에는 그간의 레이블 베스트를 모은 (RW69)가 발매되었다. 이 앨범에는 피터 게이브리얼·누스라트 파테 알리 칸·셰일라 챈드라·아프로-켈트 사운드 시스템 등의 곡이 수록되었다. 이외에도 리얼 월드에는 기호 RWSAM으로 시작되는 별도의 샘플러 시리즈가 있으며, 이는 1년에 한 번 정도 발매되어 보통 CD의 경우 15곡 정도를 담아 평균 앨범 가격의 반 정도로 판매되고 있다. 이 '샘플러 시리즈'의 가장 최근 앨범은 1999년 레이블 창립 10주년을 맞아 발매한 <11 Out of 10>(RWSAM7)인데, 이는 제명처럼 지난 10년의 베스트 10곡에 최신곡 1곡을 추가한 것이다. 수록된 11곡의 아티스트들은 다음의 11명인데, 레이블 스스로가 자신들의 대표작을 꼽은 흥미로운 콜렉션이라 할 수 있다: 셰일라 챈드라·누스라트 파테 알리 칸·파파 웸바·슈-데·마리암 무르사이·아슈카바드·아프로-켈트 사운드 시스템·파반 다스 바울 & 샘 밀즈·레미 옹갈라·제프리 오리에마·조이. 한편 리얼 월드 레이블은 99년 또 다른 프로모션 용 샘플러 CD <A Window On The Real World>를 내놓았는데, 이 CD에 수록된 아티스트는 켈트 프로젝트인 개더링·셰일라 챈드라·아윱 오가다·마라!·압델리·트리산·융첸 라모·판디트 시브 쿠마르 샤르마·이알라 오 리오나이르·토토 라 몸포시나·제프리 오리에마·아프로-켈트 사운드 시스템·누스라트 파테 알리 칸의 13인이다. 한편 2000년 3월 현재 리얼 월드 레이블에서 발매된 가장 최근의 앨범은 조셉 아서의 2집 (RW87)이다.

11 # 리얼 월드와 연관된 몇 가지 문제점, 혹은 생각해 보아야만 할 주제들[ | ]

사실 WOMAD 페스티벌은 물론 이 리얼 월드의 정규 앨범들조차 우리 나라에 아직 라이선스로 소개되지 않은 상황에서 이 레이블 혹은 WOMAD에 대해 소개한다는 것은 몇 가지 중요한 문제점, 혹은 생각해 보아야만 할 주제들에 대한 불가피한 고려를 요청한다. 생각나는 대로 하나씩 차례로 그리고 간략히 이를 짚어보도록 하자.

독자들이 이 음반들을 전혀 들어보지 못한 상태에서 음반을 듣고 일정한 정보를 소유하고 있는 필자가 이러쿵저러쿵 음반 평을 한다는 것은 무의미한 일일 수 있으며, 심지어는 상당히 위험한 일일 수도 있다. 언젠가 음악평론가 박은석씨가 필자와의 사석에서 말했던 것처럼 '들어 볼 수 없는 음반을 소개한다는 것이 도대체 무슨 의미가 있는가?'라는 질문을 나 자신도 스스로에게 여러 차례 던져보았다. 하지만 나는 반대로 왜 이렇게 뛰어난 음악성을 가진 전통 아티스트들로부터 현대 테크노 뮤지션들에 이르는 리얼 월드 컬렉션이 우리 나라에 소개 안 되는 이유가 오히려 궁금하다. 이에 대해 가능한 응답은 기본적으로 두 가지이다. 첫째 우리 나라에 비-서구권 음악이 소개된 적이 없다. 즉 들어 본 적이 없다. 그러므로 이러한 음악에 대한 대중들, 혹은 매니어들의 수요가 없으며, 따라서 두 번째로 공급도 없다. 그러므로 '월드 뮤직'은 - 인식 부족이든, 패션이 아니든 - 수요도 공급도 없다.
이는 무엇보다도 우리 음악 취향의 다양화가 요구되는 사항이다. 우리는 우리 나라 음악 수용사에 있어서의 기본 틀이었던 '서구 음악 일변도의 편식 취향'을 한 번도 반성해 본 적이 없다. 일반 대중들에게는 영미가 아닌 이탈리아 프로그레시브 음악도 아직 생소한 상황인데, 웬 파키스탄·모로코 음악이란 말인가? 이를 우리는 '특이한' 음악이라 생각하는 듯 싶다. 우리의 판소리나 사물놀이는 '우리 것이 좋은 것'이므로 물론 나름의 뛰어난 나름의 음악성을 가지고 있지만, 아프리카, 그것도 우간다나 콩고에 무슨 관심이 간단 말인가? 이 말이 좀 심하다면, 거기까지 관심을 가질 여유가 없다 ... 뭐 이 정도가 될 것이다 - 실상 이는 제국주의 시대의 악질적 잔재와 세계를 지배하는 할리우드 체제가 오늘도 변함없이 확대·재생산하고 있는 , <아웃 오브 아프리카>, <파워 오브 원>, 류의 끔찍한 제국주의 이데올로기가 여실히 지배하고 있는 영역이다(이것이 왜 끔찍한 지는 영화의 배경이 되는 곳을 우리 나라로 바꾸고, 그 주인공들의 국적을, 그리고 '우리'가 그 영화에서 맡은 역이 무엇인가를 생각해 보라 - 정답은 전문 용어로 '엑스트라'라고 부른다). 한 번 생각해보자. 내가 신중현부터 서태지·듀스에 이르는 가요의 전문가라면 사람들은 나를 그냥 '음악을 좋아하고 많이 아는 사람' 정도로 생각하지 거기에 대해 그 이상의 어떤 우월감·열등감 등의 심리적 요인들을 별로 개입시키지 않는다. 그러나 내가 보다 '전문적인' 서구 팝·록, 재즈 혹은 클래식의 매니어라면, 사람들이 나를 쳐다보는 기본 관념은 바뀐다. 나는 좀 멋있는 사람이 된다. 물론 나는 예를 좀 과장하고 있지만, 기본적으로 한국 사람이라면 내가 말하고자 하는 바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내가 우리 나라 TV 프로에 나가 영어나 독어를 잘 하면, 나는 멋있는 사람이 된다, 그러나 내가 동일한 상황에서 우간다 말이나 가봉, 혹은 몽골어를 완벽하게 구사한다면, 나는 좀 '특이한' 사람이 된다(아니 좀 더 정직하게 말해 아마도 방청객들은 웃을 것이다)는 말이다.
물론 이런 도덕적인 이유만으로 (라이선스 수입해서 망할지도 모르는) 리얼 월드 레이블이 '정식으로 우리 나라에 이유를 불문하고 반드시 수입되어야 한다', 혹은 더 나아가 '우리도 이제 선진국이 되려면 이런 음악을 들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다. 어떤 위대한 논리적·도덕적 강변이 있다 해도, 결국 음악은 '듣고 싶어서', 그리고 '자기가 좋아서' 들어야 할 무엇이다. 그렇다면 나는 왜 이런 이유를 늘어놓고 있는가?

12 # 내가 리얼 월드의 음악을 좋아하는 네 가지 이유[ | ]

단순히 말해 내가 우리 나라에 리얼 월드 레이블의 음악이 소개되었으면 하고 바라는 것은 다음의 네 가지 이유에서이다.

1) 첫째로 리얼 월드 레이블에서 발매된 음반들에 담긴 음악들이 '음악 그 자체로' 좋기 때문이다. 그 음악성과 연주 역량의 수준에서 가히 세계 최고 수준의 음악들이라 할 수 있는 음반이 놀랄 정도로 많다. 나 역시 다른 매니어들처럼 내가 좋아하는, 훌륭한 음악이라고 생각하는 음악을 다른 사람들에게 소개해주고, 또 그들도 그러한 음악을 좋아했으면 하고 바란다.br/ 2) 둘째로 - 이는 우선 나의 개인적 소감인데 - 리얼 월드 음악은 '돈에 찌들은 냄새가 안 난다'는 것이다. 그래서 처음 들으면 좀 심심한 듯 하지만 들어도 들어도 좀처럼 질리지 않는다. 이는 우리 같이 앨범 리뷰나 연대기를 좀 '제대로' 써보고자 - 이를 누군가는 '프로의 자존심'이라고 불렀다 - 몇 주 동안 그야말로 하루 종일 음악을 듣고 앉아 있어야만 하는 나의 동료 비평가들은 너무도 잘 이해할 사항인데, 대부분 그룹들의 앨범들은 리뷰나 연대기를 쓸 만큼 예를 들어 한 한 달 반복해서 듣고 나면 몇 달 동안은 정말 '그 앨범 곁에 가기도 싫어진다'고 할만큼 질리는 것이 사실이다. 물론 이에는 대개 그 앨범을 '원래 많이 들어왔고', 또 글을 쓰기 위해서 '의무적으로 듣는다'는 요인도 중첩된다. 그러나 나는 이 글을 쓰기 위해 리얼 월드 앨범 수십 장을 두 달 이상 들어왔지만, 질린다는 느낌보다는 샘플러로 한두 곡을 들은 음악이 담긴 앨범을 구해 전체를 다 들어보고 싶다는 느낌이 훨씬 앞선다. 나는 두 달 전보다 지금 리얼 월드의 음악이 더 듣고 싶어진 것이다! 이것은 정말 나로서는 처음 겪어보는 특이한 사건이다. 이는 물론 우연이 아니다. 이는 '무기교의 기교'를 실천한 리얼 월드 제작진의 '자연주의적 제작 방식'이 거둔 성과이자, 찰나적이고 말초적인 상업주의적 제작 방식만이 판치고 있는 현 레코드 업계에 대해 리얼 월드가 거둔 소중한 승리라 해야 할 것이다. 리얼 월드는 무공해인 것이다.br/ 3) 셋째로 리얼 월드의 기본 제작 방침이 단순한 '전통의 무개성적 재현'이 아닌, '오늘의 문제 의식이 살아 숨쉬는 전통과 현대의 창조적 만남'을 지향하고 있기 때문이다. 리얼 월드의 음악은 전통 음악의 경우에도 전혀 '고리타분'하지 않다. 그것은 항상 어떤 의미든 나름의 '현대성'을 분명히 담보하고 있다. 알리 칸과 셰일라 챈드라가 들려주는 실험성은 기존 어느 서구 모던 아티스트의 그것에 뒤지지 않는다, 아니 대부분 그것을 능가한다. 이 '현대성' 혹은 '실험성'은 '좋은 음악'이라는 리얼 월드의 제1원리와 더불어 그 음악이 동시대의 젊은 아티스트들에게 폭발적 인기를 끈 또 하나의 요인이 된다.br/ 4) 넷째로 - 이는 상대적으로 부차적인데 - 리얼 월드 레이블의 음악은 '서구 제국주의의 본령에서 그것을 깨고자 나온 양심적인, 그리고 음악적 성취를 담보하고 있는 하나의 세계 시민 운동의 결과물'이기 때문이다. 물론 그럼에도 불구하고 리얼 월드 레이블의 콜렉션에도 문제는 있다. 이미 언급한 아프리카·중동, 인도 대륙에의 지나친 편중이 하나이다. 그러나 이는 그 대륙의 편중이 아니라, 타 대륙의 소외가 문제시되어야 할 문제이다. 왜냐하면 인도든 볼리비아든 그 음악이 좋아서 그 지역 아티스트에 집중하는 것은 전혀 문제가 아니기 때문이다. 단순한 산술적 평균이란 사실상 참여하지 않은 방관자의 관념적 폭력이며 이 세상이 그다지 필요로 하지 않는 것이다. 더구나 사실상 열악한 상황에서 고군분투하고 있는 리얼 월드에게 세계 음악계의 모든 구조적 모순을 해결하라고 요구할 수는 없는 일이다. 다만 기회의 균등은 문제가 될 것이다. 아래에서는 이를 보다 심화시켜 제작자와 수용자의 양 측면에서 간단히 문제를 살펴보기로 하자.br/ 우선 제작 측면에 있어서의 '주체'의 문제를 생각해볼 수 있다. 예를 들어보자. 박동진의 신보를 브라이언 에노가 제작한다. 반주는 사물 놀이가, 녹음은 물론 영국 리얼 월드 스튜디오에서, 제작사의 사장은 피터 게이브리얼이다. 앨범은 리얼 월드 레이블에서 발매된다. 우리는 분명 이 때의 해석 주체를 - 불행 혹은 다행히도 - 브라이언 에노, 피터 게이브리얼, 리얼 월드 레코드로 보아야 할 것이다. 쉽게 말해 리얼 월드 앨범들의 99%는 '서양 제작자들에 의해 해석된 비-서양 전통 음악의 현대적 재창조'이다. 이는 일반인들의 생각처럼 단순한 서구 테크놀로지의 발달이라는 물질적 측면만을 지칭하지 않는다. 물질적 테크놀로지를 지배하는 문명은 반드시 정신적 노-하우, 즉 문화 또한 리드한다. 우리는 이를 어떻게 생각해야 할까? 내가 생각하는 현금의 해답은 간단하다. 인정하고 배운다는 것이다. 그리고 중요한 것은 '좋은 음악'을 만드는 것이지, '제작자가 동양인이냐 서양인이냐?'가 아니다(오히려 문제는 그들이 우리를 안 불러주고 안 만나주는 것일 수도 있다). '제대로만' 한다면, 미국인이든 가봉인이든 자주 만나고 교류를 가져서, 그들의 테크놀로지와 그보다 더 중요한 그들 정신의 정수를 배워와야 한다.br/ 또 한편 '수용자'의 측면에서 볼 때, 리얼 월드 음악이 이미 서구권에서는 '월드 뮤직'의 메카가 된 이유 중에는 아마도 상기한 '음악성·실험성을 모두 갖추고 있다'는 점 외에도 그 레이블의 이미지가 주는 '이국성' 혹은 '컬트성'이 속하고 있을 것이다. 유럽인 혹은 미국인들에게 가봉·한국·콜롬비아의 전통 음악, 얼마나 이국적이며 또한 컬트적인가! 생각해 보라. 서구인들은 쿠웨이트와 인도와 한국이 다 '아시아', 다 '동방'(東方)이다! 유럽에서 보면 그렇게 될 것이다. 서구인들은 한국이 베트남 옆에 있는지, 한국에서는 일어를 쓰는지 중국어를 쓰는지 묻는다. 그렇다면 나는? 볼리비아와 과테말라와 에쿠아도르는 어떤 역사를 갖는지, 하다못해 수도가 어딘지 물론 모른다. 마찬가지다. 사실 WOMAD 조직 위원장인 토마스 브루먼의 말대로 '영국에서 유순 두르가 월드 뮤직이라면, 일본에서는 이언 듀리가 월드 뮤직이예요!'가 가장 사실에 가까운 말인지도 모른다. 그러나 사실은 아니다. 유순 두르는 세네갈의 국민적 영웅이요, 서태지는 한국 십대들의 우상이며, 오아시스는 영국 최고의 인기 그룹이다. 생각해 보자. 한국에서는 유순 두르를 모르고, 세네갈에서는 서태지를 모르며, 영국에서는 유순 두르와 서태지를 다 모르지만, 세네갈과 한국에서는 오아시스를 다 안다. 왜? 왜 이렇게 되었을까? 이유는 당연하다. 그것은 - 나는 물론 영국 뮤지션들의 음악성이 뛰어나서 그런 점을 부인하지는 않는다 - 그들이 모든 면에서 세계를 지배하는 미국, 혹은 서양의 언어인 영어로, 서구인들의 감수성을 노래하는 서양 뮤지션이기 때문이다.br/ 앞에서 말했던 이른바 '월드 뮤직'(world music)이란 명칭의 문제점도 바로 여기에 있다. 서구인들은 모든 '비-서구 음악'을 '월드 뮤직'(=세계 음악)이라 부르고 있는 것이다. 즉 실상은 '서구 음악 + 비-서구 음악 = 세계 음악'이지만, 그들은 '서구 음악이 아닌 모든 음악'을 월드 뮤직으로 부르는 것이다. 이는 '서구 음악 + 세계 음악 = (전체) 세계 음악'이라는 황당한 도식을 갖는다. 서구인의 입장에서 생각해 보면, '비-서구권 음악'을 이렇게 '월드 뮤직'이라 부르는 것은 마치 '우주' 안에 사는 우리가 우리 집 '안방'은 우주가 아니라고 생각하는 일상적 오류와 동일한 오류를 범하고 있다. 우리 집 안방이 우주의 일부, 즉 우주인 것처럼, 서구는 세계의 일부, 즉 세계다. 알리 칸과 유순 두르, 서태지는 '월드 뮤직'이지만, 비틀즈와 롤링 스톤즈, 핑크 플로이드는 월드 뮤직이 '아닌' 것이다. 이는 상식 있는 서구인의 입장에서 보아도 실로 가소로운 일이다! 서구인들은, 특히 제국주의 시대의 백인들은 자신들이 저지른 죄악을 도대체 어떻게 속죄하려고 하는지 모르겠다. 더욱 웃긴 것은 서구 백인들 자신보다 오히려 그들의 입장을 더욱 더 옹호하고 선양하는 것은 항상 세계 각국의 '무반성적' 서구주의자들이라는 사실이다 - 그들의 모토는 '음악엔 국경이 없다'는 말이다.br/ 나는 물론 이 말의 일반적 용법과는 반대로 서태지와 알리 칸은 물론 비틀즈도 월드 뮤직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이미 글에서 사용된 것처럼 나는 이 '월드 뮤직'이라는 명칭을 그대로 사용했다. 왜 인가? 우선, 장르 명칭으로서의 '월드 뮤직'이라는 단어가 갖는 효율적 편의를 고려했다. 실로 이 '월드 뮤직'이란 장르 명칭이 만들어 낸 효용가치는 대단한 것이다. 아마도 이 단어가 생기지 않았다면, 리얼 월드 레이블과 WOMAD는 오래 전에 망했거나 여전히 소수 매니어들이나 그 이름을 아는 군소 컬트 레이블 신세를 면치 못했을 것이다. 실로, 이름이 없으면 존재도 없는 것이다(無名無義)! 나는 아직 적절한 용어를 발견해내지 못했지만, 아마도 무난하게 '비-서구 음악'(non-western music)이라 칭하면 괜찮을 것 같다. 둘째, 마찬가지로 장르 명칭으로 사용된 '월드 뮤직'의 '월드'는 보편 명사가 아니라 이미 고유 명사로 받아들여지고 있다는 점 때문이다. '프로그레시브 록'의 '프로그레시브'는 이미 단순히 '진보적인' 내용과 형식을 갖고 있는 모든 음악을 총칭하는 보편 명사가 아니라, 일정한 음악적 특성들을 갖는 하나의 고유한 장르 명으로서의 '프로그레시브' 음악을 지칭하는 것이다 - 이는 '신나는' 모든 음악을 '훵키'(funky) 혹은 '그루브'(groove) 음악이라 부를 수 없는 이유와 같다.

내가 누스라트 파테 알리 칸의 '회교 찬송가들'을 듣고 있으면(나는 물론 회교도가 아니며, 믿는 종교가 없다), 가끔 우리 집에 놀러온 손님들은 반 농담 삼아 '참 희한한 음악을 다 들으시네요' 뭐 이렇게 얘기한다. 물론 내가 베토벤의 이나, 스트라빈스키의 봄의 제전, 혹은 비틀즈의 앨범을 걸어놓았다면 아무도 이렇게 얘기 안 한다. 나는 물론 손님들을 탓하는 게 아니다. 내가 남의 집에서 그런 음악을 들었다면, 아마 나도 그렇게 물어보았을 것이다. 여하튼 나는 종종 때로 그게 왜 그럴까?, 왜 그렇게 됐을까? 하고 생각해 본다 - 리얼 월드의 음악들은 이렇게 우리에게 주어진 '기존 체제에의 무비판적 순응'이라는 편안한 마비 상태에 날아와 꼽히는 아름다운 혁명의 노래, 즐거운 반성의 화살들이다.

실로 피터 게이브리얼이 중심이 된 리얼 월드 레이블의 작업은 선구적이고 도덕적이면서도, 그것을 서구와 비서구 사이의 '자연스러운 예술적 만남'으로 엮어내는 놀라운 역량을 보여주고 있다 - 가장 중요한 열쇠 말은 그가 이 모든 작업의 중심에 '좋은 음악을 만든다'라는 단순한, 그러나 가장 핵심적인 이 한 마디를 지켜나가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의 나는 심지어 먼 미래에 저술될 세계 음악사에서 피터 게이브리얼이란 사람은 자기 앨범의 저자로서보다는 오히려 그가 출반한 리얼 월드의 콜렉션을 발굴한 사람으로 기억되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다.

실로 오래 전부터 '음악, 혹은 한 사람의 음악가가 세상을 바꿀 수 있는가?'라는 질문은 많은 사람들의 의문의 대상이었다. 그리고 아마도 피터 게이브리얼은 이 세상을 더 아름답고, 더 즐거우며, 더 좋은, 더 살고 싶은 곳으로 변화시키고자 했던 것 같다. 그렇다면 ... 피터 게이브리얼의 경우는 어떨까? 추론은 간단하다. 제너시스 초기와 그 자신의 솔로 앨범들은 물론, WOMAD, 리얼 월드 레이블과 연관된, 피터 게이브리얼의 이 모든 '리얼 월드'는 피터 게이브리얼이라는 단 한 사람의 인간이 존재하지 않았다면, 이 세상에 존재하지 않았을 것이다. 최소한 그의 음악을 알고, 이 책을 읽고 있는 당신에게 세상은 지금과 다른 것이 될 것이다. 그렇다면, 피터 게이브리얼은 나를, 이 세계를 변화시킨 것이다. 피터 게이브리얼 자신 또한 나를, 당신을, 그리하여 이 세계를 바로 이런 방식으로 생각하고 있을 것이다.

  • 감사의 말 - 마지막으로 이 자리를 빌어 인용을 허락해 준 이춘식, 전정기, 임근영씨에게 감사를 표한다. 또 필자의 편지에 친절한 답장을 보내준 리얼 월드 레코드 컴퍼니의 티나 양에게 감사를 표한다(Very special thanks to Ms. Tina for your kind letter). 한편 필자에게 누스라트 파테 알리 칸 및 리얼 월드에서 발매된 여러 앨범들을 구해준 김원철·강수정 씨 부부에게 특별한 감사를 표한다. 이 분들이 없었다면 이 자리에 발표된 글들은 - 적어도 자료의 측면에서 - 지금과 같이 '바람직한' 상태로 발표될 수 없었을 것이다.
  • 참고 자료 - 아래는 이상의 1) '제너시스 연대기: 1980년-2000년' 2) '피터 게이브리얼 연대기' 및 3) '세계로 열린 창: WOMAD & Real World' 부분을 쓰면서 필자가 참고한 자료들이다.
Worldwide: Ten Years Of WOMAD, WOMAD Communications and Virgin Records, 1992
, Real World MultiMedia Ltd., 1996
Coleman, Ray, Phil Collins: The Definitive Biography, Simon & Schuster UK ltd., 1997
Welch, Chris, The Complete Guide To The Music Of GENESIS, Omnibus Press, 1995
Welch, Chris, The Secret Life Of PETER GABRIEL, Omnibus Press, 1998
이춘식, BRITISH SUPER GROUPS - 영국적 아름다움의 미학: GENESIS, ART ROCK: 예술 대중 음악, 1993년 통권 3호, 41-47쪽.
전정기, 아트 록 다시 읽기: THEATRICAL ROCK, ART ROCK: 예술 대중 음악, 1996년 통권 12호, 116-123쪽.
  • 몇 가지 관련 사이트들 및 주소들
제너시스 공식 웹사이트: www.genesis-web.com
WOMAD 공식 웹사이트: http://www.womad.org
WOMAD E-mail: mailto:womad@realworld.on.net
WOMAD: 전화) +44. 1225. 744494. 팩스) + 44. 1225. 743481.br/
WOMAD 주소: WOMAD, Millside, Mill Lane, Box, Wiltshire SN14 9PN, UK
REAl WORLD 공식 웹사이트: http://realworld.on.net
REAL WORLD SHOP ON-LINE: @ http://realworld.on.net/trading,
REAL WORLD SHOP ON-LINE E-mail: e-mail: mailto:trading@realworld.on.net
REAL WORLD SHOP ON-LINE: 전화) +44. 1225. 744464. 팩스) +44. 1225. 744550.br/
REAL WORLD 무역 주소: REAL WORLD Trading Ltd., PO Box 35 Corsham, Wiltshire, SN13 8SZ, UK
REAL WORLD NOTE 웹 사이트: http://realworld.on.net
REAL WORLD NOTE E-mail: mailto:notes@realworld.co.uk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