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화 기생충에 나온 짜파구리 조리 방식
짜파구리는 너구리 라면과 짜파게티를 섞은 요리, 또는 둘의 중간으로 섞어서 만든 농심의 제품이다.[1] 영화 기생충에서 처음 등장하고 인기를 끌자 뒤늦게 농심이 짜파구리 라면을 출시했다. 농심의 단일 제품으로는 2020년에서야 출시되었다.
인사이더의 Irene Jiang은 강장 음식(comfort food)으로 기술하였다.[2] 캘리포니아 대학교 동아시아학 교수 제니퍼 정 킴(Jennifer Jung-Kim)은 Sarah Coughlin이 보충 설명한대로 "비용 절약형 강장 음식"으로 기술하였으며 Coughlin 스스로 이를 두고 한국화된 일본 음식 제품으로 만든 고유한 한국 음식으로 기술하였다.[3]
2019년 영화 기생충의 번역가 달시 파켓은 영화를 장식한 이 음식의 이름을 ram-don으로 표기하였는데 이는 라면(ramen)-우동(udon)을 의미한다.[1] 이 영화의 영어판은 영어 "ramyeon"과 "udon"으로 표기된 패키지를 보여주는데 이는 이 이름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를 영어권 화자들에게 강조하기 위해서 그렇게 한 것이다. 파켓은 ram-don이라는 용어가 구글 검색 결과가 없음을 두고 과거에는 존재하지 않았다고 생각하였다.[4] 이 영화가 배급된 이후 유튜브에 이 음식을 만드는 법에 관한 동영상들이 두루 올라오고 있다.[1]
1 같이 보기[ | ]
2 각주[ | ]
- ↑ 이동: 1.0 1.1 1.2 Rochlin, Margy (2019년 10월 19일). “How steak and 'ramdon' illustrate class tensions in Bong Joon Ho's 'Parasite'”. 《Los Angeles Times》. 2020년 1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1월 24일에 확인함.
- ↑ Jiang, Irene (2020년 4월 11일). “I made 'ramdon' or jjapaguri the way it's made in Bong Joon Ho's 'Parasite', and the biggest mistake I made was not having lots of money”. 《Insider》. Insider Inc. 2020년 10월 11일에 확인함.
- ↑ Coughlin, Sarah (2020년 2월 10일). “The Signature Noodle Dish in 'Parasite' Tells a Complicated Class Story”. 《Food52.com》. 2020년 10월 11일에 확인함.
- ↑ Lee, Hana (2019년 6월 19일). “'Parasite' subtitle translator: Comedies are a fun challenge”. 《Korea.net》. 2020년 2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2월 8일에 확인함.
3 외부 링크[ | ]
- 위키백과 "짜파구리"
- 농심에서 전하는 <국민레시피 짜파구리> 조리법 - 농심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