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
장르 | 드라마 |
---|---|
방송 국가 | ![]() |
방송 채널 | 문화방송 |
방송 기간 | 1997년 3월 3일 ~ 1997년 8월 29일 |
방송 시간 | 월 ~ 금 밤 8시 25분 ~ 9시 |
방송 분량 | 35분 |
방송 횟수 | 124부작 |
기획 | 김지일 → 이재갑 |
연출 | 이병훈 |
각본 | 이홍구 |
출연자 | 박상아, 정보석, 우희진, 유인촌 외 |
음성 | 한국어 |
자막 | 청각 장애인을 위한 자막 방송 |
《세 번째 남자》는 1997년 3월 3일부터 8월 29일까지 방영된 문화방송 일일연속극이다.
1 기획 의도[ | ]
두 자매의 인생역정을 통해 현대인의 의식을 묘사한 홈 멜로 드라마로, 사실상 세 여자와 세 남자의 이야기를 다루었다.
2 등장 인물[ | ]
- 박상아 : 송채연 역
- 정보석 : 장재민 역
- 우희진 : 송하연 역
- 유인촌 : 장인수 역
- 김병세 : 김형철 역
- 정준호 : 한범 역
- 한인수 : 송희수 역
- 정영숙 : 조인숙 역
- 주현 : 장풍식 역
- 김기일 : 홍씨 역
- 나문희 : 박씨 역
- 여운계 : 홍천댁 역
- 임정하 : 임중섭 역
- 김애경 : 서산댁 역
- 오일환 : 송철준 역
- 이경심 : 한수미 역
- 김효진 : 필순 역
- 조영철 : 소팔이 역
- 김정민 : 차호태 역
- 김용건
- 박정수
- 견미리
- 김광필
- 김정은
- 최병학
- 김정하
- 최란
- 신승임
- 김치국
- 김세아
- 강성연
- 구혜진
- 유서진
- 홍세은
- 황정혜
- 황진영
- 길용우
- 김은숙
- 이시은
- 이잎새
- 김호영
- 문회원
- 김창완
- 이순재
- 전양자
- 방은희
- 이숙
3 결방[ | ]
- 1997년 4월 28일 : 뉴스 특보 편성으로 인해 결방
- 1997년 5월 8일 : 청소년대표 축구평가전 한국 VS 미국 중계방송으로 인해 결방
- 1997년 7월 8일 : <1997년 한국프로야구 올스타전> 중계방송으로 인해 결방
- 1997년 7월 21일 : 뉴스 특보 편성으로 인해 결방
- 1997년 8월 1일 : 프로야구 <LG 트윈스 VS 해태 타이거즈> 중계방송으로 인해 결방
- 1997년 8월 15일 : 특선영화 <이연걸의 모험왕> 편성으로 인해 결방
4 경쟁 프로그램[ | ]
- 정 때문에 (KBS1)
- 행복은 우리 가슴에 (SBS)
5 참고 사항[ | ]
- 박상아가 분했던 송채연 역은 당초 김희애가 낙점됐으나[1] 수원전문대학 겸임교수로 발탁되면서 출연을 포기하는 바람에 박상아가 대타로 들어갔다.
- <젊은이의 양지> 등 KBS에서만 활동해 온 박상아의 첫 MBC 출연작이었는데 이로 인해 한때 KBS 측과 마찰을 빚었다.
- 한수미 역이었던 홍리나는 김희애가 교수로 재직 중이었던 수원전문대학에 늦깎이 편입생으로 들어가게 되어[2] 출연을 포기했으며 홍리나 자리에는 이경심이 대타로 들어갔다.
- 장재민 역에는 이종원이 낙점되었으나, 박상아와 이경심과 함께 KBS 2TV 주말연속극 <젊은이의 양지>에서 출연[3]한 적이 있어 출연을 포기하였다.
- 고소영 등이 물망에 올랐던 채연의 여동생 송하연 역은 우희진이 간신히 낙점됐다.[4]
- 담당 연출자 이병훈 제작위원이 해당 드라마로 일선활동을 재개했다.[5]
- 가족드라마라는 고정적인 틀을 깬 것 때문에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나 눈요기감으로 심한 폭력이 등장한 데다가 비속어가 난무하는 등 아이들이 접하기 쉬운 시간대 편성에는 무리란 비난을 면하지 못했다.[6]
- 저질·선정적 대사를 남발하여 방송위원회로부터 잇달아 제재를 받았다.[7]
- 도박과 놀음을 일삼는 장풍식(주현 분)의 묘사가 지나친 아버지 모습의 희화화라는 지적이 있었다.[8]
- 동시간대의 KBS 1TV <정 때문에>의 인기에 결국 기대 이하의 성적에 그쳤다.
- 작가 이홍구는 해당 드라마를 끝으로 MBC를 떠났다가 2007년 <나쁜여자 착한여자>로 MBC 복귀를 했다.
6 각주[ | ]
- ↑ 이준형 (1997년 2월 6일). “[박상아] MBC 첫 출연”. 스포츠조선. 2015년 7월 5일에 확인함.
- ↑ 강일홍 (1997년 2월 18일). “[홍리나] 친구와 사제지간 됐어요”. 스포츠조선. 2015년 7월 5일에 확인함.
- ↑ 오광수 (1995년 5월 5일). “새주말극「젊은이의 양지」「개성시대」 KBS 청춘스타 싹쓸이 캐스팅”. 경향신문. 2017년 12월 16일에 확인함.
- ↑ 이원홍 (1997년 3월 7일). “김정민 아름다운「소년」”. 동아일보. 2017년 12월 16일에 확인함.
- ↑ 오관철 (1997년 3월 4일). “노장 PD들'레디 고' 드라마·오락등 연출작품 인기가도”. 경향신문. 2018년 6월 26일에 확인함.
- ↑ “TV 일일연속극 지나친 시청률경쟁 여협모니터회 지적”. 매일경제. 1997년 3월 22일. 2018년 6월 26일에 확인함.
- ↑ “MBC 일일극 저질대사 제재받아”. 한겨레신문. 1997년 4월 7일. 2015년 9월 20일에 확인함.
- ↑ “드라마속 아버지 모습 희화화 너무 지나치다”. 한겨레신문. 1997년 5월 30일. 2018년 6월 26일에 확인함.
7 외부 링크[ | ]
- 위키백과 "세 번째 남자"
위키낱말사전 "세 번째 남자"
- 다음사전 "세 번째 남자"
- 다음백과 "세 번째 남자"
- 네이버사전 "세 번째 남자"
네이버백과 "세 번째 남자"
나무위키 "세 번째 남자"
- 리브레 위키 "세 번째 남자"
문화방송 일일연속극 | ||
---|---|---|
이전 작품 | 작품명 | 다음 작품 |
편집자 고순고순
로그인하시면 댓글을 쓸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