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
장르 | 드라마 |
---|---|
방송 국가 | ![]() |
방송 채널 | MBC |
방송 기간 | 1996년 11월 11일 ~ 1996년 12월 31일 |
방송 시간 | 월 ~ 금 밤 8시 25분 ~ 9시 |
방송 분량 | 35분 |
방송 횟수 | 37부작 |
기획 | 박종 |
연출 | 정인 |
각본 | 김재덕 |
출연자 | 남능미, 김창완, 길용우, 박경순 외 |
《서울 하늘 아래》는 1996년 11월 11일부터 1996년 12월 31일까지 방영된 문화방송 일일연속극이다.
1 기획 의도[ | ]
중년이 된 초등학교 동창 세 명이 우연히 옛 담임 선생의 집에 세들어 살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담은 드라마[1]로, 성공하지 못한 이들이 펼치는 각양각색의 서울살이와 행복찾기를 통해 인간성 회복에 촉매제 구실을 한다.[2]
2 등장 인물[ | ]
2.1 주요 인물[ | ]
- 남능미 : 한문자 역 - 집주인, 거봉-웅호-경만의 초등학교 시절 담임
- 김창완 : 고거봉 역 - 문자의 초등학교 담임 시절 반장, 홀아비, 만년 대리
- 길용우 : 이웅호 역 - 문자의 초등학교 시절 제자, 문자의 사위
- 박경순 : 구경만 역 - 문자의 초등학교 담임 시절 제자
2.2 문자네[ | ]
2.3 거봉네[ | ]
2.4 경만네[ | ]
2.5 그 외 인물[ | ]
3 참고 사항[ | ]
- 담당 PD 정인은 <서울의 달>, <숙희>에 이어 세 번째 연속극 연출을 맡았고 서민생활에 대한 잔잔한 묘사로 기대를 모았다.
- 그러나, 알쏭달쏭한 장면, 과한 경상도 사투리 등으로 첫 회부터 시청자들을 사로잡지 못하였다.[4]
- 작가의 첫 드라마 집필인 탓인지 느슨한 스토리 전개와 약한 갈등구조로 동시간대 KBS 1TV <사랑할때까지>에 뒤져 평균 10%대의 저조한 시청률로 고전을 면치 못하였다.
- 결국 방영 한 달을 겨우 넘긴 12월 말, 37부작으로 조기종영되는 수모를 당했다.[5]
4 각주[ | ]
- ↑ 이원홍 (1996년 11월 5일). “MBC「서울하늘 아래」 SBS「연어가 돌아올때」”. 동아일보.
- ↑ “드라마「서울 하늘 아래」(MBC·오후8:25)”. 경향신문. 1996년 11월 11일.
- ↑ 박인택 (1996년 11월 6일). “탤런트 김정아 첫 성인연기로 설레는 19살”. 경향신문.
- ↑ 김종태 (1996년 11월 13일). “MBC'서울 하늘 아래'”. 한겨레.
- ↑ “MBC'서울하늘 아래' 한달만에 조기종영 위기”. 경향신문. 1996년 12월 16일.
5 외부 링크[ | ]
- 위키백과 "서울 하늘 아래"
위키낱말사전 "서울 하늘 아래"
- 다음사전 "서울 하늘 아래"
- 다음백과 "서울 하늘 아래"
- 네이버사전 "서울 하늘 아래"
네이버백과 "서울 하늘 아래"
나무위키 "서울 하늘 아래"
- 리브레 위키 "서울 하늘 아래"
문화방송 일일연속극 | ||
---|---|---|
이전 작품 | 작품명 | 다음 작품 |
편집자 가수티파니영은내아내이자운명
로그인하시면 댓글을 쓸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