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테올린

1 개요[ | ]

루테올린(Luteolin)은 플라보노이드(flavonoid)의 일종인 플라본(flavone)으로 노란색 결정성 외관을 가지고 있다. 루테올린은 레세다 루테올라(Reseda luteola) 식물에서 얻은 주요 황색 색소 화합물로, 적어도 기원전 1000년 이후로 염료 또는 항염증 공급원으로 사용되었거나 사용될수있다. 한편 루테올린은 피토케미칼로 곡식 또는 채소류에 포함된 성분으로 주요한 생리활성물질중 하나로 평가받는다.[1][2][3]

2 생리활성물질[ | ]

루테올린(Luteolin)의 식이 공급원에는 셀러리, 브로콜리, 아티초크, 피망, 파슬리, 백리향, 민들레, 들깨,, 카모마일 차,당근, 올리브 오일, 페퍼민트, 로즈마리, 네이블 오렌지오레가노등이 있다. 일부 야자수 종류(Aiphanes aculeata)의 씨앗에서도 찾을 수 있다.[4][5] [6] 루테올린은 잎에서 가장 흔히 발견되지만 껍질, 나무 껍질, 클로버 꽃, 돼지풀 꽃가루에서도 볼 수 있다. 또한 향기로운 꽃 식물인 꿀풀과(Lamiaceae)의 민트과(mint family)에 속하는 배암차즈기속(Salvia, Salvia tomentosa)에서 분리되었다.[3][7]

3 화학구조[ | ]

Structure2D CID 5280445.svg
(예시) 루테올린(Luteolin) ,C15H10O6 , psID 5280445 [8]

4 같이 보기[ | ]

5 참고[ | ]

  1. [참고] 플라보노이드 루테올린의 lippopolysacharide로 유도한 type 1 interferon 억제 효과 (Flavonoid Luteolin Inhibits LPS-induced Type Ι Interferon in Primary Macrophages)정원석 , 배기상 , 조창래 , 박경철 , 구본순 , 김민선 , 함경완 , 조범연 , 조길환 , 서상완 , 이시우 , 송호준 , 박성주, 동의생리병리학회지 제23권 제5호 2009.10 986 - 992 (7 pages) ISSN 1738-7698(Print), 2288-2529(Electronic) https://kmpath.jams.or.kr/co/main/jmMain.kci
  2. [참고] Synergistic Anti-inflammatory Effect of Rosmarinic Acid and Luteolin in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RAW264.7 Macrophage Cells Rosmarinic acid와 luteolin의 항염증에 대한 상승효과, Cho, Byoung Ok (Ato Q&A Corporation Jeonju) ; Yin, Hong Hua (Ato Q&A Corporation Jeonju) ; Fang, Chong Zhou (Department of Health & Science, Jeonju University) ; Ha, Hye Ok (Department of Health & Science, Jeonju University) ; Kim, Sang Jun (Jeonju Biomaterials Institute Jeonju) ; Jeong, Seung Il (Jeonju Biomaterials Institute Jeonju) ; Jang, Seon Il (Ato Q&A Corporation Jeonju) 조병옥 ((주)아토큐앤에이) ; 윤홍화 ((주)아토큐앤에이) ; 방숭주 (전주대학교 보건관리학과) ; 하혜옥 (전주대학교 보건관리학과) ; 김상준 ((재)전주생물소재연구소) ; 정승일 ((재)전주생물소재연구소) ; 장선일 ((주)아토큐앤에이) Received : 2014.11.25 Accepted : 2014.12.21 Published : 2015.02.28 -DOI https://doi.org/10.9721/KJFST.2015.47.1.119
  3. 3.0 3.1 Mann, John (1992). 《Secondary Metabolism》 2판. Oxford, UK: Oxford University Press. 279–280쪽. ISBN 978-0-19-855529-2. 
  4. Kayoko Shimoi; Hisae Okada; Michiyo Furugori; Toshinao Goda; Sachiko Takase; Masayuki Suzuki; Yukihiko Hara; Hiroyo Yamamoto; Naohide Kinae (1998). “Intestinal absorption of luteolin and luteolin 7-O-[beta]-glucoside in rats and humans”. 《FEBS Letters》 438 (3): 220–24. doi:10.1016/S0014-5793(98)01304-0. PMID 9827549. 
  5. López-Lázaro M. (2009). “Distribution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the flavonoid luteolin”. 《Mini Rev Med Chem》 9 (1): 31–59. doi:10.2174/138955709787001712. PMID 19149659. 
  6. Lee, D; Cuendet, M; Vigo, JS; Graham, JG; Cabieses, F; Fong, HH; Pezzuto, JM; Kinghorn, AD (2001). “A novel cyclooxygenase-inhibitory stilbenolignan from the seeds of Aiphanes aculeata”. 《Organic Letters》 3 (14): 2169–71. doi:10.1021/ol015985j. PMID 11440571. 
  7. A. Ulubelen; M. Miski; P. Neuman; T. J. Mabry (1979). “Flavonoids of Salvia tomentosa (Labiatae)”. 《Journal of Natural Products42 (4): 261–63. doi:10.1021/np50003a002. 
  8. [참고](NCBI ,pubchem- Luteolin)https://pubchem.ncbi.nlm.nih.gov/compound/5280445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