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일리-해밀턴 정리

1 개요[ | ]

Cayley–Hamilton theorem
케일리-해밀턴 정리
  • 정사각행렬이 특정한 방정식을 만족한다는 정리
  • 실수체 또는 복소수체에서 정의된 모든 정사각행렬이 특성 방정식을 만족한다는 정리
  • [math]\displaystyle{ A }[/math]가 n차 정사각행렬, [math]\displaystyle{ I_n }[/math]이 n차 단위행렬일 때, [math]\displaystyle{ A }[/math]의 특성 다항식
[math]\displaystyle{ p(\lambda)=\det(\lambda I_n-A) }[/math]
  • 행렬의 성분이 [math]\displaystyle{ \lambda }[/math]의 다항식이므로 행렬식도 [math]\displaystyle{ \lambda }[/math]의 다항식
[math]\displaystyle{ p(A)=0 }[/math]

2 예시[ | ]

[math]\displaystyle{ A = \begin{pmatrix}a&b\\c&d\end{pmatrix} }[/math]일 때
[math]\displaystyle{ A^2-(a+d)A+(ad-bc)E=0 }[/math]

3 같이 보기[ | ]

4 참고[ | ]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