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뢰수준, 신뢰구간

(신뢰수준에서 넘어옴)
  다른 뜻에 대해서는 신뢰수준, 신뢰구간 토론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confidence level, confidence coefficient
신뢰수준, 신뢰계수, 신뢰율
confidence interval; C.I., CI
신뢰구간

1 신뢰수준[ | ]

  • 어떤 모수가 신뢰구간에 속할 확률[1]
  • 추정 구간에 그 모집단 특성값의 참값이 존재할 확률
  • 구간 추정량이 모집단의 모수를 포함하게 될 확률
  • 범위: 0% ~ 100%[2]가 가능
  • 보통 95%[3]를 사용함[4]

2 신뢰구간[ | ]

  • 신뢰수준의 확률로 모평균을 포함하는 구간
  • 모수가 어느 범위 안에 있는지를 확률적으로 보여주는 방법

P(U<θ<V)=0.95

→ 신뢰구간: U ~ V
→ 신뢰수준: 95%
  • "95% 신뢰구간"의 의미: 모평균이 신뢰구간에 있을 확률이 95%임

3 예시[ | ]

text
Copy
신뢰수준 95%에서 투표자의 35%~45%가 A후보를 지지하고 있다.
→ 투표자 지지율이 35% ~ 45%일 확률은 95%이다.[5]

4 계산[ | ]

t=XμS/nT(n1)

p=Pr[XkSn<μ<X+kSn]

=Pr[k<xμS/n<k]
=Pr[μkSn<X<μ+kSn]

(Pr[k<xμS/n<k]) % 신뢰구간은 (XkSn,X+kSn)

5 같이 보기[ | ]

6 참고[ | ]

  1. 신뢰수준이라고 할 때는 백분율(%)로, 신뢰계수라고 할 때는 소수로 나타냄
  2. 0 ~ 1
  3. 또는 99%
  4. 사회조사(여론조사)의 경우 그러하며, 자연과학, 의학 등에서는 상황에 따라 달라진다.
  5. 신뢰구간: 35%~45%. 신뢰수준 95%. 즉 전수조사를 하지 않아 정확한 값은 모르겠지만 실제 지지율(즉 전수조사시의 지지율)이 35% ~ 45% 사이에 들 확률이 95%. 이 범위를 벗어날 확률은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