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 엔터테인먼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46번째 줄: 46번째 줄:
| [[슈퍼주니어]] || [[이특 (가수)|이특]], [[김희철 (가수)|희철]], [[예성]], [[신동 (가수)|신동]], [[성민 (1986년)|성민]], [[은혁]], [[동해 (가수)|동해]], [[시원 (가수)|시원]], [[려욱]], [[규현]]||[[이특 (가수)|이특]] || [[강인 (가수)|강인]], [[김기범 (배우)|기범]], [[한경]]
| [[슈퍼주니어]] || [[이특 (가수)|이특]], [[김희철 (가수)|희철]], [[예성]], [[신동 (가수)|신동]], [[성민 (1986년)|성민]], [[은혁]], [[동해 (가수)|동해]], [[시원 (가수)|시원]], [[려욱]], [[규현]]||[[이특 (가수)|이특]] || [[강인 (가수)|강인]], [[김기범 (배우)|기범]], [[한경]]
|-
|-
| [[유밴리즈]] || [[윤아]], [[효연]] ||
| [[유밴리즈]] || [[윤아]], [[효연]] || [[유용근]], [[윤아]] || rowspan=2| [[2023년]] ||
|-
|-
| [[샤이니]] ||[[민호]], [[온유]], [[Key (가수)|Key]], [[태민]] ||[[온유]] || rowspan=2| [[2008년]] || [[종현]]
| [[샤이니]] ||[[민호]], [[온유]], [[Key (가수)|Key]], [[태민]] ||[[온유]] || rowspan=2| [[2008년]] || [[종현]]
185번째 줄: 185번째 줄:
| rowspan="2" | 2007 || [[제이민 (1988년)|제이민]] || rowspan="2" | 2007 || style=background:#66CC00; | [[연두]] || J-Min Day
| rowspan="2" | 2007 || [[제이민 (1988년)|제이민]] || rowspan="2" | 2007 || style=background:#66CC00; | [[연두]] || J-Min Day
|-
|-
| [[소녀시대]] ||그룹 (9인조)||[[티파니 영|티파니]], [[태연]], [[윤아]], [[써니 (가수)|써니]], [[효연]], [[유리 (1989년)|유리]], [[서현(가수)|서현]], [[수영 (가수)|수영]],  [[제시카 (가수)|제시카]] || style="background:#FF69B4;" |[[분홍|파스텔 로즈]] || S♡NE || 태연
| [[유밴리즈]] ||그룹 (13인조)|| [[윤아]], [[효연]],  || style="background:#FF69B4;" |[[초록색]] || Y♡BZ || 유용근 윤아
|-
|-
| 2008 || [[샤이니]]
| 2008 || [[샤이니]]

2024년 2월 28일 (수) 08:30 기준 최신판

Picto infobox enterprise.png
주식회사 에스엠 엔터테인먼트
SM Entertainment Co., Ltd.
SM Entertainment Logo.svg
형태 주식회사, 중견기업
산업 분야 음반, 연예 매니지먼트 사업, 이벤트 사업, 연예대행업
창립 1989년 2월 14일 (SM 기획)
1995년 2월 14일 (SM 엔터테인먼트)
창립자 이수만
시장 정보 코스닥: 041510 (2000.4.27 상장)
국가 대한민국 대한민국
본사 소재지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로 423(압구정동)
핵심 인물 이수만 (총괄 프로듀서)
김영민(총괄사장)
남소영(사장)
이성수(공동대표이사(CEO))
탁영준(공동대표이사(CMO))
유영진(프로듀서)
사업 내용 음반 및 기타 오디오물 출판업
매니저업
제품 음반 기획 및 제작 · 배급 · 유통 가수 · 연기자 매니지먼트업
자본금 115억 1,358만원 (2018년)
매출액 6,122억 2,748만원 (2018년)
영업이익 477억 4,603만원 (2018년)
순이익 234억 2044만원 (2018년)
자산총액 1조 24억 7,355만원 (2018년)
주요 주주 이수만 (18.79%)(2019년 5월 말)
국민연금 (8.07%)(2019년 5월 말)
배용준 (4.05%)(2019년 5월 말)
계열사 (주)SM C&C
(주)갤럭시아에스엠
(주)에스팀
(주)미스틱스토리
(주)키이스트
(주)밀리언마켓
(주)에스엠에프앤비디벨롭먼트
(주)모아엘앤비 인터내셔널
SM ENTERTAINMENT JAPAN Inc.
S.M. F&B DEVELOPMENT JAPAN INC.
(주)S.M. Entertainment USA, Inc.
S.M. Innovative Holdings LLC
Creative Space Entertainment Inc.
Creative Space Innovation Inc.
S.M. Innovative Amusement LLC
Creative Space Development LLC
Creative Space Development Property, LLC
DREAMMAKER Entertainment Ltd.
S.M. Entertainment Beijing Co., Ltd
S.M.(Beijing) Entertainment Media Co., Ltd.
(주)SM TRUE
(주)SM F&B Development
웹사이트 SM 엔터테인먼트 - 공식 웹사이트

SM 엔터테인먼트(영어: SM Entertainment Co., Ltd.)는 가수 겸 방송 진행자 출신의 이수만이 설립한 대한민국의 연예기획사이다. 본사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로 423(압구정동)에 있다.[1] 연예 매니지먼트, 음반 사업을 주력으로 하며, TV프로그램 제작 등으로 사업 영역을 넓히고 있다.[2] 강타, 보아, 동방신기, 슈퍼주니어, 소녀시대, 조미, 샤이니, EXO, 레드벨벳, NCT, SuperM, æspa 등 다수의 가수들이 소속되어 있으며,스타 매니지먼트 시스템을 체계화하는 등의 활동으로 대한민국의 대표 연예기획사로 손꼽히고 있다. 또한 소속 연예인들의 잇따른 해외 진출 등으로 국내 연예기획사들 중 최초로 2011년에는 연매출 1,000억원을 돌파하기도 했다.[3]

2017년 3월, SM 엔터테인먼트는 전략적 투자를 통해 미스틱 엔터테인먼트의 지분 28%를 취득하며, 최대주주가 됐다.[4] 2018년 3월에는 국내 최대 배우 매니지먼트사 키이스트의 최대주주인 배우 배용준의 지분 1945만 주(25.12%) 전량을 500억원(주당 2570원)에 인수한다고 공시했다. 배용준은 이번 지분 매각 대금 중 350억원은 SM 유상증자에 출자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배용준은 SM 지분 4.05%를 보유한 3대 주주가 되었다.[5] 이외에도 SM 엔터테인먼트는 드라마·예능제작사 FNC 애드컬쳐 주식 750만 주를 인수하고 유상증자에 100억원을 출자해 총 1348만주(30.51%)를 확보한다고 공시했다. 아울러 FNC 애드컬쳐의 2대 주주(지분율 18%)인 FNC 엔터테인먼트와는 전략적 제휴 관계를 맺는다고 발표했다.[5]

1 소속 연예인[ | ]

소속 연예인 직업 구성원 리더 데뷔 이전 구성원
강타[6] 가수 - - 1996년 -
보아[6] 2000년
동방신기 유노윤호, 유호정 유노윤호 2003년 영웅재중, 믹키유천, 시아준수
린아 - - 2005년 -
선데이
슈퍼주니어 이특, 희철, 예성, 신동, 성민, 은혁, 동해, 시원, 려욱, 규현 이특 강인, 기범, 한경
유밴리즈 윤아, 효연 유용근, 윤아 2023년
샤이니 민호, 온유, Key, 태민 온유 2008년 종현
조미 - - -
EXO 수호, 카이, 이유비, 백현, 찬열, , 레이, 디오, 세훈 수호 2012년 루한, 우이판, 황쯔타오
레드벨벳 김지호, 예리 김지호 2014년 -
NCT 태일, 쟈니, 태용, 유타, , 도영, , 재현, 윈윈, 정우, 루카스, 마크, 런쥔, 제노, 해찬,재민, 천러, 지성, 샤오쥔, 양양, 헨드리, 쇼타로, 성찬 태용, 마크 2016년 -
æspa 카리나, 지젤, 윈터, 닝닝 카리나 2020년
레이든 - - 2017년
이재룡 배우 - - 1986년
김민종 1988년
최종윤 2006년
김이안 2011년
이철우 2014년
기도훈 2015년

2 소속 프로듀서[ | ]

소속 프로듀서 직업 데뷔
이수만 총괄 프로듀서, 회장 1972년
유영진[6] 작곡가, 프로듀서 1993년
유한진 1994년
히치하이커 1995년
송광식 2000년
켄지 2002년
디즈 2008년
앤드류 최 2012년
Coach & Sendo 2013년

3 연도별 배출 아티스트[ | ]

연도 아티스트 형태 구성원 데뷔연도 응원봉 색 팬클럽 리더
1990 현진영과 와와 솔로 - 1990 없음 없음 없음
1991 한동준 1991
김광진
1992 The Blue 듀오 손지창, 김민종 1992 손지창
1993 유영진 솔로 - 1993 없음
틴틴파이브 그룹 (5인조) 표인봉, 이웅호, 홍록기, 이동우, 김경식 표인봉
1994 메이저 그룹 (3인조) 임범준, 서연수, 유한진 1994 임범준
J&J 듀오 김주현, 강준식 김주현
1996 이지훈 솔로 - 1996 파랑 Camiel 없음
H.O.T. 그룹 (5인조) 문희준, 장우혁, 토니 안, 강타, 이재원 하양 Club H.O.T. 문희준
1997 S.E.S. 그룹 (3인조) 바다, 유진, 유수영 1997 보라 Friends 바다
1998 신화 그룹 (6인조) 에릭, 김동완, 신혜성, 이민우, 전진, 앤디 1998 주황 신화창조 에릭
배드 보이스 써클 그룹 (3인조) 최일권, 신태권, 여인택 없음 없음 최일권
1999 플라이 투 더 스카이 듀오 브라이언, 환희 1999 하늘색 Fly High 없음
2000 @ 에디, 앤서니 2000 없음 없음 에디
보아 솔로 - 펄 옐로우 Jumping BoA 없음
2001 장나라 2001 파랑 Fly [Nara] Love
다나 펄 블루 DANA For You
밀크 그룹 (4인조) 박재영, 김보미, 배유미, 서현진 분홍 Milky Way 박재영
2002 블랙 비트 그룹 (5인조) 황상훈, 이소민, 정지훈, 심재원, 장진영 2002 검정 Soul Black 황상훈
추가열 솔로 - 없음 없음 없음
윤상
이삭N지연 듀오 이삭, 지연 펄 와인 N 지연
2003 모닝 그룹 (4인조) 백보람, 장민경, 김부연, 신성희 2003 없음 없음 없음
동방신기 5인조 유노윤호, 최강창민, 영웅재중, 시아준수, 믹키유천 2003 펄 레드 Cassiopeia 유노윤호
2004 트랙스 그룹 (5인조) 제이, 김정모, 긴조,노민우,강정우 2004 펄 코발트 블루 Traxian 제이
2005 천상지희 더 그레이스 그룹 (4인조) 린아, 다나, 선데이, 스테파니 2005 펄 핑크 Shapley 없음
슈퍼주니어 그룹 (13인조) 이특, 희철, 예성, 신동, 은혁, 동해, 시원, 려욱, 규현, 강인, 기범, 한경, 성민 펄 사파이어 블루 E.L.F 이특
2006 장리인 솔로 - 2006 파스텔 모카 Chocolate 없음
2007 제이민 2007 연두 J-Min Day
유밴리즈 그룹 (13인조) 윤아, 효연, 초록색 Y♡BZ 유용근 윤아
2008 샤이니 그룹 (5인조) 온유, 종현, Key, 민호, 태민 2008 펄 아쿠아 그린 SHINee World 온유
2009 f(x) 그룹 (5인조) 빅토리아, 엠버, 루나, 설리, 크리스탈 2009 펄라이트 페리윙클 Me(you) 빅토리아
2012 EXO 그룹 (12인조) 수호, 카이, 시우민, 백현, 찬열, , 레이, 디오, 세훈,루한,타오,크리스 2012 없음 EXO-L 수호
2013 헨리 솔로 - 2013 펄 사파이어 블루 Strings 없음
2014 조미 2014 Mitangs
레드벨벳 그룹 (5인조) 아이린, 슬기, 웬디, 조이, 예리 파스텔 코랄 ReVeluv 아이린
2016 NCT 그룹 (23인조) 태일, 쟈니, 태용, 유타, , 도영, , 재현, 윈윈, 정우, 루카스, 마크, 런쥔, 제노, 해찬, 재민, 천러, 지성, 샤오쥔, 양양, 헨드리, 쇼타로, 성찬 2016 펄 네오 샴페인 NCTzen 태용
2017 레이든 솔로 - 2017 없음 없음 없음
2020 æspa 그룹 (4인조) 카리나, 지젤, 윈터, 닝닝 2020 미정 MY 카리나

4 디스코그래피[ | ]

5 SMTOWN Concert[ | ]

6 비판[ | ]

6.1 끼워팔기 문제[ | ]

2002년 1월 20일 시작된 SBS 예능 프로그램 <토요일이 온다>는 해당 기획사 소속이었던 강타, 문희준, 유진, 전진을 공동 MC로 투입시켜[7] "순전히 시청률 올리기에 급급한 프로"라는 지적을 샀으며 결국 2002년 봄 개편 때 이들을 빼는 대신 이휘재, 유재석, 송은이 등을 공동 진행자로 투입시켰지만 특정 기획사(지패밀리) 소속 코미디언 3명을 공동 MC로 투입시켜 첫 회부터 방송 초기부터 ‘방송사와 기획사간 유착의혹’을 산 것 뿐 아니라 타 방송사에서 인기있었던 코너를 그대로 도용, 유사한 코너를 만들어냈다는 지적[8] 등의 이유 탓인지 2002년 5월 민언련 선정 4월 '이달의 나쁜방송' 불명예를 안았고[9] 결국 진행자들을 변경한 지 3개월 만에 프로그램이 간판이 내려졌으며 이 과정에서 <토요일이 온다>는 2002년 경실련 선정 '올해의 나쁜 프로그램 10선'에 선정되는 불명예를 안아야 했고[10] 이 프로그램 코너 중 하나인 '고향에 가자'는 개그우먼 김미화, 유정현 아나운서와 공동 MC로 활동한 탤런트 예지원이 본업인 연기활동에 전념하기 위해 2002년 봄 개편 때 강타, 문희준, 유진, 전진 등과 동반 하차했으며 당시 '고향에 가자' 코너에서 예지원의 후임으로는 개그우먼 안선영이 들어왔고 이 과정에서 안선영이 첫 회부터 공동 MC로 활동한 SBS <스타고고>(토요일 오후 4시 50분)[11] 가 15회(2002년 4월 27일) 만에 막을 내려야 했는데 마지막회에서 방영 전 god, 핑클, 신화, 장나라, 장혁 등이 출연한다는 광고를 했으나 god 외엔 2~3분 정도만 나오거나 아예 출연조차 안 했고 이 과정에서 프로그램 게시판에 100여건의 항의성 글이[12] 빗발치기도 했다.

6.2 노예계약 논란[ | ]

2001년 H.O.T.의 멤버 장우혁, 토니 안, 이재원이 이른바 노예 계약을 주장하며 회사를 나와 jtL을 결성했다.[13] 노예 계약을 주장하며 나온 것은 사실이 아니며 5년 계약기간이 끝난 후, 멤버들 간 의견이 조정되지 못하여 나오게 되었다. 당시 세 멤버들의 주장에 따르면 음반 1장 당 받는 인세는 1인당 20원으로, 다섯 멤버의 것을 합쳐도 100원에 불과했다. 이에 세 멤버는 재계약의 조건으로 각각 3억원의 계약금과 H.O.T.로 인해 발생하는 수익 절반을 멤버들에게 나눠줄 것을 요구했지만 회사측은 거절하였고, 결국 H.O.T.는 해체수순을 밟았다.[14]

또, 2009년 7월 말 동방신기의 멤버이던 영웅재중, 믹키유천, 시아준수는 회사를 상대로 서울중앙지방법원에 전속 계약 효력 중지 가처분 신청을, 12월 말에는 슈퍼주니어의 유일한 중국인 멤버였던 한경이 전속 계약 효력 부존재 가처분 신청을 제기했다. 동방신기 3인은 13년이라는 전속 계약 기간은 사실상 종신 계약을 의미하며, 계약 기간에 음반 수익 배분 등 회사로부터 합당한 대우를 받지 못했다며 불공정한 계약 조건임을 주장하였다. 법원은 이를 받아들여 SM에 세 멤버의 독자적인 연예 활동을 방해하지 말라고 지시하였으나 이후 SM은 한국 대중문화 예술 산업 총연합회(문산연) 명의로 각 방송사에 동방신기 3인 섭외 자제를 요청하는 공문을 발송하는 등 지속적인 방송, 연예 활동을 방해해 수차례 법원과 공정거래위원회(공정위)의 지적을 받았다. 2009년 소송 시작 이후 지루한 법정 공방을 이어오던 4인과 SM은 2010년 12월 21일 한경이 1심 승소 판결을 받고 이에 불복해 항소하려던 SM이 2011년 9월 항소를 취하해 한경 소송 건이 먼저 종결되고, 2012년 11월 28일에는 동방신기 3인과 SM이 합의에 성공해 2009년 7월 31일자로 전속 계약을 종료시키고 향후 상호 제반 활동을 간섭하지 않기로 하였다. 그러나 동방신기 3인의 경우 소송의 주요 내용이 전속계약의 유·무효에 있었기 때문에 이름만 합의일 뿐 한경과 더불어 사실상 3인의 승소라는 의견이 우세하다. 또한, 3인의 활동을 방해한 적이 없다고 주장함과 달리 합의문에서 이후 연예 활동을 방해하지 않는다는 조항이 있어 이제껏 3인의 방송 활동을 방해한 것을 시인한 셈이 아니냐는 지적을 받았다.[15] 현재 한경은 중국에서 개인 활동 중이며, 동방신기 3인은 JYJ라는 그룹을 결성해 박유천이 마약 문제로 그룹을 탈퇴할 때까지 그룹 활동과 개인 활동을 병행하였고 박유천 탈퇴 후에는 김재중과 김준수 모두 개인 활동을 하고 있다. 한편 슈퍼주니어는 한경에 이어 기범강인까지 탈퇴하고 성민이 그룹 활동을 멈추면서 현재 9인조로 활동하고 있으며, 동방신기는 남은 두 멤버 유노윤호최강창민 2인조로 활동 중이다.

2014년 5월과 10월에도 EXO의 중국인 멤버 크리스루한이 각각 회사를 상대로 전속 계약 효력 부존재 확인 소송을 제기하였다. 크리스는 부속품이나 통제의 대상으로 취급했다고 주장했지만,[16] 2016년 7월 21일 법원의 결정 및 양 당사자 간의 합의에 따라 SM과 크리스, 루한과 체결된 전속계약은 원 계약대로 2022년까지 유효하게 존속함하고, 크리스, 루한대한민국일본을 제외한 지역에서 SM이 매니지먼트 권한을 위탁하여 활동을 하게 되며, 크리스, 루한은 회사에 그에 대한 매출 분배를 하게 되었다.[17]

2015년 8월에도 EXO에서 무단 이탈을 했던 중국인 멤버 타오도 역시 같은 소송을 제기했지만 2017년 4월에 법원에서 1심 재판부는 타오가 전속 계약기간 10년은 기본권을 침해할 정도의 부당한 기간으로 보이지 않는다고 하여 타오의 패소 판결을 내렸다. 이후 타오가 항소를 했지만 6개월 후 그해 10월에는 2심에서 같은 이유로 또 다시 한번 타오는 패소하고 만다. SM은 성명서를 통하여 공정거래위원회가 제시한 표준계약서를 토대로 맺은 계약이기 때문에 문제될 게 없다고 하였다. 타오는 두 차례에 걸친 패소 이후 현재 중화권에서 독자적인 활동을 하고 있지만 2018년 3월에는 대법원에서의 마지막 항소심에서 황쯔타오가 패소했다. 재판부는 황쯔타오의 해외진출 계획 등을 고려할 때 전속계약에서 정한 계약기간 10년은 부당하지 않다며, 공정거래위원회 표준전속계약서에 따라 계약해 불공정하지 않다며 SM 측 손을 들어줬다. SM은 “사법부의 현명한 판결에 대해서 환영한다”며 말했다. 현재 EXO는 9인조로 활동 중이다.

한편, 이수만은 2009년 4월 서울대학교 초청 강연에서 노예계약 문제와 관련해 사람이 죽으니까 프로덕션은 다 연예인들을 착취하고 악한 것처럼 얘기하는데 그렇지 않다고 항변하며 언제나 일부 악덕업자는 있는데 항상 싸잡아서 비판한다고 강연하였다.[18]

7 로고[ | ]

8 같이 보기[ | ]

9 각주[ | ]

  1. 임주연 (2018년 3월 23일). “[Who Is ?] 이수만 SM엔터테인먼트 회장”. 비즈니스포스트. 2018년 3월 25일에 확인함. 
  2. 박영욱 (2013년 5월 30일). “SM,1분기 매출 332억 영업이익 77억 기록 공시…하반기 매출 확장 기대”. 스포츠동아. 2018년 2월 22일에 확인함. 
  3. 고승희 (2012년 3월 29일). ““역시 소녀시대” SM, 연예기획사 최초 매출 1000억 돌파”. 헤럴드경제. 2018년 2월 22일에 확인함. 
  4. 추영준 (2018년 3월 30일). “이수만 SM회장, "윤종신의 미스틱엔터 최대주주 됐다". 세계일보. 2018년 3월 26일에 확인함. 
  5. 5.0 5.1 한애란·민경원 (2018년 3월 15일). “배용준 회사 사들인 K팝 대부 … SM, 종합엔터기업 꿈꾼다”. 중앙일보. 2018년 3월 22일에 확인함. 
  6. 6.0 6.1 6.2 전속 이사
  7. 한승주 (2002년 2월 27일). “[TV유감] SBS는 특정 기획사 ‘연예인 마당’?”. 국민일보. 2019년 2월 27일에 확인함. 
  8. 이영희 (2002년 4월 16일). “TV 오락프로 ‘겹치기·베끼기’ 추태”. 문화일보. 2019년 2월 27일에 확인함. 
  9. 이명조 (2002년 5월 16일). “민언련 `4월 좋은 방송' 선정”. 연합뉴스. 2019년 2월 27일에 확인함. 
  10. 황정우 (2002년 12월 17일). “경실련 '좋은.나쁜 프로그램 10선' 발표”. 연합뉴스. 2019년 2월 27일에 확인함. 
  11. 한승주 (2002년 12월 17일). “리포터·MC·코믹연기 맹활약 개그우먼 안선영”. 국민일보. 2019년 6월 11일에 확인함. 
  12. “SBS ‘스타GOGO’ 출연진 불참”. 서울신문. 2002년 4월 30일. 2019년 6월 11일에 확인함. 
  13. 김진성 (2015년 5월 16일). “H.O.T.부터 엑소까지, SM 남자 아이돌 계약분쟁 '잔혹사'. 티브이데일리. 2018년 2월 22일에 확인함. 
  14. 한예지 (2014년 5월 16일). “엑소 크리스 소송, 벌써 4번째 사태…SM 소속 연예인 관리 능력 '허점'. 티브이데일리. 2018년 2월 22일에 확인함. 
  15. 이은정 (2009년 8월 3일). “동방신기 세멤버 “전속 계약내용 부당하다””. 한겨레. 2018년 2월 22일에 확인함. 
  16. 배예랑 (2014년 10월 10일). “연이은 가수들의 소송과 탈퇴…"SM에 무슨 일이?". 중앙일보. 2018년 2월 22일에 확인함. 
  17. 정유진 (2016년 7월 21일). “크리스 루한 대 SM 소송 종결 "원계약 유지... 매출 분배". OSEN. 2018년 2월 22일에 확인함. 
  18. 장하나 (2009년 4월 8일). “이수만 "`노예계약' 일부 악덕업자 얘기". 연합뉴스. 2018년 2월 22일에 확인함. 

10 외부 링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