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률요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개요== ; ; ; * * * * * ==같이 보기== * 같이보기 * 같이보기 * 같이보기 * 같이보기 * 같이보기 ==참고 자료== * {{위키백과}} * {...)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개요==
==개요==
;
;a legal condition
;
;[[法律]][[要件]]
;
;법률요건
*  
* 법률효과를 발생시키는 사실을 말하며 법률행위가 주이나 준법률행위나 불법행위, 부당이득, 사무관리 등도 법률요건에 포함된다
*
*권리·의무의 득실변경의 조건(원인)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 조건을 법률요건이라고 함
*
 
*
==예문==
*
*도급(都給)은 '당사자 일방(一方)이 어떤 일을 완성할 것을 약정하고 상대방의 일의 결과에 대하여 보수를 지급할 것을 약정함으로써'성립하는 법률요건이며(민법 제664조), 법률요건을 구성하는 각개의 사실을 법률요건 사실, 요약해서 법률사실이라고 한다


==같이 보기==
==같이 보기==
* [[같이보기]]
* [[법률행위]]
* [[같이보기]]
* [[준법률행위]]
* [[같이보기]]
* [[부당행위]]
* [[같이보기]]
* [[불법행위]]
* [[같이보기]]
* [[법률사실]]
* [[법률효과]]
* [[법률]]
* [[요건]]


==참고 자료==
==참고==
* {{위키백과}}
* {{위키백과}}
* {{다음사전}}
* {{다음백과}}
* {{네이버사전}}
* {{네이버사전}}
* {{네이버백과}}
 
[[분류: 국사]]
[[분류:민법]]
[[분류: 세계사]]
[[분류:법률 용어]]
[[분류: 인사]]
[[분류: 法]][[분류: 律]][[분류: ]][[분류: ]]
[[분류: 조국사]]
[[분류: 명사]]

2017년 11월 21일 (화) 13:22 기준 최신판

1 개요[ | ]

a legal condition
法律要件
법률요건
  • 법률효과를 발생시키는 사실을 말하며 법률행위가 주이나 준법률행위나 불법행위, 부당이득, 사무관리 등도 법률요건에 포함된다
  • 권리·의무의 득실변경의 조건(원인)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 조건을 법률요건이라고 함

2 예문[ | ]

  • 도급(都給)은 '당사자 일방(一方)이 어떤 일을 완성할 것을 약정하고 상대방의 일의 결과에 대하여 보수를 지급할 것을 약정함으로써'성립하는 법률요건이며(민법 제664조), 법률요건을 구성하는 각개의 사실을 법률요건 사실, 요약해서 법률사실이라고 한다

3 같이 보기[ | ]

4 참고[ | ]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