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정화"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태그: 수동 되돌리기
 
(사용자 6명의 중간 판 3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3번째 줄: 3번째 줄:
*한국 여자배우
*한국 여자배우


==영화==
== 생애 ==
* [[결혼은, 미친짓이다 (2002)]]
* [[엄정화/생애]] 문서로.
* [[싱글즈 (2003)]]


==참고==
== 예술가적 기교 ==
=== 음악 ===
엄정화가 데뷔 이후 지금까지 주로 추구하는 음악은 주로 댄스 음악이다. 특히 엄정화는 2000년 발매한 ''[[Queen of Charisma]]''에서 일렉트로닉 음악을 처음으로 시도했지만, 대중성에 초점을 맞춘 노래들이라 평론가들에게 냉정한 평가를 받았다.<ref>{{뉴스 인용|제목=살아남는 자가 강한 것이다|출판사=매거진t|날짜= 2008-07-24| |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230&aid=0000003601}}</ref> 그러나, ''[[SELF CONTROL (엄정화의 음반)|Self Control]]'' (2004)과 ''Prestige'' (2006)에서부터는 진지한 일렉트로닉 음악을 추구했고 평론가들에게 좋은 평가를 받았다. 음악평론가 나도원은 "엄정화는 8집 ''Self Control''과 9집 ''[[Prestige]]''에서 실력과 신선함을 겸한 젊은 음악인들과 작업하는 새로운 시도를 통하여 스스로를 갱신해왔다. 그리고 보는 것만이 아니라 감상이 가능한 일렉트로니카 음악으로 평단의 지지를 이끌어냈다."라고 평했고,<ref>{{뉴스 인용|제목=서른여덟살의 댄싱퀸, 엄정화 [프레시안] 2008-07-20 |url=http://www.pressian.com/article/article.asp?article_num=60080718172802&Section=}}</ref> 음악평론가 [[임진모]]는 엄정화의 음악에 대해 "음악을 좋아하기 때문에 식상한 패턴에 안주하기를 거부하고, 쉬 대중과 접속하지 못한다는 것을 뻔히 알면서도 미련하게 실험을 가했다"라고 진정성을 평가했다. 오히려 엄정화의 1990년대 음악에 대한 평가는 데뷔곡 〈눈동자〉에서부터 발견되는 기존의 보수적, 수동적 여성상에 대비되는 당당하고 도전적인 여성상이 반영된 가사와 메시지를 중심으로 이뤄지기도 한다. 이러한 활동들을 《10 아시아》의 강명석은 "엄정화는 당대의 아이콘이다. 시대의 트렌드를 따라 그가 보여준 모습들은 그 시대의 단면을 보여준 아이콘들이었고, 어느덧 엄정화는 그 모든 것들이 한 몸에 모인 아이콘 그 자체가 됐다."라고 평가하기도 했다.<ref name=autogenerated1 />
 
=== 이미지 ===
엄정화는 1989년에 MBC 합창단원이 된 이래 가요, TV 드라마, 영화, 연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지속적인 인기를 모았다. 특히 그의 연기와 음악에 대한 평가는 시대가 지날수록 더욱 호평을 받는데, 특히 그를 한국 문화사에서 특이한 위치로 평가하는 해석도 많다. 10아시아의 강명석은, 엄정화를 "그래서 엄정화는 당대의 아이콘이다. 시대의 트렌드를 따라 그가 보여준 모습들은 그 시대의 단면을 보여준 아이콘들이었고, 어느덧 엄정화는 그 모든 것들이 한 몸에 모인 아이콘 그 자체가 됐다."라고 말하며, "엄정화는 가수와 배우 양쪽에서 성공한 동시에, 가수와 배우로서의 변화 폭이 가장 큰 희귀한 존재다."라고 평가한다.
이러한 그의 배우와 가수, 양측의 활동의 분명함과 넓은 진폭에 대해서 한겨레21의 신윤동욱은 "엄정화처럼 가수와 배우 이미지의 간극이 넓은 연예인도 찾기 힘들다. 가수로서도, 배우로서도 시작은 비교적 미약했으나 갈수록 창대해진 엔터테이너도 찾기 힘들다."라고 평가하고, 그가 1990년대 한국 방송계에서 차지했던 역할에 대해서는 "1990년대 한국 공중파 방송이 허용하는 최대치의 팜므파탈이었다."라고 평가하기도 했다.<ref>{{뉴스 인용|제목=엄정화여, 더 도발하라  [한겨레21] 2005-11-03 |url=http://www.hani.co.kr/section-021015000/2005/11/021015000200511030583010.html}}</ref> 2008년 8월 발행된 《매거진 T》는 엄정화 연구라는 이름의 칼럼에서, "엄정화란 인물의 정체성은 섹시함과 귀여움, 그러니까 여자 연예인에게 꼬리표처럼 따라붙는 전형적인 수식어로 온전히 수렴되지 않는다."라고 평가하며, "가수와 배우로서 성공적인 입지를 다진 그는 여전히 가창력과 연기력에 대한 비판적인 시선을 동반하지만, 동시에 그가 지금까지 한국에 없던 여자 연예인의 이미지와 역사를 만든 엔터테이너라는 점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기 때문이다."라고 말했다. 또한 "엄정화는 여자 연예인이 시장에서 소비되는, 혹은 거의 유일한 생존전략인 섹시한 이미지를 자신만이 할 수 있는 어떤 것으로 만들었고, 그 결과 한국 사회의 강박적인 시선 속에서도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는 여성 엔터테이너가 되었다. 관습적인 여성성을 비틀면서도 그것을 오로지 캐릭터의 이미지로 한정하는 엄정화의 전략은 지금 그를 한국에서 가장 강력한 여성 아이콘으로 자리 잡게 만들었다"라고 결론지었다.<ref>{{뉴스 인용|제목=엄정화연구, 살아남는 자가 강한 것이다 [매거진t] 2008-07-24 |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230&aid=0000003601}}</ref>
 
엄정화는 1990년대 말 한국에서 게이 클럽이 막 생겨났던 시기와 자신의 전성기가 겹치면서 게이들로부터 큰 지지를 받게 되었고, 대표적인 한국의 [[게이 아이콘]]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특히, 돋보이는 성적 매력과 불가능한 사랑을 주제로 한 노래로 많은 관심을 받았다. 엄정화 본인은 동성애자들이 많이 모이는 [[이태원]]에 가면서 이러한 인기를 알게 되었고, 동성애자에 대해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9집 음반의 첫 공연은 게이 클럽에서 이루어졌다.<ref>{{뉴스 인용|url=http://legacy.www.hani.co.kr/section-021015000/2006/12/021015000200612060638123.html|제목=나, 팜므파탈을 연기하고 싶다|저자=신윤동욱|날짜=2006-12-06|출판사=한겨레21|확인날짜=2013-02-11}}</ref><ref>{{뉴스 인용|url=http://news.maxmovie.com/66416|출판사=맥스뉴스|저자=김영창|제목=이태원, 알고 보니 ‘나와바리’ - 배우 엄정화|날짜=2010-04-14|확인날짜=2013-02-11}}</ref>
 
=== 영향 ===
엄정화는 90년대부터 30년에 가까운 시간 동안 가수와 배우활동을 모두 성공적으로 양립하며, 연예계에서 여성으로서 독보적인 위치를 수립하며, 비교적 수명이 짧았던 여성 연예인들의 항로를 개척했다는 평가를 받으며 연예계의 대표적인 롤모델로 자리잡았다. 또한 가수와 연기 양쪽 모두에서 기존의 보수적 관습을 타파하는 주체적인 여성상을 노래하고 연기하며, 미디어에서 표현되는 여성의 이미지와 아이덴티티를 새롭게 정립하였다.
 
[[이효리]]는 엄정화에 대해 "젊은 가수들과 당당히 경쟁하는 모습에 ‘나도 저렇게 할 수 있을까’ 싶을 정도로 대단하다는 생각이 든다. 본받고 싶다” 라고 말하기도 했고, [[백지영]]은 "엄정화의 아이덴티티를 배우고 싶다. 엄정화는 자신을 어떤 한 이미지로 구속시켜놓지 않는다"라고 말했다.<ref>{{뉴스 인용|제목=백지영 "내 롤모델은 마돈나-인순이-엄정화" [아시아경제] 2009-08-08 |url=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09080821593026431}}</ref> [[서인영]]은 롤모델로 엄정화를 언급하며 "엄정화의 무대 위에서의 카리스마를 따라 갈려면 노력을 많이 해야겠다"라고 밝혔고,<ref>{{뉴스 인용|제목=서인영, 나의 롤모델은 엄정화 [스포츠서울] 2007-04-18 |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73&aid=0000060229}}</ref> [[손담비]] 역시 "평소 엄정화 선배를 정말 좋아한다. 배우의 색깔과 가수의 색깔이 공존하는 분이다"라며 "배우로서도 훌륭하고 가수로서도 뛰어난 역량을 발휘하는 스타라고 생각한다. 나 역시 그렇게 되고 싶다"라고 말했다.<ref>{{뉴스 인용 |제목=손담비, 원래 배우가 꿈, 연기 욕심 많다 [뉴스엔] 2009-04-17 |url=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0904161748501002 |확인날짜=2010-05-09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40517121515/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0904161748501002 |보존날짜=2014-05-17 |url-status=dead }}</ref> 이외에도 소녀시대의 [[윤아]], [[유리 (1989년)|유리]], [[티파니 영|티파니]], [[2NE1]]의 [[CL (가수)|CL]], [[공민지]], [[산다라박]], [[걸스데이]]의 [[박소진 (배우)|소진]]<ref name="thestar.chosun.com">{{뉴스 인용 |제목=걸스데이 소진 "이상형은 김강우, 롤모델은 엄정화"[조선일보] 2015-01-22 |url=http://thestar.chosun.com/site/data/html_dir/2015/01/22/2015012202638.html |확인날짜=2015-01-24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50402124840/http://thestar.chosun.com/site/data/html_dir/2015/01/22/2015012202638.html |보존날짜=2015-04-02 |url-status=dead }}</ref>, [[방민아]]<ref name="thestar.chosun.com" />, [[혜리]], [[다비치]]의 [[강민경]]<ref>{{뉴스 인용|제목='인기가요' 걸스데이 민아 "엄정화 닮고 싶다"[아시아경제] 2013-03-10 |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277&aid=0003104643}}</ref>, [[정연주 (배우)|정연주]]<ref>{{뉴스 인용|제목='마녀의 연애' 정연주 "롤모델 엄정화, 라이벌로 만나 영광"[이데일리] 2014-04-09 |url=http://enews24.interest.me/news/article.asp?nsID=385070}}</ref>, [[가인]], [[청하 (가수)|청하]], [[유이 (배우)|유이]], [[유빈]]등이 엄정화를 롤모델이라 밝혔으며, 특히 이례적으로 남자연예인들 가운데 [[조권]]이 엄정화를 롤모델이라 밝힌 바 있다.
 
== 사업 ==
* 인터넷 쇼핑몰 <코너스위트> , 란제리 브랜드 <줌 인 뉴욕> 운영
* 안양시 동안구에서 브래지어 가게를 운영
 
== 음반 목록 ==
{{본문|엄정화의 음반 목록}}
; 정규 음반
* 1993: 1집 《[[Sorrowful Secret]]》
* 1996: 2집 《[[Uhm Jung Hwa 2]]》
* 1997: 3집 《[[후애|後愛]]》
* 1998: 4집 《[[Invitation (엄정화의 음반)|Invitation]]》
* 1999: 5집 《[[005.1999.06]]》
* 2000: 6집 《[[Queen of Charisma]]》
* 2001: 7집 《[[화7 (花7)|花7]]》
* 2004: 8집 《[[Self Control (엄정화의 음반)|Self Control]]》
* 2006: 9집 《[[Prestige]]》
* 2017: 10집 《[[The Cloud Dream of the Nine]]》
 
; EP
* 2008: 《[[D.I.S.C.O]]》
 
== 출연 작품 ==
===드라마===
{| class="wikitable sortable"
|-
! 연도
! 제목
! 역할
! 비고
|-
| rowspan=2 | 1993
| 《[[굿모닝 영동]]》
| 주리나
| 14부작
|-
| rowspan=2 | 《[[자매들]]》
| rowspan=2 | 기남
| rowspan=2 | 142부작
|-
| rowspan=4 | 1994
|-
| 《[[폴리스 (드라마)|폴리스]]》
| 최엄지
| 16부작
|-
| 《[[한쪽 눈을 감아요]]》
| 김유진
|
|-
| 《미스터리 멜로》
| 송경화
| 엄정화의 잔인한 눈물 편
|-
| rowspan="3" | 1995
| 《인간극장》
| 양희연
| 고등어와 크레파스 편
|-
| 《[[가면 속의 천사]]》
| 김숙현
| 16부작
|-
| 《[[사랑을 기억하세요]]》
| 화영
| 8부작
|-
| 1996
| 《[[부자유친]]》
| 송화원
| 56부작
|-
| rowspan=2 | 1997
| 《[[스타 (드라마)|스타]]》
| 신수민
| 10부작
|-
| rowspan=2 | SBS 주말극장 《[[아름다운 죄]]》
| rowspan=2 | 박정화
| rowspan=2 | 30부작
|-
| 1998
|-
| 2001
| 《[[뉴논스톱]]》
|
| 특별출연
|-
| 2003
| 《[[아내 (드라마)|아내]]》
| 서현자
| 52부작
|-
| 2004
| 《[[12월의 열대야]]》
| 오영심
| 17부작
|-
| 2007
| 《[[칼잡이 오수정]]》
| 오수정
| 16부작
|-
| 2009
| 《[[결혼 못하는 남자 (대한민국의 드라마)|결혼 못하는 남자]]》
| 장문정
| 16부작
|-
| 2014
| 《[[마녀의 연애]]》
| 반지연
| 16부작
|-
| 2017
| 《[[당신은 너무합니다]]》
| 유지나 / 김혜정
| 50부작
|}
 
===영화===
{| class="wikitable sortable"
|-
! 연도
! 제목
! 역할
! 비고
|-
| rowspan="1" | 1992
| 《[[결혼 이야기 (1992년 영화)|결혼 이야기]]》
| 여자 DJ
| 단역
|-
| rowspan="1" | 1993
| 《[[바람부는 날이면 압구정동에 가야한다]]》
| 오혜진
| 주연
|-
| rowspan="2" | 1994
| 《[[블루시걸]]》
| 조슈아
| 목소리
|-
| 《[[마누라 죽이기]]》
| 김혜리
| 조연
|-
| 2002
| 《[[결혼은, 미친 짓이다 (영화)|결혼은, 미친 짓이다]]》
| 연희
| 주연
|-
| 2003
| 《[[싱글즈]]》
| 동미
| 주연
|-
| 2004
| 《[[어디선가 누군가에 무슨 일이 생기면 틀림없이 나타난다 홍반장]]》
| 윤혜진
|주연
|-
| rowspan="2" | 2005
| 《[[내 생애 가장 아름다운 일주일]]》
| 허윤경
|주연
|-
| 《[[오로라 공주 (영화)|오로라 공주]]》
| 정순정
|주연
|-
| rowspan="2" | 2006
| 《[[호로비츠를 위하여]]》
| 김지수
| 주연
|-
| 《[[Mr. 로빈 꼬시기]]》
| 민준
| 주연
|-
| 2007
| 《[[지금 사랑하는 사람과 살고 있습니까?]]》
| 서유나
| 주연
|-
| rowspan="3" | 2009
| 《[[오감도 (영화)|오감도]]》
| segment 4 - 이정하
| 주연
|-
| 《[[해운대 (영화)|해운대]]》
| 이유진
| 특별출연
|-
| 《[[인사동 스캔들]]》
| 배태진
| 주연
|-
| 2010
| 《[[베스트셀러 (영화)|베스트셀러]]》
| 백희수
| 주연
|-
| 2011
| 《[[마마 (2011년 영화)|마마]]》
| 동숙
| 주연
|-
| 2012
| 《[[댄싱퀸 (영화)|댄싱퀸]]》
| 정화
| 주연
|-
| rowspan="3" | 2013
| 《[[끝과 시작]]》
| 이정하
| 주연
|-
| 《[[몽타주 (영화)|몽타주]]》
| 하경
| 주연
|-
| 《[[톱스타]]》
| 자신
| 특별 출연
|-
| 2014
| 《[[관능의 법칙]]》
| 정신혜
| 주연
|-
| 2015
| 《[[미쓰 와이프]]》
| 이연우
| 주연
|-
|2020
|《[[오케이! 마담]]》
|미영
|주연
|-
|}
 
{| class="wikitable sortable"
|+ '''뮤지컬'''
|-
! 연도
! 제목
! 역할
! 비고
|-
| 1995
| 《우리집 식구는 아무도 못말려》
| 엘리스
|
|}
 
=== 예능 ===
* 1995년 3월 7일: 《[[TV는 사랑을 싣고]]》- 게스트 출연
* 1995년 3월 11일 ~ 종료일자 미상:  [[KBS2]] 《특종 웃음대결》 - [[송승환]]과 함께 진행
* 1996년 9월 8일 ~ 1996년 10월 13일: [[SBS TV|SBS]] 《코미디 펀치펀치》 1부 - MC ([[임하룡]], [[이다 도시|이다도시]]와 공동)
* 2010년 7월 23일 ~ 2010년 10월 22일: 《[[슈퍼스타K 2]]》 - 심사위원([[이승철]], [[윤종신]], [[박진영]]과 공동)
* 2017년 12월 13일: 《[[한끼줍쇼]]》 - 게스트 출연
* 2020년 《[[아는 형님]]》 - 게스트 출연
* 2020년 8월 22일 ~ 11월 14일 : 《[[놀면 뭐하니?]]》 - [[환불원정대]]
 
=== 라디오 ===
* 1998년 ~ 2001년 [[KBS Cool FM]] 《[[가요광장]]》
 
== 그 외 출연 작품 ==
=== 광고 ===
* [[동아오츠카]] 로얄디 (1993)
* 산도깨비 (1995)
* 마리 끌레르 (1996)
* 일화 천연사이다 (1996)
* BYC (1997)
* BYC 아미에 (1997)
* 네슈라화장품 (1998)
* 라이코스코리아 (1999)
* YAH HOLLYWOOD (1999)
* [[오리온 (기업)|오리온]] 케익오뜨 (1999)
* [[LG하우시스]] 깔끄미 (1999)
* SK제약 트라스트 (1999/2000)
* 도도화장품 (1999/2000)
* [[SK에너지]] 엔크린 (2000)
* 패션쇼핑몰 제패 (2001)
* [[금호타이어]] 솔루스 스포츠 (2001)
* 유니레버코리아 폰즈 클리어훼이스 (2001/2002)
* 불스원 불스원샷 (2002/2003)
* [[KT]] 001 블루 (2003) (故 [[장진영]]과 함께 출연)
* [[르노삼성자동차]] SM5 (2006)
* 위니아만도 딤채 (2006)
* [[삼성화재]] 애니카 (2007)
* [[빙그레]] 투게더 (2007)
* 모두투어 (2008)
* 노비타 비데 (2008/2009)
* 파파로티 (2009)
* LG텔레콤 Spear Of Destiny Game 엑스피드 (2009)
* [[동원F&B]] 순닭가슴살 (2011) ([[엄태웅]]과 함께 출연)
* [[롯데칠성음료]] Scotch Blue (2011)
* 바이엘코리아 레덕손더블액션 (2014)
* 복음의적함 (2019)
* [[고용노동부]] 전 국민 고용보험 (2020)
 
== 홍보대사 ==
* 2001년 문화관광부 한국방문의 해 명예홍보사절
* 2001년 국무총리실 교통안전 홍보대사
* 2003년 한국야구위원회 프로야구 홍보대사
* 2004년 삼성라이온즈 홍보대사
* 2009년 성동세무서 일일명예민원봉사실장
* 2012년 고려대의료원 클레프트 인 미얀마        캠페인 홍보대사
* 2013년 제7회 실종 아동의 날 명예홍보대사
* 2014년 제51회 대종상영화제 홍보대사
 
== 수상 ==
* 2020 [[MBC 방송연예대상]] 여자 우수상
* 2013 [[한국영화배우협회]] 송년의 밤 영화 톱스타상 《[[몽타주 (영화)|몽타주]]》
* 2013 제21회 [[대한민국문화연예대상]] 영화부문 여자 최우수 연기상 《[[몽타주 (영화)|몽타주]]》
* 2013 제50회 [[대종상]] 여우주연상 《[[몽타주 (영화)|몽타주]]》
* 2012 제48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여자 최우수 연기상 《[[댄싱퀸 (영화)|댄싱퀸]]》
* 2010 제18회 [[이천 춘사대상영화제]] 여우주연상 《[[베스트셀러 (영화)|베스트셀러]]》
* 2007 FKCCI 주최 2007 갈라 디너파티 [한불 우정상 수상]
* 2007 제4회 한국대중음악상 최우수 댄스&일렉트로닉 앨범부문상
* 2006 제7회 [[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 여우주연상 《오로라 공주》
* 2006 제42회 [[백상예술대상]] 패션니스트상
* 2006 동아TV 패션 뷰티상 패션 아이콘상
* 2006 한국대중음악상: 일렉트로니카/댄스 부문 최우수상
* 2004 제27회 [[황금촬영상]] 특별상 《홍반장》
* 2003 제39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여자 최우수 연기상 《결혼은 미친 짓이다》
* 2003 [[KBS 연기대상]] 우수연기상 《[[아내 (드라마)|아내]]》
* 2002 모델라인 베스트 드레서 백조상
* 2001 [[MBC 10대 가수 가요제]] 30세 이상이 뽑은 가수상
* 2001 [[KBS 가요대상]] 청소년부문 10대 가수상
* 2001 [[SBS 가요대전]] 본상
* 2001 [[KMTV 가요대전]] 본상
* 2000 [[KBS 가요대상]] 10대 가수상
* 2000 [[SBS 가요대전]] 10대 가수상
* 2000 KMTV 가요대전 본상
* 2000 제8회 한국최고인기연예대상 가수부문 본상
* 2000 제11회 [[서울가요대상]] 스타일리스트상
* 2000 제11회 [[서울가요대상]] 본상
* 2000 제15회 [[골든디스크]] 본상
* 2000 제7회 대한민국 연예 예술대상 신세대 가수상
* 2000 제1회 대한민국 영상 대전 여자가수 부문 포토제닉상
* 1999 [[MBC 10대 가수 가요제]] 30대 이하, 30대 이상 가수상
* 1999 [[KBS 가요대상]] 청소년부문 최우수상
* 1999 [[KBS 가요대상]] 10대 가수상
* 1999 [[SBS 가요대전]] 10대 가수상
* 1999 제10회 [[서울가요대상]] 본상
* 1999 제14회 [[골든디스크]] 본상
*1999 Mnet 아시아 뮤직어워드 최우수 여자 솔로상
* 1998 한국메이크업분장예술가협회 가수 부문 베스트 메이크업상<ref>[http://i.imgur.com/sX7qzHh.jpg 1998년 12월 4일 / 스포츠조선 / 전상희 기자] [연예설문] 올 베스트 메이크업 수상자는</ref>
* 1998 제13회 [[골든디스크]] 본상
* 1998 [[KBS 가요대상]] 10대 가수상
* 1998년 12월 29일 [[KBS 2TV|KBS2]] [[뮤직뱅크]] 가수들이 직접 뽑은 우정상
* 1998 [[SBS 가요대전]] 10대 가수상
* 1998 제9회 [[서울가요대상]] 10대 가수상
* 1997 [[KBS 가요대상]] 10대 가수상
* 1997 [[SBS 가요대전]] 10대 가수상
* 1997 제8회 [[서울가요대상]] 10대 가수상
* 1997 KMTV 가요 제전 10대 가수상
* 1997 Mnet 뮤직비디오상
* 1996 모델라인선정 가수부문 베스트드레서
* 1993 제17회 [[황금촬영상]] 신인연기상 《바람부는 날이면 압구정동에 가야 한다》
 
== 성과지표 ==
=== 공중파 가요 프로그램 주요 성적 ===
{| class="wikitable" style="width:46em;"
! style="width:4em;" | 연도
! 순위 (총 11회)
|-
! 1997년 (총 5회)
|
* '''배반의 장미''' (총 5회)
** 5월 3일 [[MBC]] 《[[인기가요 BEST 50|인기가요베스트50]]》 1위
** 5월 10일 [[MBC]] 《[[인기가요 BEST 50|인기가요베스트50]]》 1위 (2주 연속)
** 5월 14일 [[KBS]] 《[[가요톱텐]]》 1위
** 5월 21일 [[KBS]] 《[[가요톱텐]]》 1위 (2주 연속)
** 6월 1일 [[SBS (대한민국의 방송사)|SBS]] 《[[TV 가요 20|TV가요20]]》 1위
|-
! 1998년 (총 5회)
|
* '''POISON''' (총 5회)
** 9월 12일 [[MBC]] 《[[생방송 음악캠프|음악캠프]]》 1위
** 9월 19일 [[MBC]] 《[[생방송 음악캠프|음악캠프]]》 1위
** 9월 20일 [[SBS (대한민국의 방송사)|SBS]] 《[[인기가요]]》 1위
** 9월 26일 [[MBC]] 《[[생방송 음악캠프|음악캠프]]》 1위 (3주 연속, BEST OF BEST)
** 10월 4일 [[SBS (대한민국의 방송사)|SBS]] 《[[인기가요]]》 1위 (통산 2주)
|-
! 1999년 (총 1회)
|
* '''몰라''' (총 1회)
** 7월 25일 [[SBS (대한민국의 방송사)|SBS]] 《[[인기가요]]》 1위
|}
 
=== 음반판매량 ===
{{사실 여부 의심 문단|날짜=2015-11-14}}
1998년부터 한국음반산업협회 및 신나라레코드에서 발표한 공식음반판매량에 기재된 음반판매량 및 여자솔로가수중 순위
 
{| class="wikitable"
!순위/년도!!1998년!!1999년!!2000년!!2001년
|-
!1위
|
김현정 1집 552,639장
|
김현정 2집 561,614장
|
김현정 3집 421,052장
|
왁스 2집 711,311장
|-
!2위
|
'''엄정화 4집 458,147장'''
|
'''엄정화 5집 552,373장'''
|
박지윤 4집 399,143장
|
장나라 1집 323,248장
|-
!3위
|
양파 2집 321,662장
|
이정현 1집 532,185장
|
이정현 2집 382,433장
|
양파 4집 306,301장
|-
!4위
|
이소라 3집 241,755장
|
양파 3집 429,515장
|
백지영 2집 360,201장
|
김현정 4집 240,000장
|-
!5위
|
박지윤 2집 228,188장
|
박지윤 3집 378,025장
|
박정현 3집 265,747장
|
이정현 3집 202,408장
|-
!6위
|
이소은 1집 134,653장
|
박정현 2집 300,522장
|
소찬휘 4집 259,926장
|
백지영 3집 194,337장
|-
!7위
|
|
박미경 4집 61,049장
|
'''엄정화 6집 238,801장'''
|
'''엄정화 7집 191,252장'''
|-
!12위
|
|
|
'''엄정화 베스트 146,587장'''
|
|}
 
=== 여가수 선호도(리스피아르 조사 연구소) ===
* 1999년 하반기 '''1위 엄정화(21.5%)''' 2위 핑클(16.5%) 3위 S.E.S(16.1%)<ref>{{뉴스 인용|제목= 2000년 밀레니엄 최고 스타는 누굴까?(1999년 하반기 순위 언급)|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9&aid=0000033807}}</ref>
* 2000년 상반기 1위 핑클(19.5%) '''2위 엄정화(16.6%)''' 3위 S.E.S(15.1%))<ref>{{뉴스 인용|제목= 2000년 밀레니엄 최고 스타는 누굴까?|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9&aid=0000033807}}</ref>
* 2001년 상반기 '''1위 엄정화(17.4%)''' 2위 핑클(16.1%) 3위 S.E.S(13.7%)<ref>{{뉴스 인용|제목= [원빈·이영애] '최고 인기 연기자'|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38&aid=0000065480}}</ref>
 
=== 관객동원력 ===
 
2013년 11월 20일 기준, 영진위 크레딧 주연으로 등록된 작품만을 기준으로한 관객동원력 순위에서 전체 여자 배우중 3위를 차지했다.<ref>{{뉴스 인용|제목= 최고 흥행 여배우 '톱7' 누구?..1위 김혜수 |url=http://osen.mt.co.kr/article/G1109729255}}</ref>
 
* 1위 김혜수: 38,486,178 명
* 2위 하지원: 31,672,876 명
* '''3위 엄정화: 30,515,754 명'''
* 4위 전지현: 26,757,491 명
* 5위 김해숙: 24,972,787 명
* 6위 손예진: 24,255,798 명
* 7위 고아성: 22,382,471 명
 
연합뉴스가 발표한 관객동원력에서 2010년 여자 배우 2위<ref>{{뉴스 인용|제목=엄정화-하지원, 여배우 티켓팅 파워 나란히 1,2위|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01&aid=0005797318}}</ref>
, 2012년 여자 배우 1위, 남녀전체 5위<ref>{{뉴스 인용|제목= 관객을 부르는 배우들... 티켓파워 1위는?|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01&aid=0005797318}}</ref>를 차지했다.
 
{| class="wikitable" style="width:13em;"
|+ 2012년 관객동원력 순위
!순위!!이름!!관객수
|-
!1위
|
송강호
|
4,085만명
|-
!2위
|
설경구
|
3,978만명
|-
!3위
|
김윤석
|
3,572만명
|-
!4위
|
박해일
|
3,321만명
|-
!5위
|
'''엄정화'''
|
2,737만명
|-
!6위
|
하지원
|
2,649만명
|-
!7위
|
김혜수
|
2,489만명
|}
 
조선일보가 2003~2006년 3차례 발표한 스타관객동원력<ref>{{뉴스 인용 |제목= 관객흡인력 1위 장동건·문근영 |url= http://www.chosun.com/se/news/200510/200510210031.html |확인날짜= 2013-12-02 |보존url= https://web.archive.org/web/20131203071515/http://www.chosun.com/se/news/200510/200510210031.html# |보존날짜= 2013-12-03 |url-status= dead }}</ref><ref>{{뉴스 인용|제목= 2006 스타들의 관객 동원력은? |url=http://blog.daum.net/freeman3620/10205831}}</ref> 에서 2003년 11위, 2005년 12위, 2006년 9위를 기록했다.
 
{| class="wikitable" style="width:21em;"
|+ 2003, 2005, 2006년 관객동원력 순위
|-
!순위/년도!!2003년!!2005년!!2006년
|-
!1위
|
전지현
|
문근영
|
이영애
|-
!2위
|
전도연
|
전지현
|
전도연
|-
!3위
|
이영애
|
이영애
|
전지현
|-
!4위
|
장진영
|
김선아
|
문근영
|-
!5위
|
김선아
|
강혜정
|
손예진
|-
!6위
|
김정은
|
전도연
|
김선아
|-
!7위
|
김하늘
|
손예진
|
이나영
|-
!8위
|
하지원
|
장진영
|
임수정
|-
!9위
|
이미연
|
수애
|
'''엄정화'''
|-
!10위
|
손예진
|
임수정
|
하지원
|-
!11위
|
'''엄정화'''
|
하지원
|
김혜수
|-
!12위
|
이미숙
|
'''엄정화'''
|
장진영
|-
!13위
|
문소리
|
문소리
|
김수미
|-
!14위
|
이나영
|
김정은
|
송혜교
|-
!15위
|
신은경
|
이나영
|
수애
|-
!16위
|
장나라
|
염정아
|
김하늘
|-
!17위
|
이은주
|
김하늘
|
문소리
|-
!18위
|
김혜수
|
최지우
|
강혜정
|-
!19위
|
고소영
|
이미숙
|
최강희
|-
!20위
|
김희선
|
한가인
|
고현정
|}
 
=== 영화 출연료 ===
2013년 9월 4일에 방송된 [[SBS]] 《[[한밤의 TV 연예]]》<ref>{{뉴스 인용|제목= '한밤' 한국 배우들 출연료 공개, 이병헌-송강호 등 가장 높은 6억원대 |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11&aid=0002388740}}</ref> 에 따르면 엄정화의 출연료는 3억원대로 이민정, 이나영과 비슷한 수준으로 밝혀졌다. 엄정화보다 많은 출연료를 받는 여자 배우로는 하지원(4억 8천), 손예진(4억 3천), 임수정(4억), 전지현(3억 8천), 김혜수(3억 7천)가 있다.
 
2005년 세계일보 기사에 따르면<ref>{{뉴스 인용|제목= [연예인 수입]일류 영화배우 1편당 5억2000년 밀레니엄 최고 스타는 누굴까? |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22&aid=0000086352}}</ref> 엄정화는 편당 3억~2억5천만원 정도의 출연료를 받으며, 이는 3억5천~3억원 사이의 출연료를 받는 전도연과 장진영보다 약간 낮은 수준이라고 한다.
 
== 가족 관계 ==
* 아버지: 엄진옥( ~ 1975년)
* 어머니: 유경숙
* 남동생: [[엄태웅]](1974년 4월 5일 ~ )
** 조카: 엄지온(2013년 6월 18일 ~)
 
== 각주 ==
{{각주|3}}
 
== 외부 링크 ==
* {{위키백과}}
* {{위키백과}}
* {{위키낱말사전}}
* {{다음사전}}
* {{다음백과}}
* {{다음백과}}
* {{네이버사전}}
* {{네이버백과}}
* {{네이버백과}}
* {{나무위키}}
* {{리브레위키}}
* {{공식 웹사이트|http://www.uhmjunghwa.kr}}
* {{트위터}}
* {{싸이월드|27958420}}
{{이전다음2
|배경색= #2449A4
|제목= [[KBS 연기대상]] 《여자 우수상》
|종류= 년
|이전= 2002
|현재= 2003
|다음= 2004
|이전명= [[이태란]], [[이혜숙]]
|현재명= [[공효진]], 엄정화, [[추상미]]
|다음명= [[박선영 (1976년 배우)|박선영]], [[한가인]]
|현재 요약 아래= 《[[아내 (드라마)|아내]]》 서현자 역
}}
{{엄정화}}
{{사람 엔터테인먼트}}
{{둘러보기 상자 묶음
|title = 엄정화의 수상 목록
|list =
{{Mnet 아시안 뮤직 어워드 - 여자 가수상}}
{{대종상 여우주연}}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여우주연}}
{{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 여우주연}}
{{춘사영화상 여우주연}}
{{KBS 연기대상 여자 우수연기}}
{{황금촬영상 신인여우}}
}}
{{슈퍼스타K}}


[[분류:한국 여자영화배우]][[분류:엄씨]]
[[분류:1969년 출생]][[분류:8월에 출생한 사람]]
[[분류:1969년 출생]][[분류:충청북도 출신]]
[[분류:제천시 출신]][[분류:살아있는 사람]]
[[분류:아는 형님의 출연자]]
[[분류:한국 여자영화배우]]
[[분류:영화에서 가슴 노출을 한 적이 있는 여자 배우]]
[[분류:오수연 작가 드라마에 출연한 여자 배우]]
[[분류:서영명 작가 드라마에 출연한 여자 배우]]
[[분류:하청옥 작가 드라마에 출연한 여자 배우]]
[[분류:MBC 수목드라마에 출연한 여자 배우]]
[[분류:SBS 주말극장에 출연한 여자 배우]]
[[분류:SBS 주말특별기획에 출연한 여자 배우]]
[[분류:KBS 2TV 월화드라마에 출연한 여자 배우]]
[[분류:TvN 월화드라마에 출연한 여자 배우]]
[[분류: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진행자]]
[[분류:TvN 프로그램의 여자 진행자]]
[[분류:대한민국의 라디오 진행자]][[분류:KBS 라디오의 여자 DJ]]
[[분류:아는 형님의 여자 게스트]][[분류:런닝맨의 여자 게스트]]
[[분류:놀러와의 여자 게스트]][[분류:한끼줍쇼의 여자 게스트]]
[[분류:놀라운 토요일 도레미마켓의 여자 게스트]]
[[분류:무릎팍도사의 여자 게스트]]
[[분류:찾아라! 맛있는 TV 스타의 맛집 여자 게스트]]
[[분류:김승우의 승승장구 여자 게스트]]
[[분류:잘 먹고 잘 사는 법 식사하셨어요의 게스트]]
[[분류:해피투게더 시즌3의 여자 게스트]]

2024년 5월 22일 (수) 17:05 기준 최신판

1 개요[ | ]

엄정화 (1969-)
  • 한국 여자배우

2 생애[ | ]

3 예술가적 기교[ | ]

3.1 음악[ | ]

엄정화가 데뷔 이후 지금까지 주로 추구하는 음악은 주로 댄스 음악이다. 특히 엄정화는 2000년 발매한 Queen of Charisma에서 일렉트로닉 음악을 처음으로 시도했지만, 대중성에 초점을 맞춘 노래들이라 평론가들에게 냉정한 평가를 받았다.[1] 그러나, Self Control (2004)과 Prestige (2006)에서부터는 진지한 일렉트로닉 음악을 추구했고 평론가들에게 좋은 평가를 받았다. 음악평론가 나도원은 "엄정화는 8집 Self Control과 9집 Prestige에서 실력과 신선함을 겸한 젊은 음악인들과 작업하는 새로운 시도를 통하여 스스로를 갱신해왔다. 그리고 보는 것만이 아니라 감상이 가능한 일렉트로니카 음악으로 평단의 지지를 이끌어냈다."라고 평했고,[2] 음악평론가 임진모는 엄정화의 음악에 대해 "음악을 좋아하기 때문에 식상한 패턴에 안주하기를 거부하고, 쉬 대중과 접속하지 못한다는 것을 뻔히 알면서도 미련하게 실험을 가했다"라고 진정성을 평가했다. 오히려 엄정화의 1990년대 음악에 대한 평가는 데뷔곡 〈눈동자〉에서부터 발견되는 기존의 보수적, 수동적 여성상에 대비되는 당당하고 도전적인 여성상이 반영된 가사와 메시지를 중심으로 이뤄지기도 한다. 이러한 활동들을 《10 아시아》의 강명석은 "엄정화는 당대의 아이콘이다. 시대의 트렌드를 따라 그가 보여준 모습들은 그 시대의 단면을 보여준 아이콘들이었고, 어느덧 엄정화는 그 모든 것들이 한 몸에 모인 아이콘 그 자체가 됐다."라고 평가하기도 했다.[3]

3.2 이미지[ | ]

엄정화는 1989년에 MBC 합창단원이 된 이래 가요, TV 드라마, 영화, 연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지속적인 인기를 모았다. 특히 그의 연기와 음악에 대한 평가는 시대가 지날수록 더욱 호평을 받는데, 특히 그를 한국 문화사에서 특이한 위치로 평가하는 해석도 많다. 10아시아의 강명석은, 엄정화를 "그래서 엄정화는 당대의 아이콘이다. 시대의 트렌드를 따라 그가 보여준 모습들은 그 시대의 단면을 보여준 아이콘들이었고, 어느덧 엄정화는 그 모든 것들이 한 몸에 모인 아이콘 그 자체가 됐다."라고 말하며, "엄정화는 가수와 배우 양쪽에서 성공한 동시에, 가수와 배우로서의 변화 폭이 가장 큰 희귀한 존재다."라고 평가한다. 이러한 그의 배우와 가수, 양측의 활동의 분명함과 넓은 진폭에 대해서 한겨레21의 신윤동욱은 "엄정화처럼 가수와 배우 이미지의 간극이 넓은 연예인도 찾기 힘들다. 가수로서도, 배우로서도 시작은 비교적 미약했으나 갈수록 창대해진 엔터테이너도 찾기 힘들다."라고 평가하고, 그가 1990년대 한국 방송계에서 차지했던 역할에 대해서는 "1990년대 한국 공중파 방송이 허용하는 최대치의 팜므파탈이었다."라고 평가하기도 했다.[4] 2008년 8월 발행된 《매거진 T》는 엄정화 연구라는 이름의 칼럼에서, "엄정화란 인물의 정체성은 섹시함과 귀여움, 그러니까 여자 연예인에게 꼬리표처럼 따라붙는 전형적인 수식어로 온전히 수렴되지 않는다."라고 평가하며, "가수와 배우로서 성공적인 입지를 다진 그는 여전히 가창력과 연기력에 대한 비판적인 시선을 동반하지만, 동시에 그가 지금까지 한국에 없던 여자 연예인의 이미지와 역사를 만든 엔터테이너라는 점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기 때문이다."라고 말했다. 또한 "엄정화는 여자 연예인이 시장에서 소비되는, 혹은 거의 유일한 생존전략인 섹시한 이미지를 자신만이 할 수 있는 어떤 것으로 만들었고, 그 결과 한국 사회의 강박적인 시선 속에서도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는 여성 엔터테이너가 되었다. 관습적인 여성성을 비틀면서도 그것을 오로지 캐릭터의 이미지로 한정하는 엄정화의 전략은 지금 그를 한국에서 가장 강력한 여성 아이콘으로 자리 잡게 만들었다"라고 결론지었다.[5]

엄정화는 1990년대 말 한국에서 게이 클럽이 막 생겨났던 시기와 자신의 전성기가 겹치면서 게이들로부터 큰 지지를 받게 되었고, 대표적인 한국의 게이 아이콘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특히, 돋보이는 성적 매력과 불가능한 사랑을 주제로 한 노래로 많은 관심을 받았다. 엄정화 본인은 동성애자들이 많이 모이는 이태원에 가면서 이러한 인기를 알게 되었고, 동성애자에 대해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9집 음반의 첫 공연은 게이 클럽에서 이루어졌다.[6][7]

3.3 영향[ | ]

엄정화는 90년대부터 30년에 가까운 시간 동안 가수와 배우활동을 모두 성공적으로 양립하며, 연예계에서 여성으로서 독보적인 위치를 수립하며, 비교적 수명이 짧았던 여성 연예인들의 항로를 개척했다는 평가를 받으며 연예계의 대표적인 롤모델로 자리잡았다. 또한 가수와 연기 양쪽 모두에서 기존의 보수적 관습을 타파하는 주체적인 여성상을 노래하고 연기하며, 미디어에서 표현되는 여성의 이미지와 아이덴티티를 새롭게 정립하였다.

이효리는 엄정화에 대해 "젊은 가수들과 당당히 경쟁하는 모습에 ‘나도 저렇게 할 수 있을까’ 싶을 정도로 대단하다는 생각이 든다. 본받고 싶다” 라고 말하기도 했고, 백지영은 "엄정화의 아이덴티티를 배우고 싶다. 엄정화는 자신을 어떤 한 이미지로 구속시켜놓지 않는다"라고 말했다.[8] 서인영은 롤모델로 엄정화를 언급하며 "엄정화의 무대 위에서의 카리스마를 따라 갈려면 노력을 많이 해야겠다"라고 밝혔고,[9] 손담비 역시 "평소 엄정화 선배를 정말 좋아한다. 배우의 색깔과 가수의 색깔이 공존하는 분이다"라며 "배우로서도 훌륭하고 가수로서도 뛰어난 역량을 발휘하는 스타라고 생각한다. 나 역시 그렇게 되고 싶다"라고 말했다.[10] 이외에도 소녀시대의 윤아, 유리, 티파니, 2NE1CL, 공민지, 산다라박, 걸스데이소진[11], 방민아[11], 혜리, 다비치강민경[12], 정연주[13], 가인, 청하, 유이, 유빈등이 엄정화를 롤모델이라 밝혔으며, 특히 이례적으로 남자연예인들 가운데 조권이 엄정화를 롤모델이라 밝힌 바 있다.

4 사업[ | ]

  • 인터넷 쇼핑몰 <코너스위트> , 란제리 브랜드 <줌 인 뉴욕> 운영
  • 안양시 동안구에서 브래지어 가게를 운영

5 음반 목록[ | ]

정규 음반
EP

6 출연 작품[ | ]

6.1 드라마[ | ]

연도 제목 역할 비고
1993 굿모닝 영동 주리나 14부작
자매들 기남 142부작
1994
폴리스 최엄지 16부작
한쪽 눈을 감아요 김유진
《미스터리 멜로》 송경화 엄정화의 잔인한 눈물 편
1995 《인간극장》 양희연 고등어와 크레파스 편
가면 속의 천사 김숙현 16부작
사랑을 기억하세요 화영 8부작
1996 부자유친 송화원 56부작
1997 스타 신수민 10부작
SBS 주말극장 《아름다운 죄 박정화 30부작
1998
2001 뉴논스톱 특별출연
2003 아내 서현자 52부작
2004 12월의 열대야 오영심 17부작
2007 칼잡이 오수정 오수정 16부작
2009 결혼 못하는 남자 장문정 16부작
2014 마녀의 연애 반지연 16부작
2017 당신은 너무합니다 유지나 / 김혜정 50부작

6.2 영화[ | ]

연도 제목 역할 비고
1992 결혼 이야기 여자 DJ 단역
1993 바람부는 날이면 압구정동에 가야한다 오혜진 주연
1994 블루시걸 조슈아 목소리
마누라 죽이기 김혜리 조연
2002 결혼은, 미친 짓이다 연희 주연
2003 싱글즈 동미 주연
2004 어디선가 누군가에 무슨 일이 생기면 틀림없이 나타난다 홍반장 윤혜진 주연
2005 내 생애 가장 아름다운 일주일 허윤경 주연
오로라 공주 정순정 주연
2006 호로비츠를 위하여 김지수 주연
Mr. 로빈 꼬시기 민준 주연
2007 지금 사랑하는 사람과 살고 있습니까? 서유나 주연
2009 오감도 segment 4 - 이정하 주연
해운대 이유진 특별출연
인사동 스캔들 배태진 주연
2010 베스트셀러 백희수 주연
2011 마마 동숙 주연
2012 댄싱퀸 정화 주연
2013 끝과 시작 이정하 주연
몽타주 하경 주연
톱스타 자신 특별 출연
2014 관능의 법칙 정신혜 주연
2015 미쓰 와이프 이연우 주연
2020 오케이! 마담 미영 주연
뮤지컬
연도 제목 역할 비고
1995 《우리집 식구는 아무도 못말려》 엘리스

6.3 예능[ | ]

6.4 라디오[ | ]

7 그 외 출연 작품[ | ]

7.1 광고[ | ]

  • 동아오츠카 로얄디 (1993)
  • 산도깨비 (1995)
  • 마리 끌레르 (1996)
  • 일화 천연사이다 (1996)
  • BYC (1997)
  • BYC 아미에 (1997)
  • 네슈라화장품 (1998)
  • 라이코스코리아 (1999)
  • YAH HOLLYWOOD (1999)
  • 오리온 케익오뜨 (1999)
  • LG하우시스 깔끄미 (1999)
  • SK제약 트라스트 (1999/2000)
  • 도도화장품 (1999/2000)
  • SK에너지 엔크린 (2000)
  • 패션쇼핑몰 제패 (2001)
  • 금호타이어 솔루스 스포츠 (2001)
  • 유니레버코리아 폰즈 클리어훼이스 (2001/2002)
  • 불스원 불스원샷 (2002/2003)
  • KT 001 블루 (2003) (故 장진영과 함께 출연)
  • 르노삼성자동차 SM5 (2006)
  • 위니아만도 딤채 (2006)
  • 삼성화재 애니카 (2007)
  • 빙그레 투게더 (2007)
  • 모두투어 (2008)
  • 노비타 비데 (2008/2009)
  • 파파로티 (2009)
  • LG텔레콤 Spear Of Destiny Game 엑스피드 (2009)
  • 동원F&B 순닭가슴살 (2011) (엄태웅과 함께 출연)
  • 롯데칠성음료 Scotch Blue (2011)
  • 바이엘코리아 레덕손더블액션 (2014)
  • 복음의적함 (2019)
  • 고용노동부 전 국민 고용보험 (2020)

8 홍보대사[ | ]

  • 2001년 문화관광부 한국방문의 해 명예홍보사절
  • 2001년 국무총리실 교통안전 홍보대사
  • 2003년 한국야구위원회 프로야구 홍보대사
  • 2004년 삼성라이온즈 홍보대사
  • 2009년 성동세무서 일일명예민원봉사실장
  • 2012년 고려대의료원 클레프트 인 미얀마 캠페인 홍보대사
  • 2013년 제7회 실종 아동의 날 명예홍보대사
  • 2014년 제51회 대종상영화제 홍보대사

9 수상[ | ]

10 성과지표[ | ]

10.1 공중파 가요 프로그램 주요 성적[ | ]

연도 순위 (총 11회)
1997년 (총 5회)
1998년 (총 5회)
1999년 (총 1회)

10.2 음반판매량[ | ]

틀:사실 여부 의심 문단 1998년부터 한국음반산업협회 및 신나라레코드에서 발표한 공식음반판매량에 기재된 음반판매량 및 여자솔로가수중 순위

순위/년도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1위

김현정 1집 552,639장

김현정 2집 561,614장

김현정 3집 421,052장

왁스 2집 711,311장

2위

엄정화 4집 458,147장

엄정화 5집 552,373장

박지윤 4집 399,143장

장나라 1집 323,248장

3위

양파 2집 321,662장

이정현 1집 532,185장

이정현 2집 382,433장

양파 4집 306,301장

4위

이소라 3집 241,755장

양파 3집 429,515장

백지영 2집 360,201장

김현정 4집 240,000장

5위

박지윤 2집 228,188장

박지윤 3집 378,025장

박정현 3집 265,747장

이정현 3집 202,408장

6위

이소은 1집 134,653장

박정현 2집 300,522장

소찬휘 4집 259,926장

백지영 3집 194,337장

7위

박미경 4집 61,049장

엄정화 6집 238,801장

엄정화 7집 191,252장

12위

엄정화 베스트 146,587장

10.3 여가수 선호도(리스피아르 조사 연구소)[ | ]

  • 1999년 하반기 1위 엄정화(21.5%) 2위 핑클(16.5%) 3위 S.E.S(16.1%)[15]
  • 2000년 상반기 1위 핑클(19.5%) 2위 엄정화(16.6%) 3위 S.E.S(15.1%))[16]
  • 2001년 상반기 1위 엄정화(17.4%) 2위 핑클(16.1%) 3위 S.E.S(13.7%)[17]

10.4 관객동원력[ | ]

2013년 11월 20일 기준, 영진위 크레딧 주연으로 등록된 작품만을 기준으로한 관객동원력 순위에서 전체 여자 배우중 3위를 차지했다.[18]

  • 1위 김혜수: 38,486,178 명
  • 2위 하지원: 31,672,876 명
  • 3위 엄정화: 30,515,754 명
  • 4위 전지현: 26,757,491 명
  • 5위 김해숙: 24,972,787 명
  • 6위 손예진: 24,255,798 명
  • 7위 고아성: 22,382,471 명

연합뉴스가 발표한 관객동원력에서 2010년 여자 배우 2위[19] , 2012년 여자 배우 1위, 남녀전체 5위[20]를 차지했다.

2012년 관객동원력 순위
순위 이름 관객수
1위

송강호

4,085만명

2위

설경구

3,978만명

3위

김윤석

3,572만명

4위

박해일

3,321만명

5위

엄정화

2,737만명

6위

하지원

2,649만명

7위

김혜수

2,489만명

조선일보가 2003~2006년 3차례 발표한 스타관객동원력[21][22] 에서 2003년 11위, 2005년 12위, 2006년 9위를 기록했다.

2003, 2005, 2006년 관객동원력 순위
순위/년도 2003년 2005년 2006년
1위

전지현

문근영

이영애

2위

전도연

전지현

전도연

3위

이영애

이영애

전지현

4위

장진영

김선아

문근영

5위

김선아

강혜정

손예진

6위

김정은

전도연

김선아

7위

김하늘

손예진

이나영

8위

하지원

장진영

임수정

9위

이미연

수애

엄정화

10위

손예진

임수정

하지원

11위

엄정화

하지원

김혜수

12위

이미숙

엄정화

장진영

13위

문소리

문소리

김수미

14위

이나영

김정은

송혜교

15위

신은경

이나영

수애

16위

장나라

염정아

김하늘

17위

이은주

김하늘

문소리

18위

김혜수

최지우

강혜정

19위

고소영

이미숙

최강희

20위

김희선

한가인

고현정

10.5 영화 출연료[ | ]

2013년 9월 4일에 방송된 SBS한밤의 TV 연예[23] 에 따르면 엄정화의 출연료는 3억원대로 이민정, 이나영과 비슷한 수준으로 밝혀졌다. 엄정화보다 많은 출연료를 받는 여자 배우로는 하지원(4억 8천), 손예진(4억 3천), 임수정(4억), 전지현(3억 8천), 김혜수(3억 7천)가 있다.

2005년 세계일보 기사에 따르면[24] 엄정화는 편당 3억~2억5천만원 정도의 출연료를 받으며, 이는 3억5천~3억원 사이의 출연료를 받는 전도연과 장진영보다 약간 낮은 수준이라고 한다.

11 가족 관계[ | ]

  • 아버지: 엄진옥( ~ 1975년)
  • 어머니: 유경숙
  • 남동생: 엄태웅(1974년 4월 5일 ~ )
    • 조카: 엄지온(2013년 6월 18일 ~)

12 각주[ | ]

  1. “살아남는 자가 강한 것이다”. 매거진t. 2008년 7월 24일. 
  2. “서른여덟살의 댄싱퀸, 엄정화 [프레시안] 2008-07-20”. 
  3.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autogenerated1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제공한 텍스트가 없습니다
  4. “엄정화여, 더 도발하라 [한겨레21] 2005-11-03”. 
  5. “엄정화연구, 살아남는 자가 강한 것이다 [매거진t] 2008-07-24”. 
  6. 신윤동욱 (2006년 12월 6일). “나, 팜므파탈을 연기하고 싶다”. 한겨레21. 2013년 2월 11일에 확인함. 
  7. 김영창 (2010년 4월 14일). “이태원, 알고 보니 ‘나와바리’ - 배우 엄정화”. 맥스뉴스. 2013년 2월 11일에 확인함. 
  8. “백지영 "내 롤모델은 마돈나-인순이-엄정화" [아시아경제] 2009-08-08”. 
  9. “서인영, 나의 롤모델은 엄정화 [스포츠서울] 2007-04-18”. 
  10. “손담비, 원래 배우가 꿈, 연기 욕심 많다 [뉴스엔] 2009-04-17”. 2014년 5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5월 9일에 확인함. 
  11. 11.0 11.1 “걸스데이 소진 "이상형은 김강우, 롤모델은 엄정화"[조선일보] 2015-01-22”. 2015년 4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월 24일에 확인함. 
  12. '인기가요' 걸스데이 민아 "엄정화 닮고 싶다"[아시아경제] 2013-03-10”. 
  13. '마녀의 연애' 정연주 "롤모델 엄정화, 라이벌로 만나 영광"[이데일리] 2014-04-09”. 
  14. 1998년 12월 4일 / 스포츠조선 / 전상희 기자 [연예설문] 올 베스트 메이크업 수상자는
  15. “2000년 밀레니엄 최고 스타는 누굴까?(1999년 하반기 순위 언급)”. 
  16. “2000년 밀레니엄 최고 스타는 누굴까?”. 
  17. “[원빈·이영애] '최고 인기 연기자'. 
  18. “최고 흥행 여배우 '톱7' 누구?..1위 김혜수”. 
  19. “엄정화-하지원, 여배우 티켓팅 파워 나란히 1,2위”. 
  20. “관객을 부르는 배우들... 티켓파워 1위는?”. 
  21. “관객흡인력 1위 장동건·문근영”. 2013년 12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2월 2일에 확인함. 
  22. “2006 스타들의 관객 동원력은?”. 
  23. '한밤' 한국 배우들 출연료 공개, 이병헌-송강호 등 가장 높은 6억원대”. 
  24. “[연예인 수입]일류 영화배우 1편당 5억2000년 밀레니엄 최고 스타는 누굴까?”. 

13 외부 링크[ | ]

KBS 연기대상 《여자 우수상》
2002년 2003년
공효진, 엄정화, 추상미
2004년
이태란, 이혜숙 박선영, 한가인
아내》 서현자 역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