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덜란드 풍설서

(9791198063908에서 넘어옴)

1 개요[ | ]

네덜란드 풍설서 - 세계가 쇄국 일본에 전해지다
オランダ風説書―「鎖国」日本に語られた「世界」
네덜란드 풍설서 - 세계가 쇄국 일본에 전해지다
1판 1쇄 발행 2023년 12월 1일
마쓰카타 후유코 지음 이새봄 옮김
편집 정철 표지 디자인 김상만
발행 정철 출판사 빈서재
이메일 pinkcrimson@gmail.com
ISBN 979‑11‑980639‑0‑8 (94910)

가로 128mm X 세로 188mm
275페이지. 22000원.

913 일본사 > 에도 시대
914 동남아시아사 > 인도네시아
925 독일과 중앙유럽사 > 네덜란드

2 이미지[ | ]

Oranda-3.jpgOranda-4.jpg

전체 표지 보기

Oranda-1.jpgOranda-2.jpgOranda-3.jpgOranda-4.jpgOranda-5.jpg

3 목차[ | ]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차 례
차 례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들어가는 말 . . . . . . . . . . . . . . . . . . . . . . . 21
제 1 장 ‘통상’ 풍설서 . . . . . . . . . . . . . . . . . 25
1.1 나가사키와 ‘네개의 창구’ . . . . . . . . . . 26
1.2 ‘쇄국’ 정책의 ‘가상의 적’ . . . . . . . . . . 31
1.3 종류 ·빈도 ·내용 . . . . . . . . . . . . . . 34
1.4 두터운 연구사 . . . . . . . . . . . . . . . . 37
1.5 ‘원문’이 존재했다는 통설 . . . . . . . . . . 39
1.6 통사가 남긴 기록 . . . . . . . . . . . . . . 41
1.7 풍설서의 초안 . . . . . . . . . . . . . . . . 43
1.8 또 다른 초안 . . . . . . . . . . . . . . . . . 48
1.9 ‘원문’은 존재하지 않았다 . . . . . . . . . . 51
제 2 장 무역허가조건으로서의 풍설서 . . . . . . . 55
6
2.1 ‘네 개의 창구’의 정비 . . . . . . . . . . . . 56
2.2 네덜란드의 움직임 . . . . . . . . . . . . . 59
2.3 정보 제공의 의무 공시 . . . . . . . . . . . 60
2.4 막부의 논리 . . . . . . . . . . . . . . . . . 62
2.5 네덜란드 풍설서의 ‘성립’ . . . . . . . . . . 64
2.6 포르투갈 사절 내항 정보 . . . . . . . . . . 67
2.7 통사 영향력의 크기 . . . . . . . . . . . . . 70
2.8 포르투갈과 영국 공모의 소문 . . . . . . . . 73
2.9 포르투갈 사절의 바타비아 기항 . . . . . . 75
2.10 네덜란드와 포르투갈의 휴전 . . . . . . . . 78
2.11 막부의 견책 . . . . . . . . . . . . . . . . . 79
제 3 장 풍설서의 관례화 . . . . . . . . . . . . . . . 83
3.1 동아시아 동란의 최종 국면 . . . . . . . . . 84
3.2 사라져 버린 정보 . . . . . . . . . . . . . . 85
3.3 일본어문 문서의 작성 명령 . . . . . . . . . 88
3.4 ‘유럽과 동인도’의 정보 . . . . . . . . . . . 91
3.5 프랑스 동인도회사 설립과 카롱 . . . . . . 92
3.6 풍설서를 네덜란드어로 번역하다 . . . . . . 96
3.7 프랑스 사절 내항 정보 . . . . . . . . . . . 98
3.8 리턴호 사건 . . . . . . . . . . . . . . . . . 101
3.9 네덜란드 측의 사정 . . . . . . . . . . . . . 103
3.10 정보 집산지로서의 네덜란드 공화국 . . . . 104
3.11 다른 하나의 정보 집산지, 바타비아 . . . . 106
3.12 네덜란드 동인도회사의 정보 배포망 . . . . 108
3.13 회사에게 정보의 의미란 . . . . . . . . . . . 113
제 4 장 위협은 가톨릭에서 ‘서양 근대’로 . . . . . 117
4.1 안정적인 동아시아 . . . . . . . . . . . . . 118
4.2 동란의 유럽 . . . . . . . . . . . . . . . . . 119
4.3 ‘쇄국조법관’ . . . . . . . . . . . . . . . . . 121
4.4 샴 풍설의 시대 . . . . . . . . . . . . . . . 122
4.5 샴 왕실 정크선 등장 . . . . . . . . . . . . . 124
4.6 네덜란드 동인도회사와 샴 . . . . . . . . . 126
4.7 막부는 유럽에 흥미 없음 . . . . . . . . . . 128
4.8 샴 정세와 묶어서 전달하라 . . . . . . . . . 130
4.9 사라져 가는 가톨릭 세력에 대한 두려움 . . 133
4.10 플라시 전투 . . . . . . . . . . . . . . . . . 136
4.11 그들은 뭐든지 믿는다 . . . . . . . . . . . . 138
4.12 어중간하게 전해진 실론 정세 . . . . . . . . 139
4.13 네덜란드 풍설서의 황금시대 . . . . . . . . 141
4.14 무역교섭의 협상패로서의 풍설서 . . . . . . 143
4.15 일본에서의 철수를 검토하다 . . . . . . . . 145
4.16 동인도회사의 소멸 . . . . . . . . . . . . . 148
4.17 조작된 프랑스 대혁명의 정보 . . . . . . . . 149
4.18 레자노프 내항 예고 정보 . . . . . . . . . . 152
4.19 페이튼호가 가져온 정보의 파문 . . . . . . 155
4.20 거짓말을 관철시킨 상관장 . . . . . . . . . 156
4.21 새로운 위협으로서의 ‘서양 근대’ . . . . . . 158
제 5 장 별단 풍설서 . . . . . . . . . . . . . . . . . . 163
5.1 아편전쟁의 발발 . . . . . . . . . . . . . . . 164
5.2 ‘통상’ 풍설서의 네덜란드어 문서 부본 . . . 167
5.3 총독의 결정 . . . . . . . . . . . . . . . . . 169
5.4 아편전쟁 정보로서의 초기 별단 풍설서 . . 171
5.5 난항하는 번역 . . . . . . . . . . . . . . . . 172
5.6 네덜란드어문과 일본어문의 비교 . . . . . . 175
5.7 통사 번역의 특징 . . . . . . . . . . . . . . 178
5.8 동아시아의 영어 신문 . . . . . . . . . . . . 180
5.9 아편전쟁에서 세계의 정보로 . . . . . . . . 183
제 6 장 풍설서의 종언 . . . . . . . . . . . . . . . . 185
6.1 일본의 개항 . . . . . . . . . . . . . . . . . 186
6.2 페리 내항의 예고 정보 . . . . . . . . . . . 187
6.3 그 밖의 일본 관련 정보 . . . . . . . . . . . 189
6.4 바타비아로 보내진 최후의 별단 풍설서 . . 194
6.5 ‘통상’ 풍설서의 종언 . . . . . . . . . . . . 198
6.6 별단 풍설서의 송부 중지 . . . . . . . . . . 202
6.7 1859년, 최후의 풍설서 . . . . . . . . . . . 204
6.8 네덜란드 풍설서의 제3유형 . . . . . . . . 208
맺음말 . . . . . . . . . . . . . . . . . . . . . . . . . . 211
풍설서를 통해 보이는 것 . . . . . . . . . . . . . 211
풍설서의 배경 . . . . . . . . . . . . . . . . . . . 214
통사의 정보 조작과 번역어의 한계 . . . . . . . . 216
서양으로부터의 속삭임 . . . . . . . . . . . . . . 220
보론 : 통역과 ‘네 개의 창구’ . . . . . . . . . . . . . 225
언어의 정치성 . . . . . . . . . . . . . . . . . . . 225
‘네 개의 창구’의 통역 . . . . . . . . . . . . . . . 232
‘일본어’의 창출 . . . . . . . . . . . . . . . . . . 244
후기와 참고문헌 . . . . . . . . . . . . . . . . . . . . 249
저자 후기 . . . . . . . . . . . . . . . . . . . . . 249
역자 후기 . . . . . . . . . . . . . . . . . . . . . 251
주요 참고문헌과 사료일람 . . . . . . . . . . . . 254
에도시대 막부 관직 구조 . . . . . . . . . . . . . 268
찾아보기 . . . . . . . . . . . . . . . . . . . . . . . . . 273

4 출판사 책소개[ | ]

[헤드카피]

일본은 통신사와 왜관을 통해 교류하면서 조선 정보를 얻었다. 마찬가지로 네덜란드를 통해 유럽과 무역을 하고 정보를 얻었으며 네덜란드로부터 받은 보고서가 이 풍설서였다.

  • 네덜란드인은 나가사키 상관에 자리잡아 무역을 하면서, 한줌의 지식을 적당히 엮어넣은 보고서를 에도 막부에 제출했다.
그리고 네덜란드인은 생각했다. “그들은 모두 믿습니다.”
페리의 흑선이 일본에 곧 도착한다는 정보 역시 이 풍설서를 통해 알고있었다.
  • 알고보면 에도 막부는 상대를 쉽게 믿지 않았다. 그래서 막부는 종종 다른 채널로 입수한 정보와 풍설서를 비교했다.
성실하게 더블 체크를 해가며 상대를 압박했다.”
  • 네덜란드의 식민지 경영은 동인도회사를 중심으로 발달했고, 일본과의 무역은 동인도회사의 황금알이자 캐시카우였다.
그래서 네덜란드는 일본의 마음을 붙잡기 위해 필사적이었다.
풍설서는 200년간 지속된 이해타산과 우정의 기록이다.

[간단 소개]

난학이라는 단어는 에도시대를 다룬 일본사 책에서 어김없이 등장한다. 네덜란드 학문이라는 뜻이다. 전근대 시대에 어떻게 그런 학문이 성립할 수 있는지, 또 왜 네덜란드인지 의문이 꼬리를 문다. 난학이란 무엇인지에 관해서라면 한국어로도 출간된 난학자 스기타 겐파쿠의 저서 『해체신서』나 『난학사시』 등을 통해 어느 정도 답을 찾을 수 있다. 하지만 위의 질문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해서는 해당 시기 일본의 대외관계와 도쿠가와 막부의 통치체제에 대한 넓은 시야의 이해가 필요하다.

이 책은 네덜란드 동인도회사의 일본 상관장이 도쿠가와 막부의 요청에 의해 제공한 정보를 적은 이른바 '네덜란드 풍설서'의 역사를 다루고 있다. 양국의 관계가 단순히 무역에 그치지 않고, 일본에서의 난학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었던 단서가 풍설서 작성을 둘러싼 환경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보여주는 책이다. 저자는 풍설서가 성립되기까지의 배경 및 그 내용, 풍설서 전달 과정에서 벌어진 사실관계의 왜곡, 정보의 정확성을 확보하기 위해 막부가 취한 정책 등을 양측의 문서를 통해 세세하게 설명한다.

나가사키에서 네덜란드어 통역을 담당했던 일본의 통사들은 모든 정보의 정확한 전달을 목표로 하지 않아도 처벌받지 않았다. 막부의 관리들도 이를 어느 정도 알고 있었지만 묵인했다. 막부가 필요로 한 정보만 전달되면 문제될 것이 없었기 때문이다. 무역의 유지를 절실히 바랐던 네덜란드 측에서는 그러한 현실에 이렇다할 불만을 말할 처지가 아니었다. 가톨릭 교도의 일본 잠입을 막기 위한 정보 수집이라는 목적 하에 시작된 네덜란드 풍설서는, 시간이 흘러 해당 위험 요소가 사그러들자 점차 형식적인 내용으로 채워지게 되어 간다. 그러나 18세기 말 이후, 국제정세 변화에 따라 네덜란드 풍설서 작성을 둘러싼 제반 상황이 달라지면서 다시 한 번 풍설서는 변화를 겪는다. 프랑스 혁명 이후 유럽의 혼란스러운 상황 속에서 네덜란드 본국은 위기를 맞았고 동인도회사도 해체되었지만, 이를 숨기기 위해 마음 졸이면서도 일본의 네덜란드 상관은 무역관계를 유지했다. 본국에서 1년에 한 번 오던 배가 10여년 간 오지 않는 사태가 벌어졌음에도 버텨냈다. 장기간에 걸친 나가사키의 일본인 사회와의 유대 속에서 싹튼 신뢰 덕분이었다.

저자는 서문에서 조선과 에도 일본의 큰 차이점 중 하나로 서양과의 접촉 경험을 언급하고 있다. 본문에는 조선 이야기도 적지만 등장한다. 나가사키 창구가 네덜란드와의 교류 채널이었던 것처러 쓰시마 창구는 조선과의 채널이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서는 다수의 조선 통신사 연구가 나와있으니 자세히 살펴볼 수 있겠다. 에도 막부에게 조선 통신사가 어떤 의미였을까를 객관적으로 이해하려면 적어도 네덜란드 풍설서에 대한 개괄적인 이해가 필요하다. 조선과 에도 막부의 교류 역시 `우정과 이해 타산의 기록'이라 생각해도 틀리지 않을 것이다. 쓰시마 역시 에도 막부와 조선 양쪽의 심기를 건드리기 위해 지속적으로 문서 위조를 수행한 것은 이젠 널리 알려져있다.

이 책이 중요한 이유는 풍설서를 종합적으로 사실상 유일한 개설서라는 것도 있지만, 네덜란드 사료와 일본 사료를 교차 검토하여 네덜란드 풍설서를 통해 형성된 관계의 입체성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상호 간의 우정과 이해 타산의 역사가 고스란히 담긴 이 흥미로운 문서의 세계는, 전혀 다른 타자를 이해하는 방식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줄 것이다.

5 책속 한구절[ | ]

에도시대의 일본은 완전히 나라를 걸어 잠그고 있던 것이 아니다. 나가사키는 쇄국 일본의 유일한 창이 아니며 네덜란드 풍설서도 또한 막부의 유일한 해외정보원이 아니었다. (그런 의미로 ‘쇄국’에는 따옴표를 붙였다.) 1960년대 이전 “에도시대 일본은 나라를 걸어 잠궜다” 라는 설이 지배적이었던 때에 바깥 세계로 상정되었던 것은 유럽과 아메리카 뿐이었다. 그 후 동아시아에 역점을 둔 대외관계 연구가 크게 진전되었다. 그 결과 에도시대의 일본은 ‘쓰시마對馬 창구’로 조선과, ‘사쓰마薩摩 창구’로 ‘류큐琉球’와, ‘마쓰마에松前 창구’로 아이누와, ‘나가사키 창구’로 네덜란드인이나 당인唐人 (중국인이 주체지만 동남아시아 사람들도 포함)과 연결되어 있었다, 라고 생각하는 것이 현재 정설이 되었다. 이들 ‘창구’를 합해서 ‘네 개의 창구’라고 부른다. 시기에 따라서 변모하기는 하지만 이 ‘네 개의 창구’는 잘 생각해보면 일본이 국교를 맺지 않은 중국에 간접적으로 이어지기 위한 경로였다. 중국에서 생산되는 생사·견직물 등을 안정적으로 입수하고, 한문책이나 그림 등을 통해 배우고 싶다는 욕구는 일본 국내에서 대단히 강했던 것이다. – [p29]

1645년 2월 에도 상경 중이던 상관장 피터르 안토니스 오버르트바터르는 이노우에 마사시게로부터 갖가지 질문을 받았다. 이노우에는 기리시탄 단속을 담당하는 슈몬아라타메야쿠라는 직무에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상관 장이 에도에 왔을 때를 이용해 네덜란드인으로부터 직접 포르투갈인 등에 관한 정보를 얻으려고 했던 것이다. 고아에서 바타비아까지의 거리, 포르투갈선이 내항할 때 영국이 원조할 가능성, 마카오의 영국선이 일본에 왔을 경우 선원을 살해하면 영국인은 복수할 것인가, 영국인과 포르투갈인이 연합하면 일본에 손해를 끼칠 정도로 강력해지는가 등이다.– [p74]

18세기 중반 일본에서의 정보 제공에 관해 네덜란드인과 경합하는 상대는 없었다. 네덜란드인이 하는 말을 일본인은 무엇이든지 믿는다고 상관장이 느낄 정도였던 것이다. 중국에서 오는 정보는 류큐나 조선 경유로도 전달이 되고 있었지만 거기에 막부가 커다란 위협을 느낄 만한 요소는 없었다. 정크선은 더 이상 동남아시아의 소식을 가져오지 않았다. 포르투갈인이나 스페인인 등의 선교사 밀입국도 중단되었다. 그 때문에 오늘날 말하는 베트남 서쪽의 정보는 네덜란드인이 독점적으로 공급했던 것이다.– [p141]

북미합중국 정부가 일본과 무역관계를 맺기 위해서 그곳으로 보낼 예정인 원정대에 관해 또다시 소문이 돌고 있다. 합중국 대통령이 일본에게 쓴 서한 한 통을 들고 일본인 표류민 몇 명을 대동한 사절이 일본으로 파견된다는 내용이다. 그 사절은 합중국 시민의 무역을 위해 일본의 항구 몇 군데를 개방하고자 하고 있으며, 또한 일본의 적당한 항구 한 곳에서 석탄을 저장할 수 있도록 허가를 구할 것이라고 한다. 후자의 항구는 미국이 캘리포니아와 중국과의 사이를 연결시키고자 계획하고 있는 증기선의 항로를 위해 필요로 하고 있다. 현재 중국 해역에는 미국의 증기 호위함인 서스케하나 호와 초계함인 새러토가 호, 플리머스 호, 세인트 메리 호 및 반달리아 호가 있다. 이들 함선이 에도에 사절을 보내도록 명을 받은 듯하다. 최근에 받은 보고에 의하면 원정군 사령관 올릭 준장은 페리 준장과 교체될 것이라는 소식이다. 또한 이미 중국 해역에 있는 미해군은 증기함 미시시피호, 프린스턴호, 브릭함 페리호 및 운송선 서플라이호로 증강된다고 한다. 신문에 의하면 상륙용과 더불어 포위전용의 자재도 실렸다. 하지만 이들 함선의 출발은 상당히 늦어질 것이라고 보도되고 있다. (풍설서에 보고된 페리 내항의 정보) – [p185]

6 저자 / 역자 소개[ | ]

마쓰카타 후유코(松方冬子) 지음. 1966년 출생. 도쿄(東京)대학 사료편찬소 교수. 도쿄대학 문학부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7년 박사학위 논문을 단행본으로 출간한 『네덜란드 풍설서와 근세 일본(オランダ風說書と近世日本)』으로 가도카와겐요시(角川源義賞) 상을 받았다. 편저로 『別段風說書が語る19世紀―翻譯と研究―』(東京大學出版會, 2012), 『國書がむすぶ外交』(東京大學出版會, 2019) 등이 있다.

이새봄 옮김. 1980년 출생. 세이케이(成蹊)대학 법학부 정치학과 교수. 도쿄대학에서 19세기 일본사상사 전공으로 학위를 받았다. 박사학위 논문을 토대로『「自由」を求めた儒者-中村正直の理想と現實』(中央公論新社, 2020)를 출간했다. 저역서로 『메이로쿠 잡지』(빈서재, 2021), 와타나베 히로시(渡邊浩)의 『동아시아의 왕권과 사상』 한국어 번역본(고려대학교출판문화원, 2023)이 있다.

[출판사 / 총서 소개]

에도 말기와 메이지유신 전환기를 주로 공부하는 박훈 교수는 도쿠가와 시대를 다룬 연구서가 매우 적다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주변의 연구자들을 모으고 때를 기다리다가 플라톤 아카데미와 함께 연구서를 출간할 기회를 마련했다. 한일관계가 나빠질수록 서로를 알아야 미래를 기약할 수 있다는 생각으로 그간 외면되었던 일본 근세와 근대의 주요 연구를 소개하고자 한다. 빈서재 출판사는 이에 호응하여 연구총서를 준비했다.

7 띠지의 추천서 목록[ | ]

한중일 관계사 고전/사료 소개
  • 근세 한일관계 사료집 동북아역사재단
  • 해유록, 조선 선비 일본을 만나다 신유한 / 보리
  • 통신사 사행록 번역총서 보고사
  • 국역 청계중일한관계사료 동북아역사재단
  • 유구·여송 표해록 연구 다와타신이치로 / 박문사
  • 아시아의 표해록 장등계 외 / 소명
  • 세종실록 속의 대마도·일본 기사 소명
  • 청국표류도 모리야마 테이지로 / 소명
  • 조선표류일기 야스다 요시카타 / 소명
에도시대 대외관계 연구서 소개
  • 해양과 동아시아의 문화교류 중국해양대학교·고려대학교 연구단 / 경진
  • 일본 근세의 쇄국이라는 외교 로널드 토비 / 창해
  • 19세기 조선의 대일 역지통신 연구 이와카타 히사히코 / 경인문화사
  • 조선통신사 이야기 나카오 히로시 / 한울
  • 난학의 세계사 이종찬 / 알마
  • 조선시대 일본의 대외 교섭 민덕기 / 경인문화사
  • 조선 후기 왜관의 세계 윤유숙 / 동북아역사재단
  • 왜관 다시로가즈이 / 논형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