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
王의 女子 | |
장르 | 대하사극 |
---|---|
방송 국가 | ![]() |
방송 채널 | SBS |
방송 기간 | 2003년 10월 6일 ~ 2004년 3월 2일 |
방송 시간 | 월, 화 밤 9시 55분 ~ 10시 55분 |
방송 분량 | 1시간 |
방송 횟수 | 42부작 |
원작 | 박종화의
|
기획 | 운군일 |
연출 | 김재형, 정효 |
조연출 | 백수찬 |
극본 | 윤정건 |
출연자 | 박선영, 지성 외 |
해설 | 유강진 |
《왕의 여자》(王의 女子)는 2003년 10월 6일부터 2004년 3월 2일까지 방영된 SBS 월화드라마로, 월탄 박종화의 《자고 가는 저 구름아》를 원작으로 하였으며, 광해군과 김개시의 파란만장한 생애를 그렸는데 당초 TBC 동양방송에서 처음 기획됐으나[1] 이 채널이 1980년 말 폐국되는 바람에 좌절됐었다.
1 등장 인물[ | ]
1.1 주요 인물[ | ]
1.2 주변 인물[ | ]
1.2.1 조선의 국왕[ | ]
1.2.2 조선의 왕비 / 후비[ | ]
1.2.3 조선의 대군 / 세자[ | ]
1.2.4 조선의 공주 / 옹주[ | ]
- 미상 : 정명공주 역
1.2.5 조선의 대군부인 / 세자부인[ | ]
1.2.6 조선의 문신[ | ]
- 이훈 : 이한민 역
- 안대용 : 이산해 역
- 임혁 : 이이첨 역
- 이두일 : 이기축 역
- 김병기 : 맹지천 역
- 최종환 : 유희분 역
- 라재웅 : 유희발 역
- 윤주상 : 정철 역
- 민욱 : 이흥립 역
- 정동환 : 유영경 역
- 김형일 : 서양갑 역
- 최병학 : 허준 역
- 박진성 : 허균 역
- 원석연 : 박승종 역
- 임혁주 : 이정구 역
- 임병기 : 조필두 역
- 최동준 : 정인홍 역
- 황덕재 : 이준경 역
- 전병옥 : 정창연 역
- 김경응 : 최유원 역
- 김시원 : 한희길 역
- 서학 : 홍여순 역
- 이대로 : 이민성 역
- 송금식 : 이일 역
- 백인철 : 신립 역
- 이우석 : 추빈 역
- 유종근 : 정탁 역
- 한인수 : 이항복 역
- 김호영 : 이덕형 역
- 허현호 : 류성룡 역
- 정호근 : 엄일괴 역
- 김효원 : 최명길 역
- 강인덕 : 이원익 역
- 신귀식 : 김제남 역
- 김영찬 : 신성군 역
- 정진 : 우해월 역
- 김학철 : 김공량 역
- 기정수 : 이귀 역
- 김광영 : 이경전 역
- 김진호 : 김류 역
- 이지형 : 권필 역
- 김천만 : 양각 역
- 김용운 : 금부도사 역
- 권성덕 : 김희철 역
- 송석호 : 이해수 역
- 권태원 : 이순신 역
- 박승호 : 김성일 역
- 이도련 : 허욱 역
- 이춘식 : 서천수 역
- 이재구 : 곽재우 역
- 한상혁 : 조헌 역
1.2.7 조선의 상선 / 상궁[ | ]
1.2.8 그 외 인물[ | ]
1.2.9 일본[ | ]
- 정승현 : 도요토미 히데요시 역
- 강인기 : 구로다 나가마사 역
- 박경득 : 고니시 유키나가 역
- 이재연 : 가토 기요마사 역
- 김준모 : 소 요시토시 역
- 박귀순 : 게이테쓰 겐소 역
- 양형호
- 이승형
- 김윤형
2 결방 및 2회 연속 방영[ | ]
- 2003년 12월 29일 : 〈SBS 가요대전〉 편성으로 인해 결방
- 2003년 12월 30일 : 송년특집 〈빅스타 명장면 NG 열전 - 패러디 열전〉 편성으로 인해 결방
- 2004년 3월 1일 : 신사옥 오픈 기념 특선영화 《해리 포터와 마법사의 돌》 편성으로 인해 결방
- 2004년 3월 2일 : 41~42회 연속 방영
3 참고 사항[ | ]
- 원래 《여인천하》를 집필한 유동윤 작가가 집필자로 낙점되었으나[2], KBS 1TV 《무인시대》를 집필 중이라 고사하여 윤정건 작가가 대신하였다.[3]
- 캐스팅으로 어려움을 겪었다.[4] 심은하를 캐스팅하려 하였으나 연예계 은퇴 선언을 하며 출연 고사를 하여, 박선영이 주인공으로 확정됐다.[5]
- 집필자와 캐스팅 문제로 전작 《야인시대》가 100부작에서 24회 늘린 124부작으로 막을 내렸다.[6]
- 원래 78부작으로 기획됐으나 시청률이 낮아 42회 만에 조기 종영되었다.
- 담당 PD 김재형이 연출한 《여인천하》의 복사판이란 지적이 있었다.[7]
4 같이 보기[ | ]
5 각주[ | ]
- ↑ 이서라 (2003년 4월 30일). “<사극 맞수> 이병훈 PD <대장금> 8월 방송 : 김재형 PD <왕의 여자> 준비”. PD저널. 2020년 8월 7일에 확인함.
- ↑ 김영현 (2003년 2월 24일). “작가가 요구한 `야인시대` 연장방송”. 중앙일보(일간스포츠). 2018년 11월 18일에 확인함.
- ↑ 김태경 (2003년 3월 2일). “[방송가] KBS '장희빈' 작가 집필 중단”. 국제신문. 2016년 10월 4일에 확인함.
- ↑ 김영현 (2003년 8월 15일). “"박선영 인기는 심은하 언니 수준"”. 중앙일보(일간스포츠). 2018년 11월 18일에 확인함.
- ↑ 김영현 (2003년 8월 15일). “"박선영 인기는 심은하 언니 수준"”. 일간스포츠. 2015년 7월 14일에 확인함.
- ↑ 김영현 (2003년 2월 24일). “작가가 요구한 `야인시대` 연장방송”. 중앙일보(일간스포츠). 2018년 11월 18일에 확인함.
- ↑ 강명석 대중문화평론가 (2003년 12월 24일). “[강명석의 TV홀릭] 한 해를 돌아보며”. 스포츠한국. 2017년 2월 4일에 확인함.
6 외부 링크[ | ]
- 위키백과 "왕의 여자"
위키낱말사전 "왕의 여자"
- 다음사전 "왕의 여자"
- 다음백과 "왕의 여자"
- 네이버사전 "왕의 여자"
네이버백과 "왕의 여자"
나무위키 "왕의 여자"
- 리브레 위키 "왕의 여자"
SBS 월화드라마 | ||
---|---|---|
이전 작품 | 작품명 | 다음 작품 |
야인시대
(2002년 7월 29일 ~ 2003년 9월 30일) |
왕의 여자
(2003년 10월 6일 ~ 2004년 3월 2일) |
2004 인간시장
(2004년 3월 8일 ~ 2004년 5월 11일) |
편집자 가수티파니영은내아내이자운명
로그인하시면 댓글을 쓸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