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기본 정보 | |||||||||||||||||||||||||||||||||||||||||||||||||||
---|---|---|---|---|---|---|---|---|---|---|---|---|---|---|---|---|---|---|---|---|---|---|---|---|---|---|---|---|---|---|---|---|---|---|---|---|---|---|---|---|---|---|---|---|---|---|---|---|---|---|---|
국적 | 대한민국 | ||||||||||||||||||||||||||||||||||||||||||||||||||
생년월일 | 1975년 1월 2일 | (50세)||||||||||||||||||||||||||||||||||||||||||||||||||
출신지 |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 ||||||||||||||||||||||||||||||||||||||||||||||||||
신장 | 180 cm | ||||||||||||||||||||||||||||||||||||||||||||||||||
체중 | 85 kg | ||||||||||||||||||||||||||||||||||||||||||||||||||
선수 정보 | |||||||||||||||||||||||||||||||||||||||||||||||||||
투구·타석 | 우투우타 | ||||||||||||||||||||||||||||||||||||||||||||||||||
수비 위치 | 투수 | ||||||||||||||||||||||||||||||||||||||||||||||||||
프로 입단 연도 | 1997년 | ||||||||||||||||||||||||||||||||||||||||||||||||||
드래프트 순위 | 1997년 1차 지명(롯데 자이언츠) | ||||||||||||||||||||||||||||||||||||||||||||||||||
첫 출장 | KBO / 1997년 4월 12일 광주 대 해태전 구원 | ||||||||||||||||||||||||||||||||||||||||||||||||||
마지막 경기 | KBO / 2015년 10월 21일 잠실 대 두산전 선발 | ||||||||||||||||||||||||||||||||||||||||||||||||||
획득 타이틀 | |||||||||||||||||||||||||||||||||||||||||||||||||||
계약금 | 5억원 | ||||||||||||||||||||||||||||||||||||||||||||||||||
경력 | |||||||||||||||||||||||||||||||||||||||||||||||||||
선수 경력 코치 경력 | |||||||||||||||||||||||||||||||||||||||||||||||||||
대한민국 국가대표팀 | |||||||||||||||||||||||||||||||||||||||||||||||||||
올림픽 | 1996년, 2000년 | ||||||||||||||||||||||||||||||||||||||||||||||||||
WBC | 2006년, 2009년 | ||||||||||||||||||||||||||||||||||||||||||||||||||
아시안게임 | 1994년, 2006년 | ||||||||||||||||||||||||||||||||||||||||||||||||||
월드컵 | 1994년 | ||||||||||||||||||||||||||||||||||||||||||||||||||
아시아선수권 | 1995년 | ||||||||||||||||||||||||||||||||||||||||||||||||||
메달 기록
|
손민한(孫敏漢[1], 1975년 1월 2일 ~ )은 전 KBO 리그 NC 다이노스의 투수이자, 현 KBO 리그 NC 다이노스의 투수코치이다.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의 선수로도 활약하여 시드니 올림픽에서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과 아시안 게임에도 참가해 메달을 획득했다.
1 플레이 스타일[ | ]
아마 시절엔 150Km까지 던질 수 있는 불같은 강속구를 갖고 있었으나 혹사에 기인한 부상으로 인해 빠른공보다는 코너웍을 바탕으로 하는 스타일로 전환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력 투구시 최고 148km/h의 강속구를 던질 수 있었다. 물론 2009년 어깨 부상을 당한 이후에는 다소간의 구속 하락은 있었지만 NC에서 불펜으로 활약하던 시절에도 140km대 초중반의 직구 평속은 기록했다.
초창기에는 부상과 팀 성적과 맞물려 좋은 내용을 보여주지는 못했지만, 2004년 점차 만개하여 마침내 2005년에는 방어율 2.46에 18승 7패 1세이브, 방어율과 다승 부문 2관왕 및 MVP, 투수 골든 글러브 등 화려하게 떠오른다. 이해 롯데의 성적은 5위였다. 팀이 포스트시즌에 진출하지 못했음에도 MVP를 수상한 최초의 선수이다. 그 후로도 10승은 보장해주는 활약을 보였으며, [21] 2007년에는 상조회장으로 있으면서도 좋은 성적을 거둬, 그간 있던 '롯데 상조회장이 되면 성적이 막장화된다'라는 징크스도 깨버렸다. 최동원-윤학길-주형광을 이은 에이스. 2000년대 롯데 마운드의 기둥이라 할 수 있는 선수이다.[22]
위 연혁에도 잠깐 언급되었지만 투구 패턴이 정 반대로 바뀐 타입의 투수. 아마때의 활약을 본 사람들의 증언에 따르면 140km/h 후반대의 직구와 커브, 슬라이더 위주의 투구를 펼쳤다고 한다. 실제로 프로 초창기 및 2001년에만 해도 어느 정도는 직구에 의존하는 투구 패턴을 보이기도 했다. 다만 파워피칭이라고 할 지라도 탈삼진 능력이 빼어나지는 않았다. 투구 스타일을 바꾼후엔 포크볼을 장착하여[23][24] 다양한 구종으로 맞춰잡는다. 이 포크볼의 구위는 매우빼어나며 손민한이 삼진을 잡을때 주로던지는 결정구이다.[25] 물론 삼진을 잡아내기보단 내야땅볼 유도를 더 많이 하는 편이다. 투구폼으로 봐도 와인드업을 거의 하지 않은 채 던지기 일쑤라 모르는 사람이 보면 참 성의없이 설렁설렁 던지는 것처럼 보이지만, 이를 통해 빠른 타이밍으로 주자의 움직임을 최소화 하고 볼 판별 시간을 줄이는 등 많은 효과를 보고 있다. 물론 와인드업시 전력투구를 할 때는 147~148km/h 정도의 공을 던질수 있는 듯 하다. 하지만 대개 와인드업을 생략하고 빠른 타이밍으로 던지면서 140km/h 초반대의 직구와 변화구로 맞춰잡는 투구를 구사하며 많은 재미를 보고 있다.
어쨌든 손민한 최고의 강점은 소위 습관이 분명한 편인데도 불구하고, "원하는 곳에 원하는 구질을 찔러넣어" 상대 타자를 잡아내는 데 있다고 하겠다. 원하는 곳, 원하는 구질임에도 공략이 어려운 이유는 대략 타자가 정확히 노린 곳과 2%의 차이로 요약할 수 있을 손민한의 로케이션 능력. 손민한의 전성기에 주자 있는 상황에 맥없는 투수땅볼로 병살을 엮어내는 장면은 그의 피칭 스타일을 가장 잘 보여주는 장면이 아닐까 싶다. 전성기때는 한이닝에 안타 두개 이상씩 맞고도 이 스킬로 실점은 안하고 꾸역꾸역 무실점 행진하는 모습을 많이 보여줘 타팀 팬들이 뒷목을 잡다가 운민한이라는 별명을 붙이면서 열폭한 적도 있었다. 그도 그럴것이 그냥 보는 입장에서는 금방 털릴것 같은 투수를 못털고 병살타로 자폭해버리니 손민한이 운이 좋아보인다는 것이었는데 그야말로 야구 모르는 인간들의 헛소리. 이런 범타 유도를 통한 맞춰잡기는 필연적으로 피안타율을 높일 수밖에 없다. 상식적으로 매 투구가 완벽하게 로케이션될 수 있다면 손민한은 지금쯤 팀을 한국시리즈 정상에 올려놓았을 것이다.
참고로 역대 투수중 최고의 수비실력을 가지고 있다는 평도 있다. 번트나 내야 땅볼 처리 능력이 탁월하다는 이야기. 그래서 공을 던진 후에는 한명의 내야수라는 소리도 한다.
2 선수 시절[ | ]
2.1 아마추어 시절[ | ]
부산고등학교 2학년 때인 1991년 제 43회 화랑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에서 염종석, 주형광 등과 함께 부산고등학교의 우승을 이끌었다. 3학년이던 1992년에는 세계청소년야구선수권대회에 국가대표팀으로 선발됐으나[2] 메달을 획득하지 못했다. 이후 1993년 고려대학교 체육교육학과에 진학했다. 1995년에는 아마야구 최우수선수상을 수상했다.
2.2 롯데 자이언츠 시절[ | ]
1997년 신인 드래프트에서 롯데 자이언츠는 부산고등학교 동기이자 고려대학교 체육교육학과 시절까지 배터리로 함께한 포수 진갑용 중 누구를 선택할지 고심하다가 투수인 그를 지명했다. 진갑용은 웨이버 방식으로 진행된 2차 지명에서 전년도 최하위였던 OB 베어스의 2차 1순위 지명을 받았고, 입단 2년 후 트레이드 마감일이었던 1999년 7월 31일 삼성에 트레이드되었다. 1996년 12월 20일에 입단식을 가졌으며, 계약금 5억원, 연봉 2,000만원에 계약했다. 이 액수는 당시 임선동(7억)에 이어 차명주(5억)와 함께 역대 두 번째로 많은 계약금이었다. "프로에 적응력을 키우는 것이 최우선이고 팀 전력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선수가 되도록 노력하겠다."라고 소감을 밝혔다.[3] 입단 초기에는 같은 해에 입단한 문동환과 함께 미래의 에이스 후보로 떠올랐다. 그러나 입단 첫 해 개막전에 등판하여 끝내기 폭투를 범해 데뷔 전에서 패전 투수가 됐고 이후 3년 간은 부상으로 이렇다 할 활약은 하지 못하고 4년째인 2000년에 12승을 올려 간신히 기대에 부응했다. 시드니 올림픽 대표팀으로 발탁되어 팀이 동메달을 획득해 병역 혜택을 받았다. 2001년에는 신윤호와 함께 15승(신윤호는 구원으로만 15승, 손민한은 선발로만 15승)으로 최다승 및 승률왕 타이틀을 획득했다. 그러나 2002년과 2003년에 또 다시 부진에 빠져, 한 자리수 승리에 그쳤다. 2004년 전반기에는 마무리 투수로 활약했으나 8세이브로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그러나 2004년 7월 12일 박석진, 김대익과의 트레이드로 노장진, 김승관이 입단하여 노장진이 마무리를 맡게 되자 2004년 후반기부터 다시 선발로 전향하여 9승을 거두어 재기 가능성을 보였다. 그리고, 2005년에 18승을 거두며 완벽히 재기하여 최다 승과 평균 자책 1위 등 2관왕을 차지하고, MVP를 수상했으며 17선발승으로[4] 86년 선동열[5]과 정규시즌 MVP 최다 선발승 타이기록을 세웠지만 다음 해 류현진(18선발승), 2007년 리오스 (22선발승)[6]에 의해 갱신되기도 했다. 포스트 시즌에 진출하지 못한 팀에서 MVP가 나온 사례는 1982년 KBO 리그가 출범한 이래 그가 유일했으며 2012 시즌 넥센 히어로즈의 박병호가 두 번째로 포스트시즌에 진출하지 못한 팀에서 MVP가 나왔다. 2006년 WBC 국가대표팀에도 선발되어 미국전에서 선발 투수로 호투해 승리 투수가 되었다. 2008 시즌에는 리그에서 가장 많은 퀄리티스타트와 퀄리티스타트+(각각 21회, 18회)를 하고도 계투진의 난조와 유독 손민한이 등판했을 때 타선의 지원 부족으로 단 12승밖에 거두지 못하는 불운을 겪었다. 2008 시즌 후 FA 자격을 얻어 롯데 자이언츠와 재계약하였다. 또한 2009년 WBC 대표팀의 주장으로 뽑혔다. 하지만 결승전까지 단 1경기에도 등판하지 않았는데, 그 이유는 컨디션 난조 때문이었으며 실제로 그는 그 때 어깨가 좋지 않았다. 이를 본 팬들은 "그가 실종됐다"는 패러디성 유머를 만들어 희화화하기도 했다.[7] 2009 프로 야구가 개막한 이후로도 자신이 회장으로 있던 선수협의 노조 결성 논란으로 인해 출전이 없었다가, 2009년 6월 7일 두산 베어스전에 2008년 준 플레이오프 2차전 이후 7개월만에 1군 경기에 등판하여 6이닝 동안 무실점으로 팀의 영봉승을 이끌어 냈다.[8] 같은 해 6월 26일에 한화 이글스전에서 역대 20번째 통산 100승을 거뒀다. 그러나 그는 2009년 WBC 때부터 안 좋은 어깨 때문에 2009년 10월 2일 미국 LA 다저스 지정병원인 조브 클리닉에서 감바델라 박사의 집도로 오른쪽 어깨 관절경 수술을 받았다. 수술 후 미국에서 1차 재활을 마친 뒤 귀국해 2010 시즌까지 계속 재활 훈련을 했다. 그러나 재활 훈련 도중 통증이 재발되어 복귀가 무산됐고 2011년에도 시범 경기에 등했으나 또 다시 악순환을 거듭하여 결국 회복하지 못하고 시즌 후 방출됐다.[9]
2.3 NC 다이노스 시절[ | ]
2.3.1 2013년 시즌[ | ]
방출 후 당시 신생 구단이었던 NC 다이노스의 입단 테스트를 받았다. 우여곡절 끝에 선수협 문제가 해결됐고 메디컬 테스트도 통과했다. 하지만 결국 정식 선수 등록 마감일까지 이적할 팀을 찾지 못했다. 2013년에 선수로 복귀하기 위해서 신고선수로 입단해 6월 1일 이후부터 1군 등록이 가능한 신고선수 등록 기간에 돌아오는 길밖에 없었다. NC 다이노스에서도 그의 부상 이력 때문에 최대한 몸을 만들 때까지 복귀를 서두르지 않을 거라 판단하고, 코칭스태프가 전지 훈련을 마치고 돌아오는 3월에 테스트를 거쳐 신고선수 영입 여부를 결정하려고 했다.[10] 이후 2013년 4월 15일에 연봉 5,000만원의 조건으로 신고선수 계약을 맺었다. 퓨처스 팀에 합류해, 몸 상태를 고려하여 퓨처스 경기에 등판했다.[11] 2013년 6월 5일 노성호를 대신해 4년 만에 1군 경기에 올라왔다. SK 와이번스전에서 선발 등판하여[12] 1,378일 만에 1군 복귀전을 치뤘고, 김광현을 상대로 1,407일 만에 선발 승을 거뒀다.[13] 2013년 6월 한 달 동안 4경기에 선발 등판해 3승, 평균자책 0.77, 8탈삼진으로 활약했으며, KBO 리그 6월 MVP에 선정됐다.[14] 하지만 그는 선발로 나설 때마다 투구 수에 대한 부담으로 당시 감독이었던 김경문에게 불펜 전환 의사를 표명했고, 김경문도 이를 승인해[15] 불펜으로 전환했으며, 마무리 투수도 겸했다. 2013년 7월 24일 삼성 라이온즈전에서는 데뷔 첫 홀드를 기록했다.[16] 2013년 8월 13일 한화 이글스전에서는 프로 데뷔 후 처음으로 타석에 섰으나, 김혁민을 상대로 삼진을 당했다.[17]
2.3.2 2014년 시즌[ | ]
2014년 4월 24일 SK 와이번스와의 경기에서 2이닝 1실점을 기록하면서 역대 18번째 1600이닝을 달성했다.[18] 5월 13일 KIA 타이거즈와의 경기에서 역대 15번째 통산 110승을 구원 승으로 기록했다.[19] 시즌 52경기에 등판해 48.1이닝, 4승 4패, 1세이브, 9홀드, 평균자책점 3.54를 기록했다.
2.3.2.1 준플레이오프[ | ]
준플레이오프 4경기에 모두 출장해 3이닝 2피안타, 무실점을 기록했다. LG 트윈스와의 3차전에서 한 점차로 추격을 허용했으나 홀드를 기록했다.[20]
방어율 | 경기수 | 승 | 패 | 세이브 | 홀드 | 완투 | 완봉 | 이닝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사구 | 삼진 | 실점 | 자책 | 비고 |
---|---|---|---|---|---|---|---|---|---|---|---|---|---|---|---|---|
0.00 | 4 | 0 | 0 | 0 | 1 | 0 | 0 | 3 | 2 | 0 | 0 | 0 | 0 | 0 | 0 |
2.3.3 2015년 시즌[ | ]
2015년 시즌에서 선발진에 합류하며 시즌을 시작했다. 4월 5일 한화 이글스와의 경기에서 6이닝 5피안타, 3탈삼진, 1실점(비자책)으로 선발 승을 기록했다. 그는 40세 3개월 3일의 나이로 송진우, 박철순에 이어 3번째 최고령 선발 승을 기록했다.[21] 5월 28일 두산 베어스와의 경기에서 역대 17번째 통산 7,000타자 상대를 달성했다.[22] 경기에서는 6이닝 5피안타, 1볼넷, 무실점으로 시즌 6승을 기록했고, 이 승리로 팀 창단 최다 연승인 8연승을 기록했다. 6월 18일 kt 위즈와의 경기에서 5이닝 6피안타, 3탈삼진, 4실점(2자책)을 기록하면서 시즌 7승을 기록했으며, 역대 19번째 통산 1700이닝을 기록했다.[23] 6월 24일 KIA 타이거즈와의 경기에서 5이닝 5피안타, 2볼넷, 2탈삼진, 무실점으로 시즌 8승이자 역대 13번째 개인 통산 120승을 달성했다.[24] 2015년 한국프로야구 올스타전에 감독 추천 선수로 발탁됐다. 특히, 올스타전 기준 나이 40세 6개월 16일로 종전 최고령 투수이던 김용수의 40세 2개월 21일을 깨고 최고령 올스타전 투수가 됐다.[25] 7월 24일 두산 베어스와의 경기에서‘오른손 투수’중 최고령 선발 등판 기록을 갱신했다. 40세 6개월 22일의 나이로 종전 기록인 박철순의 40세 5개월 23일을 갱신했고, 송진우, 구대성에 이어 역대 세 번째로 많은 나이에 선발 등판한 선수가 됐다. 경기에서는 2.1이닝 6피안타, 1사구, 5실점으로 패전 투수가 됐다.[26] 9월 11일 넥센 히어로즈와의 경기에서 5이닝 5피안타(1피홈런), 1탈삼진, 2실점을 기록하면서 시즌 10승을 기록했다. 이는 2008년 시즌 12승을 거둔 후 7년만이었으며, 40세 8개월 9일로 역대 최고령 10승 투수가 됐다.[27] 2015년 시즌 26경기에 등판해 105이닝, 4점대 평균자책점 4.89, 11승 6패, 50탈삼진을 기록했다.
2.3.3.1 플레이오프[ | ]
10월 21일 두산 베어스와의 플레이오프 3차전에서 선발 등판해 5이닝 3피안타, 3볼넷, 2실점(1자책)을 기록하며 승리 투수가 됐다. 이 승리로 포스트시즌 최고령 선발 승리 투수(40세 9개월 19일)로 기록됐고, 롯데 자이언츠 시절인 1999년 10월 17일 삼성 라이온즈를 상대로 플레이오프 5차전에서 승리한 이후 16년 만에 포스트시즌 승리 투수가 됐다.[28]
방어율 | 경기수 | 승 | 패 | 세이브 | 홀드 | 완투 | 완봉 | 이닝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사구 | 삼진 | 실점 | 자책 | 비고 |
---|---|---|---|---|---|---|---|---|---|---|---|---|---|---|---|---|
1.80 | 1 | 1 | 0 | 0 | 0 | 0 | 0 | 5 | 3 | 0 | 3 | 1 | 0 | 2 | 1 |
시즌 후 은퇴를 선언했다.
3 야구선수 은퇴 후[ | ]
은퇴 선언 직후 2016년부터 NC 다이노스의 유소년팀 코치로 활동했다. 2017년에는 김해대곡초등학교에 티볼을 코치하러 왔다.
2018년 시즌 후 이동욱 수비코치가 감독으로 승격되자 NC 다이노스의 1군 수석코치 겸 투수코치로 활동했으며, 2019 시즌 후 강인권을 수석코치로 새로 영입하면서 투수코치로만 나서게 됐다.
4 경력[ | ]
4.1 수상[ | ]
- 1995년 : 제 29회 대통령기 전국대학야구대회 최우수선수
- 1995년 : 아마야구 최우수선수상
- 2001년 : 한국프로야구 다승왕 (15승)(선발로만 15승을 거둬 최다 선발승), 승률 1위(0.714), 최다 선발승(15선발승)
- 2005년 : 한국프로야구 다승왕 (18승)(17선발승으로 1986년 선동열과[29] 당시 정규시즌 MVP 최다 선발승 타이), 평균자책점 1위 (2.46), 최우수선수, 골든 글러브 투수상, 최다 선발승(17선발승)
- 2013년 : 한국프로야구 6월 MVP
4.2 국가대표 경력[ | ]
- 1992년 : 세계 청소년 야구 선수권 대회 대회 대표
- 1994년 : 아시안 게임 대표
- 1996년 : 하계 올림픽 대표
- 2000년 : 하계 올림픽 대표
- 2006년 : 제 1회 2006년 WBC 대표
- 2006년 : 아시안 게임 대표
- 2009년 : 제 2회 2009년 WBC 대표
5 한국프로야구선수협회 사건[ | ]
2007년 12월 16일에 열린 한국프로야구선수협회 정기총회에서 2008년 ~ 2009년을 이끌어갈 선수협회회장으로 선출됐다.[30] 2008년 현대 유니콘스의 해체를 막기위해 10억을 기탁하는 등 이전과는 달리 더 적극적으로 선수협 활동을 이끌었다. 2008년 5월 7일에는 나진균 총장의 후임으로 권시형 서울대 스포츠과학연구소 책임연구원을 선임했다.[31] 7월 8일에는 정기 이사회를 열어 도핑테스트를 수용하기로 합의하였다.[32] 또한 11월에는 히어로즈의 장원삼 트레이드 사건을 비판하며 선수에게 트레이드 거부권을 달라고 요구하기도 했다.[33] 하지만 2011년 말 선수협 간부가 한 온라인게임업체와 선수 초상권 사용 계약을 맺는 과정에서 브로커로부터 뇌물을 받으면서, 8개구단 고참급 선수들이 손그의 퇴진을 요구하였고,[34] 결국 선수협 회장직에서 물러났다.
6 출신 학교[ | ]
7 통산 기록[ | ]
연 도 |
소 속 |
나 이 |
승 리 |
패 전 |
승 률 |
평 자 책 |
출 장 |
선 발 |
완 투 |
완 봉 |
세 이 브 |
홀 드 |
이 닝 |
피 안 타 |
피 홈 런 |
볼 넷 |
고 4 |
탈 삼 진 |
몸 맞 |
보 크 |
폭 투 |
실 점 |
자 책 |
타 자 수 |
W H I P |
---|---|---|---|---|---|---|---|---|---|---|---|---|---|---|---|---|---|---|---|---|---|---|---|---|---|
1997 | 롯데 | 23 | 1 | 3 | .250 | 4.80 | 9 | 4 | 0 | 0 | 1 | 0 | 30.0 | 23 | 2 | 20 | 0 | 17 | 1 | 0 | 3 | 17 | 16 | 128 | 1.43 |
1999 | 25 | 0 | 0 | ---- | 5.59 | 10 | 2 | 0 | 0 | 1 | 0 | 19.1 | 19 | 2 | 6 | 0 | 9 | 1 | 1 | 0 | 13 | 12 | 84 | 1.29 | |
2000 | 26 | 12 | 7 | .632 | 3.20 | 28 | 28 | 4 | 1 | 0 | 0 | 174.1 | 153 | 16 | 55 | 0 | 117 | 6 | 0 | 1 | 68 | 62 | 707 | 1.19 | |
2001 | 27 | 15 | 6 | .714 | 4.21 | 29 | 29 | 0 | 0 | 0 | 0 | 173.1 | 184 | 18 | 69 | 0 | 110 | 4 | 0 | 9 | 89 | 81 | 760 | 1.46 | |
2002 | 28 | 4 | 9 | .308 | 3.67 | 23 | 22 | 2 | 1 | 0 | 0 | 142.1 | 144 | 19 | 30 | 1 | 82 | 4 | 0 | 5 | 68 | 58 | 586 | 1.22 | |
2003 | 29 | 3 | 11 | .214 | 4.86 | 18 | 18 | 1 | 0 | 0 | 0 | 109.1 | 115 | 17 | 38 | 1 | 54 | 5 | 0 | 2 | 67 | 59 | 473 | 1.40 | |
2004 | 30 | 9 | 2 | .818 | 2.73 | 42 | 11 | 0 | 0 | 8 | 0 | 108.2 | 90 | 8 | 29 | 3 | 88 | 2 | 0 | 4 | 36 | 33 | 433 | 1.10 | |
2005 | 31 | 18 | 7 | .720 | 2.46 | 28 | 26 | 1 | 0 | 1 | 0 | 168.1 | 149 | 9 | 38 | 2 | 105 | 2 | 0 | 4 | 54 | 46 | 678 | 1.11 | |
2006 | 32 | 10 | 8 | .556 | 2.78 | 25 | 24 | 2 | 1 | 1 | 0 | 161.2 | 147 | 4 | 39 | 6 | 96 | 9 | 0 | 3 | 54 | 50 | 664 | 1.15 | |
2007 | 33 | 13 | 10 | .565 | 3.34 | 30 | 30 | 0 | 0 | 0 | 0 | 194.0 | 191 | 17 | 48 | 4 | 95 | 2 | 0 | 4 | 74 | 72 | 797 | 1.23 | |
2008 | 34 | 12 | 4 | .750 | 2.97 | 26 | 26 | 1 | 0 | 0 | 0 | 179.0 | 183 | 12 | 40 | 4 | 80 | 1 | 0 | 5 | 66 | 59 | 733 | 1.25 | |
2009 | 35 | 6 | 5 | .545 | 5.19 | 14 | 14 | 0 | 0 | 0 | 0 | 69.1 | 87 | 3 | 28 | 0 | 20 | 4 | 0 | 1 | 41 | 40 | 311 | 1.66 | |
2013 | NC | 39 | 5 | 6 | .455 | 3.43 | 28 | 6 | 0 | 0 | 9 | 3 | 60.1 | 56 | 4 | 23 | 4 | 22 | 3 | 0 | 1 | 24 | 23 | 250 | 1.31 |
2014 | 40 | 4 | 4 | .500 | 3.54 | 52 | 1 | 0 | 0 | 1 | 9 | 48.1 | 56 | 5 | 14 | 1 | 23 | 3 | 0 | 3 | 20 | 19 | 210 | 1.45 | |
2015 | 41 | 11 | 6 | .647 | 4.89 | 26 | 19 | 0 | 0 | 0 | 0 | 105.0 | 122 | 8 | 15 | 0 | 50 | 5 | 0 | 3 | 65 | 57 | 444 | 1.31 | |
KBO 통산 : 15년 | 123 | 88 | .583 | 3.55 | 388 | 260 | 11 | 3 | 22 | 12 | 1743.1 | 1719 | 144 | 492 | 26 | 968 | 52 | 1 | 48 | 756 | 687 | 7258 | 1.27 |
년도 | 팀 | 타율 | 경기수 | 타수 | 득점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도루 | 도루 실패 |
볼넷 | 사구 | 삼진 | 병살타 | 장타율 | 출루율 | 실책 | 비고 |
---|---|---|---|---|---|---|---|---|---|---|---|---|---|---|---|---|---|---|---|---|
2004 | 삼성 | - | 5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 | - | 0 | |
2005 | - | 1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 | - | 0 | ||
2013 | NC | 0.000 | 2 | 1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1 | 0 | 0.000 | 0.000 | 0 | |
2014 | - | 1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 | - | 0 | ||
2015 | - | 1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 | - | 0 | ||
통산 | 5시즌 | 0.000 | 10 | 1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1 | 0 | 0.000 | 0.000 | 0 |
- 시즌 기록 중 굵은 글씨는 해당 시즌 최고 기록
8 주요 기록[ | ]
- 승리
기록 | 날짜 | 소속팀 | 상대팀 | 구장 | 종전 기록 | 기타 |
---|---|---|---|---|---|---|
통산 100승 | 2009년 6월 26일 | 롯데 | 한화 | 대전 | 2008년 8월 26일 이상목 | 역대 20번째(통산 98선발승) 패전투수 : 정민철 |
통산 100선발승 | 2009년 7월 21일 | 롯데 | 두산 | 잠실 | 2008년 5월 4일 김수경 | 역대 11번째 패전투수 : 니코스키 |
통산 110승 | 2014년 5월 13일 | NC | KIA | 마산 | 2013년 7월 26일 배영수 | 역대 15번째(통산 104선발승) 패전투수 : 심동섭 |
통산 110선발승 | 2015년 5월 28일 | NC | 두산 | 마산 | 역대 최초 | 패전투수 : 유희관 |
통산 120승 | 2015년 6월 24일 | NC | KIA | 마산 | 2014년 6월 25일 배영수 | 역대 13번째 패전투수 : 서재응 |
기록 | 날짜 | 소속팀 | 상대팀 | 구장 | 종전 기록 | 기타 |
---|---|---|---|---|---|---|
최고령 10승 투수 | 2015년 9월 11일 | NC | 넥센 | 마산 | 2005년 9월 14일 송진우 | 40세 8개월 9일 패전투수 : 금민철 |
최고령 포스트시즌 선발 승리투수 | 2015년 10월 21일 | NC | 두산 | 잠실 | 2006년 10월 17일 송진우 | 40세 9개월 19일 패전투수 : 유희관 |
- 이닝
기록 | 날짜 | 소속팀 | 상대팀 | 구장 | 종전 기록 | 기타 |
---|---|---|---|---|---|---|
통산 1600이닝 | 2014년 4월 24일 | NC | SK | 문학 | 2013년 5월 25일 배영수 | 역대 18번째 |
통산 1700이닝 | 2015년 6월 18일 | NC | kt | 수원 | 역대 19번째 |
- 타자
기록 | 날짜 | 소속팀 | 상대팀 | 구장 | 상대타자 | 기타 |
---|---|---|---|---|---|---|
통산 7000타자 상대 | 2015년 5월 29일 | NC | 두산 | 마산 | 김현수 | 역대 17번째 |
9 등번호[ | ]
- 1 (2006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 61(1997년 ~ 2015년)
- 81(2019년 ~ )
10 각주[ | ]
- ↑ 이태일 (1995년 9월 13일). “한국,日.대만과 자존심 대결-아시아 야구선수권대회 17일”. 중앙일보. 2017년 1월 5일에 확인함.
- ↑ 야구협,청소년야구대표선발 - 연합뉴스
- ↑ 5억원에 롯데 입단한 손민한 - 연합뉴스
- ↑ “개인 성적”. 한국야구위원회. 2015년 4월 1일. 428면. 2019년 2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3월 17일에 확인함.
- ↑ 박세운 (2016년 9월 13일). “20승 달성한 니퍼트, 박철순과 이상훈 기록 넘었다”. 노컷뉴스. 2019년 3월 17일에 확인함.
- ↑ 안준철 (2016년 9월 27일). “이제는 기록…니퍼트, 리오스 넘어 MVP 향한다”. MK스포츠. 2019년 3월 17일에 확인함.
- ↑ "다섯 번째 한국전을 남겨둔 일본 '손민한은 누구?' " 《글로벌 종합일간지》 2009-03-25 인터넷 뉴스팀
- ↑ '손민한 무실점 쾌투' 롯데, 두산 꺾고 2연승[(과거 내용 찾기)], 《OSEN》 2009년 6월 7일
- ↑ 손민한, 롯데 떠난다…자유계약 공시 신청 - OSEN
- ↑ 선수등록 마감일을 넘긴 손민한…6월에는 돌아올까 Archived 2013년 12월 3일 - 웨이백 머신 - 스포츠월드
- ↑ NC, 손민한과 연봉 5,000만원에 입단 계약 - OSEN
- ↑ 그가 1군에 올라오면서 4승으로 선발진에서 활약한 이재학은 마무리로 보직을 바꿨으나, 난조를 보여 다시 선발 투수로 보직이 변경됐다.
- ↑ ‘살아 있네’ 손민한, 화려한 귀환 알리다 - OSEN
- ↑ '6월 MVP' 손민한 "앞으로도 좋은 모습으로 야구할 것" Archived 2013년 12월 3일 - 웨이백 머신 - 엑스포츠뉴스
- ↑ 불펜 전환 손민한, “선발로 이기기 쉽지 않더라” - 일간스포츠
- ↑ 역전패에 빛 바랜 손민한의 생애 첫 홀드 - 마이데일리
- ↑ NC 손민한, 프로 데뷔 17년 만에 첫 타석 '삼진' - OSEN
- ↑ NC 손민한 통산 1600이닝 기록 달성 - 경남도민일보
- ↑ NC 손민한, "110승은 지금 내게 큰 의미 없다" - 스포츠조선
- ↑ NC의 손민한 투입 승부수…결과는 ‘실패’ - 마이데일리
- ↑ '40세 선발승' 손민한, 송진우-박철순 이어 역대 3위 - 마이데일리
- ↑ NC 손민한, 개인 통산 7000타자 상대 달성…역대 17번째 - 스포츠경향
- ↑ NC 손민한, 1700이닝 출장 달성…통산 19번째 - 엑스포츠뉴스
- ↑ ‘120승’ 손민한, NC이기에 가능했다 - 스포츠경향
- ↑ 안지만-유희관 등 올스타전 감독 추천선수 확정 - OSEN
- ↑ 40세6개월22일…손민한, 우완투수 최고령 선발 신기록 - 국민일보
- ↑ '손민한 10승' NC, 넥센에 9-3 대승.. 화끈한 설욕 - 스타뉴스
- ↑ 서상범 (2015년 10월 22일). “‘민한神은 살아있다’ NC 손민한 플레이오프 최고령 선발승”. 《헤럴드경제》. 2016년 1월 28일에 확인함.
- ↑ 박세운 (2016년 9월 13일). “20승 달성한 니퍼트, 박철순과 이상훈 기록 넘었다”. 노컷뉴스. 2020년 7월 1일에 확인함.
- ↑ 손민한, 회장님으로 선출 - 노컷뉴스
- ↑ 프로야구선수협 새 사무총장 선임 - 조이뉴스
- ↑ 프로야구선수협, 전원 도핑테스트 수용 - 동아일보
- ↑ 선수협 "트레이드 거부권 달라"..`장원삼 사태' - 연합뉴스
- ↑ 비리혐의 얼룩진 선수협 쇄신 위해 이종범-홍성흔 등 선수들 나서 - 조이뉴스
11 외부 링크[ | ]
- 위키백과 "손민한"
위키낱말사전 "손민한"
- 다음사전 "손민한"
- 다음백과 "손민한"
- 네이버사전 "손민한"
네이버백과 "손민한"
나무위키 "손민한"
- 리브레 위키 "손민한"
- 손민한 - KBO 투수별 기록
- 손민한 - KBO 타자별 기록
- 손민한 - 스탯티즈
{{{제목}}} | ||||
---|---|---|---|---|
배영수 | → | {{{현재}}} | → | 류현진 |
- 정리 필요
- KBO 승리상 수상자
- KBO 승률상 수상자
- KBO 평균자책점상 수상자
- KBO MVP 수상자
- KBO 골든글러브 수상자
- 1975년 출생
- 1월에 출생한 사람
- 살아있는 사람
- 부산광역시 출신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 KBO 리그 투수
- 롯데 자이언츠 선수
- NC 다이노스 선수
-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선수
- 대한민국의 올림픽 동메달리스트
- 올림픽 야구 메달리스트
- 2000년 하계 올림픽 메달리스트
- 대한민국의 올림픽 야구 참가 선수
- 1996년 하계 올림픽 야구 참가 선수
- 2000년 하계 올림픽 야구 참가 선수
- 2006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참가 선수
- 2009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참가 선수
- 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은메달리스트
- 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동메달리스트
- 아시안 게임 야구 메달리스트
- 1994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
- 2006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
- 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야구 참가 선수
- 1994년 아시안 게임 야구 참가 선수
- 2006년 아시안 게임 야구 참가 선수
- 대한민국의 유니버시아드 은메달리스트
- 유니버시아드 야구 메달리스트
- 1995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메달리스트
- 1995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야구 참가 선수
- 한국 프로 야구 100승 클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