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 이글스

한화 이글스
Hanwha Eagles
x100px
팀 로고
회사명 주식회사 한화이글스
설립 연도 1986년
마스코트 위니, 비니, 수리
소속 리그
KBO
1군 : KBO 리그
2군 : KBO 퓨처스리그 북부리그
이전 구단명
빙그레 이글스(1986년 ~ 1993년)
홈 구장
1군 : 대전한화생명이글스파크, 청주야구장 (1986년 ~ )
2군 : 서산야구장 (2013년~)
수용 인원 13,000명 (대전)
10,500명 (청주)
780명 (서산)
연고지 대전광역시 (1986년 ~ 현재)
영구 결번
21 송진우, 23 정민철, 35 장종훈, 52 김태균
역대 타이틀
시리즈 우승(1회)
1999
리그 우승(2회)
19891992
성적(타이틀 이외)
시리즈 출장(6회)(굵은 글씨는 승리한 해)
198819891991199219992006
플레이오프(7회)(굵은 글씨는 승리한 해)
198819911994・1999200520062007
준플레이오프(8회)(굵은 글씨는 승리한 해)
19901994199620012005200620072018
와일드카드 결정전(0회)(굵은 글씨는 승리한 해)
없음
구단 조직
구단주 김승연
대표이사 박찬혁
운영모체 한화생명보험
감독 카를로스 수베로
단장 정민철
유니폼
원정
2021년 KBO 리그

한화 이글스(Hanwha Eagles)는 대한민국대전광역시를 연고지로 하는 KBO 소속 프로야구단이다. 홈 구장은 대전광역시 중구 부사동대전한화생명이글스파크이다. 제2구장은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사직동청주야구장이고, 퓨처스 구장은 충청남도 서산시 성연면서산야구장[1]이다. 현재와 같은 지역을 연고지로 1986년 3월 8일 빙그레 이글스라는 이름으로 창단되었다. 1993년 11월 1일 구단 이름을 한화 이글스로 변경하였다. 1999년 한국시리즈에서 창단 이래 유일하게 우승하였다. 그 후로는 11년만에 2018 준플레이오프를 진출했다. 마스코트는 위니, 비니, 수리이다.

KBO 리그에서 영구 결번 선수(21-송진우, 23-정민철, 35-장종훈, 52-김태균) 를 4개로 가장 많이 지정한 구단이다.

1 역사[ | ]

2 기록[ | ]

2.1 정규 시즌[ | ]

연도 팀명 순위 승률 포스트 시즌 수상 선수 감독
1986 빙그레 전기 7위
후기 6위
31 76 1 0.290 배성서
1987 전기 6위
후기 7위
47 57 4 0.454 이정훈 (신)
1988 전기 2위
후기 4위
62 45 1 0.579 * 플레이오프 : 삼성 전 3-0 승
* 한국시리즈: 해태 전 2-4 패
김영덕
1989 2위 71 46 3 0.604 * 한국시리즈 : 해태 전 1-4 패
1990 4위 68 50 2 0.575 * 준플레이오프 : 삼성 전 0-2 패
1991 2위 72 49 5 0.591 * 플레이오프 : 삼성 전 3-1 승
* 한국시리즈: 해태 전 0-4 패
장종훈 (최)
1992 2위 81 43 2 0.651 * 한국시리즈: 롯데 전 1-4 패 장종훈 (최)
1993 5위 61 61 4 0.500 김영덕
강병철
1994 한화 3위 65 59 2 0.524 * 준플레이오프 : 해태 전 2-0 승
* 플레이 오프 : 태평양 전 0-3 패
강병철
1995 6위 55 71 0 0.437
1996 4위 70 55 1 0.560 * 준플레이오프: 현대 전 0-2 패 구대성 (최)
1997 7위 51 73 2 0.413
1998 7위 55 66 5 0.455 강병철
이희수
1999 매직 2위 72 58 2 0.554 * 플레이오프 : 두산 전 4-0 승
* 한국시리즈: 롯데 전 4-1 승
이희수
2000 매직 3위 50 78 5 0.391 이희수
이광환
2001 4위 61 68 4 0.473 * 준플레이오프: 두산 전 0-2 패 김태균 (신) 이광환
2002 7위 59 69 5 0.461
2003 5위 63 65 5 0.492 유승안
2004 7위 59 70 4 0.457 유승안
김인식
2005 3위 64 61 1 0.512 * 준플레이오프 : SK 전 3-2 승
* 플레이오프 : 두산 전 0-3 패
김인식
2006 2위 67 57 2 0.540 * 준플레이오프 : KIA 전 2-1 승
* 플레이 오프 : 현대 전 3-1 승
* 한국시리즈: 삼성 전 1-1-4 패
류현진 (최, 신)
2007 3위 67 57 2 0.540 * 준플레이오프 : 삼성 전 2-1 승
* 플레이오프 : 두산 전 0-3 패
2008 5위 64 62 0 0.508
2009 8위 46 84 3 0.346
2010 8위 49 82 2 0.368 한대화
2011 6위 59 72 2 0.450
2012 8위 53 77 3 0.408
2013 9위 42 85 1 0.331 김응용
2014 9위 49 77 2 0.389
2015 6위 68 76 0 0.472 김성근
2016 7위 66 75 3 0.468
2017 8위 61 81 2 0.430 김성근
이상군(감독대행)
2018 3위 77 67 0 0.535 * 준플레이오프 : 넥센 전 1-3 패 한용덕
2019 9위 58 86 0 0.403
2020 10위 46 95 3 0.326 한용덕
최원호(감독대행)
한화 이글스 32시즌 2043 2258 80 0.475 한국시리즈 우승 1회

2.2 한국시리즈[ | ]

# 연도 감독 상대 팀 경기 결과 우승 횟수 시리즈 MVP 주석 및 기타
1 1988년 김영덕 해태 타이거즈 2승 4패 (XXXOOX)
2 1989년 김영덕 해태 타이거즈 1승 4패 (OXXXX)
3 1991년 김영덕 해태 타이거즈 4패 (XXXX)
4 1992년 김영덕 롯데 자이언츠 1승 4패 (XXOXX)
5 1999년 이희수 롯데 자이언츠 4승 1패 (OOXOO) V1 구대성 (투수)
6 2006년 김인식 삼성 라이온즈 1승 1무 4패 (XOXX△X)
한국시리즈 총 1회 우승

3 역대 감독[ | ]

한화 이글스의 최초 감독은 배성서였으며, 현재는 카를로스 수베로 감독이다.

4 선수단[ | ]

4.1 역대 선수[ | ]

4.1.1 역대 외국인 선수[ | ]

한화 이글스에서 가장 많은 시즌을 뛴 외국인 선수는 제이 데이비스이다. 그는 2003년 한 해 공백이 있기는 했지만, 1999년부터 2006년까지 일곱 시즌을 뛰며 통산 타율 0.313을 기록했다.

5 한국 프로 야구상 수상자[ | ]

한화 이글스는 한국 프로 야구 최우수 선수를 세 명 배출했다.

6 역대 2차 드래프트 지명[ | ]

2차 드래프트KBO에서 2년마다 11월 말에 개최되며, 타 팀에서 FA 신청선수를 제외한 40명의 보호선수에서 제외된 선수를 지명할 수 있다.

연도 1라운드 2라운드 3라운드
2012 최승환
(두산 베어스, 포수)
임익준
(삼성 라이온즈, 내야수)
이학준
(LG 트윈스, 내야수)
2014 이동걸
(삼성 라이온즈, 투수)
이성진
(LG 트윈스, 투수)
최윤석
(SK 와이번스, 내야수)
2016 장민석
(두산 베어스, 외야수)
차일목
(KIA 타이거즈, 포수)
송신영
(키움 히어로즈, 투수)
2018 문동욱
(롯데 자이언츠, 투수)
백창수
(LG 트윈스, 외야수)
김지수
(롯데 자이언츠, 외야수)
2020 이해창
(kt 위즈, 포수)
정진호
(두산 베어스, 외야수)
이현호
(두산 베어스, 투수)

7 응원단[ | ]

  • 아나운서
  • 응원단장: 홍창화(일명 창화신)
  • 치어리더: 김연정, 서유림, 김유나, 박재령, 박지민, 김해리 박소영 이소림
  • 마스코트: 위니, 비니, 수리

8 신인 1차 지명 지역 연고 학교[ | ]

9 지역 사회 공헌[ | ]

한화는 대전·충청지역 야구발전 및 유소년 야구 활성화와 취약 계층 어린이들의 건전한 방과 후 활동 지원을 위해 충청남도 서산시대전광역시 유성구와 연계하여 2013년 유소년 야구단 한화 이글렛 베이스볼 클럽(Hanwha Eaglets Baseball Club)을 창단하였다. 창단식에는 서산시장, 유성구청장과 지역 스타인 박찬호가 참석하였다. 유성구와 서산시는 유소년 야구팀의 교통 편의 시설 등을 지원하며, 한화이글스는 기술 지도를 비롯한 야구용품 일체를 지원한다. 한화는 향후 대전·충청지역 지자체와의 지속적인 협의를 통해 유소년 야구단을 추가적으로 창단 운영할 계획이다.[2][3]

10 같이 보기[ | ]

11 각주[ | ]

  1. 구단 소유
  2. 한화, 대전·서산에 유소년 야구단 창단 스포츠경향
  3. 하남직 (2016년 4월 28일). “한화, 제4기 이글렛 베이스볼클럽 창단”. 2020년 6월 21일에 확인함. 

12 외부 링크[ | ]

틀:한국시리즈 우승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