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별문항기능

Jmnote (토론 | 기여)님의 2019년 11월 13일 (수) 01:38 판 (새 문서: ==개요== ;differential item functioning (DIF), 舊 bias, item bias ;차별문항기능, 舊 편파성, 문항편파성 * 서로 다른 문화적·경험적 배경을 지닌 집단...)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1 개요

differential item functioning (DIF), 舊 bias, item bias
차별문항기능, 舊 편파성, 문항편파성
  • 서로 다른 문화적·경험적 배경을 지닌 집단에서 동등한 능력을 지닌 피검자에 대해 검사문항의 곤란도가 달라지는 것
  • 같은 능력수준을 지닌 피험자들이 그들이 속한 집단의 특성 때문에 문항에 정답반응을 할 확률이 다르게 나타나는 현상
  • 서로 다른 문화적·경험적 배경을 지닌 집단에서 동등한 능력을 지닌 피검자에 대해 검사문항의 상대적 곤란도가 달라지는 것
  • '편파성'이라는 용어가 검사에서 제거되어야 할 좋지 않은 문항임을 연상케 하는 부정적인 이미지를 지닌다는 이유에서 좀더 중립적인 '차별문항기능'이라는 용어가 제안되었다.
  • 편파성 문항을 추출하는 방법은 고전검사이론과 문항반응이론에 의한 방법으로 양분된다.
  • 고전검사이론에 의한 편파성 문항추출 방법은 변환 문항난이도법(transformed item difficulty method), χ²방법, 맨텔-헨젤(Mantel-Haenszel) 방법이 있다.
  • 문항반응이론에 의한 편파성 문항추출방법은 문항모수 추정치에 의한 방법, 문항 적합도에 의한 방법, 문항특성곡선에 의한 방법이 있다.
  • 특히, 문항특성곡선에 의한 면적 추정방법이 타당성을 인정받고 있다.

2 같이 보기

3 참고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