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수 (음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개요== ;E ;개성편수 ;개성편수 *정월 명절에 먹는 만두 *재료 및 분량(4인분) ,만두피 밀가루 2컵, 소금 ½작은술, 물 7큰술 *만두소 닭고기...)
 
잔글 (Jmnote님이 개성편수 문서를 편수 (음식)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다른뜻|편수(編修)|편수}}
{{다른뜻|편수 (음식)}}
{{다른뜻|편수(便數)}}
==개요==
==개요==
;
;편수, 변씨만두
;개성편수
* 야채를 넣고 만든 만두
;개성편수
* 채소로 만든 소를 넣어 주로 여름철에 먹는 만두
*정월 명절에 먹는 만두
* 밀가루 반죽을 얇게 밀어 편 뒤 채소로 만든 소를 넣고 네 귀를 서로 붙여 끓는 물에 익혀 장국에 넣어 먹는 여름 음식
*재료 및 분량(4인분) ,만두피 밀가루 2컵, 소금 ½작은술, 물 7큰술
* 밀가루 반죽한 것을 얇게 밀어 여기에 채소로 만든 소를 넣고 네 귀를 서로 붙여 끓는 물에 익혀 장국에 넣어 먹는 여름 음식
*만두소 닭고기 200g, 표고버섯 50g, 숙주 100g, 애호박 100g, 두부 100g, 잣 조금
* 밀가루를 반죽하여 얇게 밀어서 정사각형으로 썬 후, 육류와 채소로 만든 소를 넣고 네 귀를 서로 붙여 익혀서 먹는 여름 음식
*소양념 간장 1큰술, 소금 1작은술, 후춧가루 조금
* 특히 개성 지방에서 많이 해 먹는다.
*육수 쇠고기 양지머리 육수 1kg
* 편수는 변씨 성을 가진 사람이 처음 만들었다고 하여 ‘변씨만두’라고 하다가 차츰 편수로 불렸다.
*초간장 간장 2큰술, 식초 2큰술, 설탕 1작은술, 물 2큰술
* 1800년대 중반에 쓰인 《동국세시기》에 변씨만두의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볼 때 그 역사가 매우 오랜 것으로 보인다
*편수는 변씨 성을 가진 사람이 처음 만들었다고 하여 ‘변씨만두’라고 하다가 차츰 편수로 불렸다. 1800년대 중반에 쓰인 《동국세시기》에 변씨만두의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볼 때 그 역사가 매우 오랜 것으로 보인다
 
[[파일:Pyeonsu.jpg|330px]]
 
----
;재료 및 분량(4인분)
* 만두피 밀가루 2컵, 소금 ½작은술, 물 7큰술
* 만두소: 닭고기 200g, 표고버섯 50g, 숙주 100g, 애호박 100g, 두부 100g, 잣 조금
* 소양념: 간장 1큰술, 소금 1작은술, 후춧가루 조금
* 육수 쇠고기 양지머리 육수 1kg
* 초간장 간장 2큰술, 식초 2큰술, 설탕 1작은술, 물 2큰술


==같이 보기==
==같이 보기==
* [[정월명절]]
* [[만두]]
* [[만두피]]
* [[장국]]
* [[만두소]]
* [[퍈세]]
* [[소양념]]
* [[만두국]]
* [[육수, 초간장]]
* [[편수]]


==참고==
==참고==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668027&cid=62847&categoryId=62847}}
* {{위키백과}}
* {{위키낱말사전}}
* {{다음사전}}
* {{다음사전}}
* {{다음백과}}
* {{다음백과}}
28번째 줄: 39번째 줄:
* {{리브레위키}}
* {{리브레위키}}


[[분류: 개성편수]]
[[분류: 만두]]
[[분류: 북한정통음식]]
[[분류: 한국 음식]]

2025년 3월 11일 (화) 01:15 기준 최신판

  다른 뜻에 대해서는 편수(編修)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다른 뜻에 대해서는 편수 (음식)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다른 뜻에 대해서는 편수(便數)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1 개요[ | ]

편수, 변씨만두
  • 야채를 넣고 만든 만두
  • 채소로 만든 소를 넣어 주로 여름철에 먹는 만두
  • 밀가루 반죽을 얇게 밀어 편 뒤 채소로 만든 소를 넣고 네 귀를 서로 붙여 끓는 물에 익혀 장국에 넣어 먹는 여름 음식
  • 밀가루 반죽한 것을 얇게 밀어 여기에 채소로 만든 소를 넣고 네 귀를 서로 붙여 끓는 물에 익혀 장국에 넣어 먹는 여름 음식
  • 밀가루를 반죽하여 얇게 밀어서 정사각형으로 썬 후, 육류와 채소로 만든 소를 넣고 네 귀를 서로 붙여 익혀서 먹는 여름 음식
  • 특히 개성 지방에서 많이 해 먹는다.
  • 편수는 변씨 성을 가진 사람이 처음 만들었다고 하여 ‘변씨만두’라고 하다가 차츰 편수로 불렸다.
  • 1800년대 중반에 쓰인 《동국세시기》에 변씨만두의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볼 때 그 역사가 매우 오랜 것으로 보인다

Pyeonsu.jpg


재료 및 분량(4인분)
  • 만두피 밀가루 2컵, 소금 ½작은술, 물 7큰술
  • 만두소: 닭고기 200g, 표고버섯 50g, 숙주 100g, 애호박 100g, 두부 100g, 잣 조금
  • 소양념: 간장 1큰술, 소금 1작은술, 후춧가루 조금
  • 육수 쇠고기 양지머리 육수 1kg
  • 초간장 간장 2큰술, 식초 2큰술, 설탕 1작은술, 물 2큰술

2 같이 보기[ | ]

3 참고[ | ]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