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별문항기능"의 두 판 사이의 차이

20번째 줄: 20번째 줄:


==같이 보기==
==같이 보기==
{{z컬럼3|
* [[문항분석]]
* [[문항분석]]
* [[문항 편파성]]
* [[문항 편파성]]
27번째 줄: 28번째 줄:
* [[균일적 편파성]]
* [[균일적 편파성]]
* [[비균일적 편파성]]
* [[비균일적 편파성]]
}}


==참고==
==참고==

2021년 10월 24일 (일) 19:13 판

1 개요

differential item functioning (DIF), 舊 bias, item bias
差別問項技能
차별문항기능, 舊 편파성, 문항편파성
  • 어떤 문항(또는 검사)이 특정 집단에 유리하거나 불리한 성질
  • 같은 능력수준을 가진 피검자들이 그들이 속한 집단의 특성 때문에 문항의 답을 맞힐 확률이 다른 현상
  • 같은 능력수준을 지닌 피험자들이 그들이 속한 집단의 특성 때문에 문항에 정답반응을 할 확률이 다르게 나타나는 현상

서로 다른 문화적·경험적 배경을 지닌 집단에서 동등한 능력을 지닌 피검자에 대해 검사문항의 상대적 곤란도가 달라지는 것

  • 서로 다른 문화적·경험적 배경을 지닌 집단에서 동등한 능력을 지닌 피검자에 대해 검사문항의 곤란도가 달라지는 것
  • 같은 능력수준을 지닌 피험자들이 그들이 속한 집단의 특성 때문에 문항에 정답반응을 할 확률이 다르게 나타나는 현상
  • 서로 다른 문화적·경험적 배경을 지닌 집단에서 동등한 능력을 지닌 피검자에 대해 검사문항의 상대적 곤란도가 달라지는 것
  • 한 검사문항이 특정 배경변인이 서로 다른 두 집단(예컨대, 여자와 남자집단, 백인과 흑인집단, 또는 상류계층집단과 하류계층집단 등)에게 제시되었을 때, 그 검사문항이 비교되는 두 집단에서 서로 다르게 기능하는 현상
  • '편파성'이라는 용어가 검사에서 제거되어야 할 좋지 않은 문항임을 연상케 하는 부정적인 이미지를 지닌다는 이유에서 좀더 중립적인 '차별문항기능'이라는 용어가 제안되었다.
  • 편파성 문항을 추출하는 방법은 고전검사이론과 문항반응이론에 의한 방법으로 양분된다.
  • 고전검사이론에 의한 편파성 문항추출 방법은 변환 문항난이도법(transformed item difficulty method), χ²방법, 맨텔-헨젤(Mantel-Haenszel) 방법이 있다.
  • 문항반응이론에 의한 편파성 문항추출방법은 문항모수 추정치에 의한 방법, 문항 적합도에 의한 방법, 문항특성곡선에 의한 방법이 있다.
  • 특히, 문항특성곡선에 의한 면적 추정방법이 타당성을 인정받고 있다.

편파성-문항.jpg

2 같이 보기

3 참고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