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기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 |방송명 = 홍국영 |그림 = |그림 설명 = |장르 = 사극 |방송 시간 = 매주 월요일, 화요일 밤 9시 55분 |방송...)
 
1번째 줄: 1번째 줄:
{{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
{{영화인 정보
|방송명 = 홍국영
| 이름 = 송기윤
|그림 =
| 출생일 = {{출생일과 만나이|1952|7|14}}
|그림 설명 =
| 출생지 = 대한민국 [[충청북도]] [[괴산군]] [[증평읍|증평면]]<br>(現 대한민국 [[충청북도]] [[증평군]] [[증평읍]])
|장르 = [[사극]]
| 직업 = [[배우]], [[기업가]]
|방송 시간 = 매주 [[월요일]], [[화요일]] 밤 9시 55분
| 활동기간 = [[1973년]] ~ 현재
|방송 분량 = 1시간
| 종교 = [[불교]]
|방송 기간 = [[2001년]] [[3월 26일]] ~ [[2001년]] [[8월 7일]]
| 학력 = [[충북대학교]] 농학과 [[학사]]
|방송 횟수 = 40부작
| 부모 = 송정섭(부), 예연해(모)
|방송 국가 = {{KOR}}
| 형제자매 = 송기명(둘째형)<br>송기익(셋째형)
|방송 채널 = [[MBC]]
| 배우자 = 이정화
|기획 =
| 자녀 = 송우석(아들), [[송우주]](딸)
|제작 =
| 수상 = 2001년 자랑스러운 탤런트상
|책임프로듀서 =
| 소속사 =  
|프로듀서 =
| 웹사이트 = [http://song.nnsc.or.kr/ 송기윤의 나눔샵]
|연출 = 이재갑
|조연출 =
|각본 = 임충
|출연자 = [[김상경]], [[정웅인]], [[이태란]], [[정소영 (여성 배우)|정소영]], [[정재곤]]
|음성 =  
|자막 =  
|데이터 방송 =  
|고화질 방송여부 =  
|여는 곡 =  
|닫는 곡 =  
|외부 링크 = http://www.imbc.com/tv/drama/hong/
|외부 링크 이름 = 홍국영 홈페이지
|비고 =
}}
}}
《'''홍국영'''》은 [[MBC]]에서 [[2001년]] [[3월 26일]]부터 [[2001년]] [[8월 7일]]까지 방영된 [[문화방송 월화드라마|월화 드라마]]이다.


이 드라마는 [[홍국영]]의 일대기를 그린 작품으로 지나치게 현대적 분위기에다 자주 연출되는 무협 장면도 극의 사실성을 훼손한다는 지적이 있었다.<ref>{{뉴스 인용
'''송기윤'''({{한자|宋基允}}, [[1952년]] [[7월 14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본관은 [[여산 송씨|여산]](礪山)이다.
| 제목    = 드라마, 월-화요일엔 역시 여인천하
| url      = http://news.chosun.com/svc/content_view/content_view.html?contid=2001052170308
| 출판사  = 조선일보
| 저자    = 이지형
| 쪽      =
| 날짜    = 2001-05-21
| 확인날짜 = 2016-08-22
}}</ref> 또한 높은 인기를 누리고 있던 SBS 《[[여인천하 (드라마)|여인천하]]》에 밀려 4~5%대의 저조한 시청률에 머물자<ref>{{뉴스 인용
| 제목    = [방송]MBC 시청률 곤두박질, 고민은 차곡차곡
| url      = http://news.donga.com/3/all/20010809/7724584/1
| 출판사  = 동아일보
| 저자    = 신을진
| 쪽      =
| 날짜    = 2001-08-09
| 확인날짜 = 2016-08-22
}}</ref> 50부작에서 10회를 축소한 40부작으로 조기 종영되었다.
한편, 집필자 [[임충 (작가)|임충]] 작가는 해당 작품의 조기종영 후 한동안 방황해 왔다가 [[2010년]] 같은 채널 주말 특별기획 드라마 《[[김수로 (드라마)|김수로]]》 크리에이터 및 감수자로 참여했는데<ref>{{뉴스 인용
| 제목    = ‘김수로’, 5억 가압류 불구 “드라마 차질 없다”
| url      =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213&aid=0000042661
| 출판사  = TV리포트
| 저자    = 문혜원
| 쪽      =
| 날짜    = 2010-07-13
| 확인날짜 = 2020-03-09
}}</ref> 이 작품은 당초 김미숙 작가가 집필을 맡아왔지만 메인작가로서 드라마의 큰 틀을 그려갈 역할을 하지 못하여 도중하차했고<ref>{{뉴스 인용
| 제목    = ‘김수로’, 5억 가압류 불구 “드라마 차질 없다”
| url      =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213&aid=0000042661
| 출판사  = TV리포트
| 저자    = 문혜원
| 쪽      =
| 날짜    = 2010-07-13
| 확인날짜 = 2020-03-09
}}</ref> 이 과정에서 김미숙 작가는 "위약금 5억 7600만원을 물어내라"며 《[[김수로 (드라마)|김수로]]》 제작사를 법원에 소송하는 한편 채권 가압류 신청을 냈다.


== 등장 인물 ==
== 생애 ==
=== 주요 인물 ===
[[충청북도]] [[증평군|괴산군]] [[증평읍|증평면]]에서 출생하여 지난날 한때 [[충청북도]] [[괴산군]] [[괴산읍]]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낸 적이 있으며 [[충북대학교]] 농학과를 나온 그는 [[한국방송실연자협회]] 이사장을 지냈다.
* [[김상경]] : [[홍국영]] 역
* [[정웅인]] : [[정후겸]] 역
* [[이태란]] : 서은주 역
* [[정소영 (배우)|정소영]] : 우여옥 역
* [[최불암]] : [[조선 영조|영조]]
* [[정재곤]] : [[조선 정조|정조]]
* [[유혜리]] : [[화완옹주]]


=== 그 외 인물 ===
1973년 [[연극배우]] [[데뷔]]하였고 1974년 전라북도 군산 라디오 [[서해방송]] 수습 아나운서를 잠시 지내다가 그만둔 후 1975년 [[문화방송|MBC 문화방송]] [[배우|탤런트]] 공채 7기로 정식 데뷔하였다.
* [[김용건]] : 우동지 역
* [[현석 (배우)|현석]] : 문 도인 역
* [[염지윤|염현희]] : [[정순왕후]]
* [[박광남]] : [[홍봉한]] 역
* [[박영태 (배우)|박영태]] : [[홍인한]] 역
* [[나성균]] : [[홍낙춘]] 역
* [[김용선 (배우)|김용선]]
* [[박종설]]
* [[이도련]]
* [[박상조]]
* [[김호영]]
* [[신국]]
* [[김형자]]
* [[홍순창]]
* [[한규희]] : 동궁전 내관 역
* [[전국근]]
* [[김기진]]
* [[남영진]] : 정석달 역
* [[전인택]] : 육손이 역
* [[박병훈 (1955년)|박병훈]]
* [[정한헌]]
* [[이경순]]
* [[이상숙]] : [[헌경왕후|혜경궁 홍씨]] 역
* [[정선일]] : 정민시 역
* [[이동신]]
* [[신승주]]
* [[김세형]]
* [[서승만]]
* [[정수형]] : 김구주 역
* [[오현섭]]
* [[김민석]]
* [[신소미]]
* [[박희진]]
* [[김용태]]
* [[최세환]]
* [[김철기]]
* [[백종헌 (배우)|백종헌]]
* [[송기윤]]
* [[송성희]]
* [[문보연]]
* [[이지수]]
* [[이정민]]
* [[문보현]]
* [[김미희 (1977년)|김미희]]
* [[권연우|권인선]]
* [[윤진영]]
* [[도지영]]
* [[고주연]]
* [[이애정]] : 홍국영의 동생 ([[원빈 홍씨]]) 역


== 참고 사항 ==
그의 대표작으로는 TV 드라마 《딸부잣집》, 《바람은 불어도》 등이 있으며 그 이외 주요 출연작으로는 영화 《어린 신부》, 드라마 [[한국방송공사|KBS]] 《고향역》, [[서울방송|SBS]] 《흐르는 강물처럼》, [[한국방송공사|KBS]] 《사랑해도 괜찮아》등이 있다.
* 서은주 역의 [[이태란]]은 동시간대 방영한 《[[여인천하 (드라마)|여인천하]]》의 캐스팅 제의를 거절한 바 있다.<ref>{{뉴스 인용 |제목    = '사극에 맺힌 한 이제야 풀어요'
 
| url      = http://news20.busan.com/controller/newsController.jsp?newsId=20010310000524
미스코리아 충북 본선의 심사위원장을 역임했다. 그의 딸 [[송우주]]도 미스코리아 충북 본선을 통해 이름을 알려 미스코리아 대회 관련 등 부녀의 인연이 깊다.
| 출판사  = 부산일보
 
| 저자    = 배동진
== 출연작 ==
| 쪽      =
=== [[텔레비전 드라마|드라마]] ===
| 날짜    = 2001-03-10
* 《막내 며느리》 ([[1978년]])
| 확인날짜 = 2018-04-26
* 《[[하얀 민들레 (1979년 드라마)|하얀 민들레]]》 ([[1979년]])
}}</ref>
* 《[[최후의 증인 (1979년 드라마)|최후의 증인]]》 ([[1979년]])
* 정소영이 맡은 우여옥 역은 캐스팅에 어려움을 겪었는데 [[최진실]], [[김지수 (1972년)|김지수]] 등이 물망에 올랐으나 사정을 들어 불발됐다.<ref>{{뉴스 인용
* 《[[의친왕 (드라마)|의친왕]]》 ([[1980년]])
| 제목    = MBC 대하사극 홍국영 "한 남자놓고 사랑대결 기대하세요"
* 《민족풍속도》 ([[1981년]])
| url    = http://211.43.216.33/search/totalSearchView.do?news_id=01101101.20010313000002001
* 《[[제1공화국 (드라마)|제1공화국]]》 ([[1981년]])
| 출판사    = 한국일보
* 《[[당신의 초상]]》 ([[1983년]])
| 저자    = 배국남
* 《[[3840 유격대]]》 ([[1983년]])
| 쪽    =  
* 《[[남자의 계절]]》 ([[1985년]])
| 날짜    = 2001-03-13
* 《[[전원일기]]》 ([[1986년]])
| 확인날짜    = 2018-04-26
* 《[[겨울꽃]]》 ([[1986년]])
| archive-date    = 2018-04-26
* 《[[수사반장]]》 ([[1987년]])
| archive-url    = https://web.archive.org/web/20180426145319/http://211.43.216.33/search/totalSearchView.do?news_id=01101101.20010313000002001
* 《[[TV 손자병법]]》 ([[1988년]])
}}</ref>
* 《[[사랑이 꽃피는 나무]]》([[1988년]])
* 《[[나비야 청산 가자]]》 ([[1989년]])
* 《[[울밑에 선 봉선화]]》 ([[1989년]])
* 《[[똠방각하]]》 ([[1990년]])
* 《[[대원군 (1990년 드라마)|대원군]]》 ([[1990년]])
* 《[[또 하나의 행복]]》 ([[1991년]])
* 《[[여명의 눈동자]]》 ([[1991년]])
* 《[[궁합이 맞습니다]]》 ([[1992년]])
* 《[[우리들의 천국]]》 ([[1992년]])
* 《[[제3공화국 (드라마)|제3공화국]]》 ([[1993년]]) - 제3대 중앙정보부 부장 [[김재춘 (1927년)|김재춘]] 역
* 《[[댁의 남편은 어떠십니까]]》 ([[1993년]])
* 《[[마지막 승부]]》 ([[1994년]]) 명성대학교 농구부 감독 역
* 《[[이 여자가 사는 법]]》 ([[1994년]])
* 《[[딸부잣집 (드라마)|딸부잣집]]》 ([[1994년]])
* 《[[바람은 불어도]]》 ([[1995년]])
* 《[[사랑과 결혼]]》 ([[1995년]])
* 《[[사랑한다면서]]》 ([[1995년]])
* 《[[두 아빠]]》 ([[1995년]])
* 《[[코리아게이트 (드라마)|코리아게이트]]》 ([[1995년]]) - 제3대 중앙정보부 부장 [[김재춘 (1927년)|김재춘]] 역대 중앙정보부장 [[김재춘 (1927년)|김재춘]] 역
* 《[[간이역 (드라마)|간이역]]》 ([[1996년]])
* 《[[아내가 있는 풍경]]》 ([[1996년]])
* 《[[이웃집 여자]]》 ([[1997년]])
* 《[[사람의 집]]》 ([[1999년]])
* 《[[미니 연작 - 봄]]》 ([[1999년]])
* 《[[안녕 내사랑]]》 ([[1999년]])
* 《[[당신 때문에]]》 ([[2000년]])
* 《[[그래도 사랑해]]》 ([[2001년]])
* 《[[홍국영 (드라마)|홍국영]]》 ([[2001년]])
* [[이 부부가 사는 법]]》 ([[2001년]])
* 《[[인생화보 (2002년 드라마)|인생화보]]》 ([[2002년]])
* 《[[기쁜 소식]]》 ([[2003년]])
* 《[[흐르는 강물처럼]]》 ([[2003년]])
* 《[[백만송이 장미]]》 ([[2003년]])
* 《[[금쪽같은 내 새끼]]》 ([[2004년]])
* 《[[그대는 별]]》 ([[2004년]])
* 《[[영웅시대 (2004년 드라마)|영웅시대]]》 ([[2004년]])
* 《[[고향역]]》 ([[2005년]])
* 《[[순옥이]]》 ([[2006년]])
* 《[[사랑해도 괜찮아]]》 ([[2007년]])
* 《[[그 여자가 무서워]]》 ([[2007년]])
* 《김과장 & 이대리》 ([[2010년]])
* 《[[오작교 형제들]]》 ([[2011년]])
* 《[[산 너머 남촌에는 2]]》 ([[2012년]])
* 《[[여자의 비밀]]》 ([[2016년]])
 
=== [[영화]] ===
* 《[[위험한 향기]]》 ([[1988년]])
* 《[[앗싸! 호랑나비]]》 ([[1989년]])
* 《[[동경 아리랑]]》 ([[1990년]])
* 《[[어린 신부]]》 ([[2004년]])
 
=== [[연극]] ===
* 《작가 계용묵의 명운》 ... 계항교<ref>[[계용묵]]의 아버지</ref> 역(조연)
* 《대한제국 조선 융희양제 이왕 순종》 ... [[흥선대원군|흥선대원군 이하응]] 역(단역)
 
=== [[뮤지컬]] ===
* 《[[아가씨와 건달들]]》 ... 베니 사우드스트릿 역(남자 조연)
 
=== 텔레비전 프로그램 ===
* [[1990년]]~[[1998년]] [[KBS]] 《[[가족오락관]]》 다수 출연
* [[1996년]] [[KBS1]] 《[[체험 삶의 현장]]》
* [[1996년]] [[KBS2]] 《[[도전 지구 탐험대]]》
* [[2010년]] [[서울방송|SBS]] 《[[글로벌 붕어빵|스타 주니어 쇼 붕어빵]]》
* [[2018년]] [[E채널]] 《내 딸의 남자들 4》
 
=== 라디오 프로그램 ===
* [[2015년]] [[EBS FM]] 《EBS 책 읽는 라디오 낭독 시리즈》
 
=== CF ===
* [[동아제약]] 비오자임 (1984년)
* 안진제약 복합CPX (1985년)
* [[LG생활건강]] 향 하이타이 (1986년)
* [[남양유업]] 점프 (1986년)
* [[종근당]] 펜잘 (1986년 ~ 1987년)
* [[동성제약]] 훼미닌 (1987년) - [[김청]]와 함께 출연.
* 한국센트랄제약 헤모진 (1987년) - [[오미연]]와 함께 출연.
* [[롯데제과]] 빠다코코낫 (1988년)
* [[일성신약]] 캐시딘 (1988년) - [[오지명]]와 함께 출연.
* [[옥시레킷벤키저]] 파워크린 (1989년)
* [[동아제약]] 미니막스*에프 (1989년) - [[전양자]]와 함께 출연.
* [[동아제약]] 솔표 브랜드 (위청수, 솔청수) (1990년 / 1992년)
* [[삼양식품]] 이백냥 (1989년)
* [[LG생활건강]] 알뜨랑 (1990년)
* 새한제약 스토파 (1991년) - 아내 이정화와 함께 출연.
* [[삼아제약]] 식보 (1991년)
* [[동원F&B]] 양반김 (1991년) - [[이영범]]과 함께 출연.
* [[한독]] 미야리산 아이지 (1992년 ~ 1993년) - 송기윤 가족과 함께 출연.
* [[태백농협]] 늘푸른디 (1996년)
* [[바이엘 코리아]] 복합 탈시드 (1996년)
* [[중소기업중앙회]] 노란 우산 공제 ([[김창숙 (1949년)|김창숙]]과 함께 출연) ([[2009년]] ~ [[2010년]])
 
== 수상 ==
* 1985년 MBC 우수연기상
* 2000년 [[MBC 연기대상]] 우수연기상
* 2001년 자랑스러운 탤런트상
* 2001년 [[MBC 연기대상]] 공로상
* 2009년 대통령 표창


== 각주 ==
== 각주 ==
{{각주}}
<references/>


== 외부 링크 ==
== 외부 링크 ==
* {{위키백과|홍국영 (드라마)|홍국영}}
* {{위키백과}}
* [http://www.imbc.com/tv/drama/hong/ 홍국영 홈페이지]
* {{KMDb 사람}}


{{전작후작
{{둘러보기 상자 묶음
|방송개요 = [[문화방송 월화드라마]]
|title = 송기윤의 수상 목록
|이전 작품 = [[아줌마 (드라마)|아줌마]]<br />(2000년 9월 18일 ~ 2001년 3월 20일)
|list =  
|작품명 = 홍국영<br />(2001년 3월 26일 ~ 2001년 8월 7일)
{{MBC 연기대상 남자 우수연기상}}
|다음 작품 = [[선희 진희]]<br />(2001년 8월 20일 ~ 2001년 10월 9일)
}}
}}
{{전거 통제}}


{{문화방송 월화드라마}}
[[분류:1952년 태어남]]
{{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
[[분류:살아있는 사람]]
 
[[분류:증평군 출신]]
[[분류:2001년 드라마]]
[[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연극 배우]]
[[분류:조선 역사 드라마]]
[[분류:인하대학교 교수]]
[[분류:문화방송의 역사 드라마]]
[[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라디오 배우]]
[[분류:문화방송 월화드라마]]
[[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
[[분류:임충 시나리오 작품]]
[[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
[[분류:조선을 배경으로 한 작품]]
[[분류:대한민국의 방송인]]
[[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
[[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
[[분류:개신교를 이탈한 사람]]
[[분류:대한민국의 불교도]]

2021년 7월 7일 (수) 20:37 판

송기윤
출생 1952년 7월 14일(1952-07-14) (73세)
대한민국 충청북도 괴산군 증평면
(現 대한민국 충청북도 증평군 증평읍)
직업 배우, 기업가
활동 기간 1973년 ~ 현재
종교 불교
학력 충북대학교 농학과 학사
부모 송정섭(부), 예연해(모)
형제자매 송기명(둘째형)
송기익(셋째형)
배우자 이정화
자녀 송우석(아들), 송우주(딸)
수상 2001년 자랑스러운 탤런트상
웹사이트 송기윤의 나눔샵

송기윤(宋基允, 1952년 7월 14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본관은 여산(礪山)이다.

1 생애

충청북도 괴산군 증평면에서 출생하여 지난날 한때 충청북도 괴산군 괴산읍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낸 적이 있으며 충북대학교 농학과를 나온 그는 한국방송실연자협회 이사장을 지냈다.

1973년 연극배우데뷔하였고 1974년 전라북도 군산 라디오 서해방송 수습 아나운서를 잠시 지내다가 그만둔 후 1975년 MBC 문화방송 탤런트 공채 7기로 정식 데뷔하였다.

그의 대표작으로는 TV 드라마 《딸부잣집》, 《바람은 불어도》 등이 있으며 그 이외 주요 출연작으로는 영화 《어린 신부》, 드라마 KBS 《고향역》, SBS 《흐르는 강물처럼》, KBS 《사랑해도 괜찮아》등이 있다.

미스코리아 충북 본선의 심사위원장을 역임했다. 그의 딸 송우주도 미스코리아 충북 본선을 통해 이름을 알려 미스코리아 대회 관련 등 부녀의 인연이 깊다.

2 출연작

2.1 드라마

2.2 영화

2.3 연극

  • 《작가 계용묵의 명운》 ... 계항교[1] 역(조연)
  • 《대한제국 조선 융희양제 이왕 순종》 ... 흥선대원군 이하응 역(단역)

2.4 뮤지컬

2.5 텔레비전 프로그램

2.6 라디오 프로그램

2.7 CF

3 수상

  • 1985년 MBC 우수연기상
  • 2000년 MBC 연기대상 우수연기상
  • 2001년 자랑스러운 탤런트상
  • 2001년 MBC 연기대상 공로상
  • 2009년 대통령 표창

4 각주

  1. 계용묵의 아버지

5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