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ubectl autoscale"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소문자}}
==개요==
==개요==
;kubectl autoscale
;kubectl autoscale


{{소스헤더|디플로이먼트에 적용}}
<source lang='bash'>
<source lang='bash'>
kubectl autoscale deployment foo --min=2 --max=10
kubectl autoscale deployment foo --min=2 --max=10
</source>
</source>
:→ 디플로이먼트 "foo"에 오토스케일 적용
:→ pod 수는 2~10개
:→ 목표 CPU 사용률이 지정되지 않았으므로 기본 오토스케일 정책이 적용됨
{{소스헤더|레플리케이션 컨트롤러에 적용}}
<source lang='bash'>
<source lang='bash'>
# 레플리케이션 컨트롤러 "foo"에 오토스케일 적용
# pod의 수는 1~5개, 목표 CPU 사용률 80%
kubectl autoscale rc foo --max=5 --cpu-percent=80
kubectl autoscale rc foo --max=5 --cpu-percent=80
</source>
</source>
:→ 레플리케이션 컨트롤러 "foo"에 오토스케일 적용
:→ pod 수는 1~5개, 목표 CPU 사용률 80%


==같이 보기==
==같이 보기==
* [[kubectl]]
* [[kubectl]]
* [[kubectl get hpa]]
* [[k8s HPA]]
* [[k8s HPA]]
* [[오토스케일링]]


==참고==
==참고==

2019년 4월 28일 (일) 20:47 기준 최신판

1 개요[ | ]

kubectl autoscale
디플로이먼트에 적용
kubectl autoscale deployment foo --min=2 --max=10
→ 디플로이먼트 "foo"에 오토스케일 적용
→ pod 수는 2~10개
→ 목표 CPU 사용률이 지정되지 않았으므로 기본 오토스케일 정책이 적용됨
레플리케이션 컨트롤러에 적용
kubectl autoscale rc foo --max=5 --cpu-percent=80
→ 레플리케이션 컨트롤러 "foo"에 오토스케일 적용
→ pod 수는 1~5개, 목표 CPU 사용률 80%

2 같이 보기[ | ]

3 참고[ | ]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