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 ]
- autoscaling, auto scaling, auto-scaling, automatic scaling
- 오토스케일링, 자동크기조정, 자동규모조정, 자동 확장
- 시스템이 컴퓨팅 리소스의 규모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기능
- 어떤 기준에 따라 자동으로 활성 서버의 수를 증감시키는 일
- 리소스 사용량 등 측정 기준치에 따라 컴퓨팅 자원의 규모를 자동으로 증감시키는 것
- 사용자가 정의한 주기(스케줄링)나 이벤트(모니터링 알람)에 따라 서버를 자동으로 생성하거나 삭제하는 일
- 리소스 사용률 등 측정값에 대해 기준치 조건을 설정하고 상황에 따라 컴퓨팅 자원의 규모를 자동으로 증감시켜 합리적인 리소스 사용량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기술
- 주로 부하량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
- 오토스케일링 시스템을 사용하면 필요할 때 리소스가 자동으로 추가되고 변동하는 사용자 요구사항에 맞게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 오토스케일링 프로세스는 다양하며 메모리 또는 프로세스 시간과 같은 다양한 메트릭을 기반으로 확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 관리형 클라우드 서비스는 대부분의 온프레미스 배포보다 더 많은 옵션과 구현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오토스케일링이 가능하다.
- 과거에는 인프라와 애플리케이션이 최대 시스템 사용량을 고려하도록 설계되었다.
- 이러한 아키텍처는 더 많은 리소스가 충분히 활용되지 않고 변화하는 소비자 수요에 비탄력적이었다.
- 비탄력성 떄문에 더 높은 비용을 지불하거나, 초과 수요로 인해 가동이 중단되고 비즈니스에 지장이 발생하곤 했다.
- 클라우드를 활용하고 애플리케이션과 해당 종속성을 가상화·컨테이너화하여, 사용자 요구에 따라 크기가 조정되는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할 수 있다.
- 애플리케이션 수요를 모니터링하고 자동으로 크기를 조정함으로써 최적의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 매주 금요일 저녁 Netflix 시청률이 증가하는 것을 생각해보자.
- 더 많은 비디오 스트리밍을 감당할 수 있도록 서버 수가 늘었다가, 수요가 평소 수준으로 줄어들면 서버 수도 줄어들 수 있다.
2 같이 보기[ | ]
3 참고[ | ]
편집자 Jmnote
로그인하시면 댓글을 쓸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