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집합, 교집합"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8번째 줄: 8번째 줄:
*<math>A\cup B</math>
*<math>A\cup B</math>
*두 집합 A와 B가 있을 때, A에 속하거나 B에 속하는 원소의 집합
*두 집합 A와 B가 있을 때, A에 속하거나 B에 속하는 원소의 집합
:<math>A \cap B = \{ x: x \in A \,\lor x \in B\}</math>
:<math>A \cup B = \{ x: x \in A \,\lor x \in B\}</math>
*[[교환법칙]], [[결합법칙]], [[멱등법칙]] 성립
*[[교환법칙]], [[결합법칙]], [[멱등법칙]] 성립


31번째 줄: 31번째 줄:
*[[관계대수]]
*[[관계대수]]
*[[공집합]]
*[[공집합]]
*[[MySQL 합집합, 교집합]]
*[[PHP 합집합, 교집합, 차집합, 대칭차]]
*[[서로소]]
*[[UNION, UNION ALL]]


==참고 자료==
==참고==
*http://en.wikipedia.org/wiki/Union_(set_theory)
*http://en.wikipedia.org/wiki/Union_(set_theory)
*https://en.wikipedia.org/wiki/Intersection_(set_theory)
*https://en.wikipedia.org/wiki/Intersection_(set_theory)

2017년 11월 21일 (화) 23:50 기준 최신판

union
합집합
intersection
교집합

1 합집합[ | ]

  • [math]\displaystyle{ A\cup B }[/math]
  • 두 집합 A와 B가 있을 때, A에 속하거나 B에 속하는 원소의 집합
[math]\displaystyle{ A \cup B = \{ x: x \in A \,\lor x \in B\} }[/math]

 

 

2 교집합[ | ]

  • [math]\displaystyle{ A\cap B }[/math]
  • 두 집합 A와 B가 있을 때, A와 B에 모두 속하는 원소의 집합
[math]\displaystyle{ A \cap B = \{ x: x \in A \,\land x \in B\} }[/math]

 

 

3 같이 보기[ | ]

4 참고[ | ]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