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도의 관료사회

(9791199133464에서 넘어옴)

1 개요[ | ]

에도의 관료사회 --- 무사집단에서 관료조직으로
江戸の役人事情 --- 『よしの冊子』の世界
편집 정철 표지 디자인 김상만
발행 정철 출판사 빈서재
이메일 pinkcrimson@gmail.com
ISBN 979-11-991334‑6‑4 (94910)

가로 128mm X 세로 188mm
314페이지. 22000원.

913 일본사 > 일본 근세사
332 사회 조직 및 제도
351 아시아 > 일본 행정조직

2 이미지[ | ]

Josi03.pngJosi04.png

전체 표지 보기

Josi01.pngJosi02.pngJosi03.pngJosi04.pngJosi05.png

3 목차[ | ]

서문과 머리말 8
한국의 독자 여러분께 8
머리말 11

제 1 장 거짓은 참, 참은 거짓인 이야기 17
1.1 ‘그런 듯하다’의 세계 21
1.2 나가우타인가, 와카인가 22
1.3 사다노부 씨의 진위 판정? 24
1.4 오니와반과 태평 보케 27
1.5 대학자의 일기 증언 31
1.6 「선조서」 소동 33
1.7 악당의 횡행 36
1.8 에도의 ‘이레코 세공’ 38
1.9 ‘이레코’ 적발의 시비 41
1.10 ‘이레코’와 양자 48
1.11 ‘살아있는 셈’ 54
1.12 공식문서의 어둠 56
1.13 기무라 가이슈의 관찰 59

제 2 장 고급 관료의 세계—하타모토의 긍지와 출세 61
2.1 성실한 근로 인간 62
2.2 ‘이것이야말로 고로주다’ 66
2.3 에도의 수상 68
2.4 ‘메지로 어전’의 대객 등성 전 71
2.5 메쓰케의 직무와 지위 75
2.6 역직 보수와 필요 경비 78
2.7 오줌을 지리다 81
2.8 스파이와 스태프 83
2.9 메쓰케의 스태프 기능 84
2.10 료반이라는 명문가 88
2.11 커리어와 논커리어 91
2.12 투표와 능력주의 95
2.13 ‘이레후다’의 내막 97
2.14 정변과 메쓰케 100
2.15 메쓰케 대량 해임의 소문 105
2.16 출세와 ‘과로사’ 109

제 3 장 메쓰케와 ‘도노사마’ 115
3.1 세록은 무능의 원천 116
3.2 양자와 능력주의 118
3.3 ‘오쿠’와 고난도 121
3.4 쇼군의 ‘외척’ 이와모토 가의 경우 126
3.5 오쿠와 오모테의 항쟁 130
3.6 오쿠가 ‘내던지다’ 132
3.7 메쓰케의 불만과 낙담 136
3.8 ‘오쿠의 특선’ 139
3.9 오다기리 도사노카미의 마치부교로의 ‘초천’ 144
3.10 ‘가난한 사람은 개를 먹어라’ 146
3.11 도노사마와 요리키 ·도신 152
3.12 ‘평판’과 ‘살인자’ 157
3.13 개혁과 마치부교쇼 160

제 4 장 간조쇼 수뇌와 개혁 정치 166
4.1 간조쇼라는 관청 167
4.2 하급 막신의 희망 170
4.3 정변과 부교쇼 인사 172
4.4 사다노부의 부교들 174
4.5 긴미야쿠와 간조쇼 개혁 181
4.6 긴미야쿠아라타메구미의 이상함 185
4.7 공금횡령 사건의 파문 187
4.8 스파이와 밀고 191
4.9 진파치 선생의 ‘삼단 뛰기’ 194
4.10 발탁과 불만 198
4.11 간조쇼 통제의 ‘성공’ 201
4.12 구제의 생존 204
4.13 나가사키 문제와 ‘적재적소’ 206
4.14 도노사마의 ‘풋내기 논리’와 실무가의 ‘현상 유지’ 208

제 5 장 출세와 직능 211
5.1 ‘노동’과 ‘독실’함 212
5.2 필산음미와 「오노 일기」 217
5.3 내부시험과 일반시험 220
5.4 수험 공부 224
5.5 근속 20년 원칙 230
5.6 상급 하타모토 불참 규칙 234
5.7 친인척 네트워크 237
5.8 ‘유능한’ 남자들과 ‘구획된’ 경쟁 240
5.9 ‘피를 토하는’ 노력 243
5.10 연줄과 실력 246

간세이의 흑선, 막말의 흑선 — 라인과 스태프 250
1. 간세이의 흑선 251
2. ‘젖비린내 나는 어린애’ 255
3. 실무파와 정략파 258
4. 막말의 대립 260
5. 에도의 라인과 스태프 269
6. 역사의 교훈 271

후기와 참고문헌 274
저자 후기 274
역자 후기 278
참고문헌 293
에도시대 막부 관직 구조 296
찾아보기 304

4 출판사 책소개[ | ]

[헤드카피] "기나긴 세습신분제 시대 속에서 높은 신분과 뛰어난 두뇌를 모두 갖춘 정부 수장 마쓰다이라 사다노부가 등장했다. 근세후기 일본 사회의 개혁을 이끈 사다노부. 그의 리더십은 방대한 양의 정보였다."

  • 비밀리에 수집한 그 정보집이 바로 『요시노조시』다. 사다노부는 인사권자로서 공직사회에 떠도는 소문을 파악하기 위해 이 정보들을 수집했지만, 지금 우리는 이 책을 통해 근세후기 일본의 무사사회에 접근할 수 있다.
  • 에도 공무원의 핵심 보직은 메쓰케였다. 메쓰케는 비서실장이자, 감사실장이었고 승진을 위한 도약대였지만 과로사할 정도로 업무가 많았다. 이런 메쓰케가 어떤 식으로 일했고, 어떻게 에도 막부를 지탱했는지 비밀리에 수집된 ‘카더라 통신’보고서를 통해 살펴본다.
  • 또다른 핵심 조직은 간조쇼였다. 기획재정부와 행정안전부가 섞인듯한 이 조직은 사실상 돈과 국가 살림에 관한 대부분의 일을 관장했다. 그 안에서 어떻게 승진할 것인가, 아니면 어떻게 좌천되지 않고 버틸 것인가에는 전략이 필요했다. 능력은 도움이 되었지만 핵심 요소라고 할 수는 없었다.


5 저자 / 역자 소개[ | ]

지은이 미즈타니 미쓰히로(水谷三公). 국학원(國學院)대학 법학부 명예교수. 1944년 나라(奈良)현 출생. 도쿄(東京)대 법학부 졸업 후 도쿄도립대(東京都立大) 및 국학원대학 법학부 교수를 역임했다. 행정학, 일본정치사, 영국과 일본의 비교정치사를 전문으로 한다. 본서는 그의 오랜 관심분야인 근세일본의 관료조직에 대한 분석으로, 에도시대 사회사적 분석인『에도는 꿈인가(江戸は夢か)』(1992)의 자매편 격이다. 그 외 저서로는『영국 왕실과 미디어(イギリス王室とメディア)』(1995), 『일본의 근대13 관료의 풍모(日本の近代13 官僚の風貌)』(1999), 『마루야마 마사오—시대의 초상(丸山眞男―ある時代の肖像)』(2004) 등이 있다.


옮긴이 이새봄. 세이케이(成蹊)대 법학부 정치학과 교수. 도쿄대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주로 19세기 일본을 중심으로 한 정치사상사 연구를 진행 중이다. 저서로는『「自由」を求めた儒者—中村正直の理想と現實』(中央公論新社, 2020)가 있다. 그 외 1차 사료의 번역과 그에 대한 분석을 쓴『메이로쿠 잡지』(빈서재, 2021)가 있고, 역서로는 와타나베 히로시(渡邊浩)의『동아시아의 왕권과 사상』(고려대출판문화원, 2023),『네덜란드 풍설서』(빈서재, 2023)가 있다.

[출판사 / 총서 소개]

에도 말기와 메이지유신 전환기를 주로 공부하는 박훈 교수는 도쿠가와 시대를 다룬 연구서가 매우 적다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주변의 연구자들을 모으고 때를 기다리다가 플라톤 아카데미와 함께 연구서를 출간할 기회를 마련했다. 한일관계가 나빠질수록 서로를 알아야 미래를 기약할 수 있다는 생각으로 그간 외면되었던 일본 근세와 근대의 주요 연구를 소개하고자 한다. 빈서재 출판사는 이에 호응하여 연구총서를 준비했다.

6 띠지의 추천서 목록[ | ]

근세 일본 인물 고전/사료 소개
  • 오다 노부나가와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어떤 인물인가 (루이스 프로이스 / 위더스북)
  • 서양기문 (아라이 하쿠세키 / 세창출판사)
  • 근세 한일관계 사료집 (동북아역사재단)
  • 동해도 도보여행기 (짓펜샤 잇쿠 / 세창출판사)
  • 도비문답 (이시다 바이간 / 호밀밭)
  • 논어고의 (이토 진사이 / 그린비)
  • 정담 (오규 소라이 / 서해문집)
  • 교린제성 (아메노모리 호슈 / 국학자료원)
  • 신황정통기 (기타바타케 지카후사 / 소명출판)
근세 일본 연구서/교양서 소개
  • 일본 정치사상사 (와타나베 히로시 / 고려대학교출판문화원)
  • 일본근세의 쇄국과 개국 (야마구치 게이지 / 혜안)
  • 일본근세사 (이계황 / 혜안)
  • 근세 일본의 경제발전과 근면혁명 (하야미 아키라 / 혜안)
  • 에도 감옥 창살 너머의 역사 - 근세 일본 죄와 벌의 기록 (오사타케 다케키 / 어문학사)
  • 에도시대 도시를 걷다 - 조선통신사가 인식한 문화공간으로서의 일본 도시 (김경숙 / 소명출판)
  • 에도 시대를 알면 현대 일본이 보인다 (류광하 / 책나무출판사)
  • 근세 도쿠가와 일본의 재해사 - 에도 시대의 경험을 배운다 (구라치 가쓰나오 / 역락)
  • 식물도시 에도의 탄생 - 도쿠가와 가문은 어떻게 원예로 한 시대를 지배했는가 (이나가키 히데히로 / 글항아리)
  • 거상들의 시대 - 에도시대 300년, 일본은 어떻게 경제번영의 초석을 마련했는가? (와키모토 유이치 / 한즈미디어)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