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래쉬

  다른 뜻에 대해서는 크래쉬 (1996)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 폴 해기스의 영화 크래쉬는 크래쉬_영화로 가세요.
  • About the Korean metal band Crash in English

1 # Endless Supply of Pain[ | ]

 

개인적인 체험에 대해 얘기하면 나는 90년경부터 음악을 '신경써가며' 듣게 되었는데 그때 중고등학생 메틀 키드들의 생각은 어떤 것이었냐면 "스래쉬 메틀 아닌것도 음악이냐?"이었다. 흔히 팝/락이라고 얘기하듯 종종 팝과 락은 구분이 잘 안되곤 하는데 그런 것들은 마치 순정만화처럼 우리들 사이에서 폄하되곤 했다. 심지어 락 -> 하드락 -> 하드코어 -> 스래쉬 메틀 이런 식으로 '음악'이 진화되었다고 믿었다. 저런 파시스트나 할 법한 생각까지 들 정도로 스래쉬 메틀은 당시 피끓는 청춘들을 펄펄 뛰게 만들만큼 정열적인 음악이었다. 솔직히 지금도 그만큼 정열적이고 (음악적으로) 진보적이며 실력이 통하는 장르는 별로 없다고 생각한다.

92년에 좃선일보가 후원한 환경보호 슈퍼콘서트인 '내일은 늦으리'가 있었다. 서태지, 신승훈, 넥스트등이 참여한 당대의 최고 스타들이 모여있던 공연이었고 이것은 다음해에도 진행되었다. '93 내일은 늦으리' 역시 015B, 듀스, 이승환 등이 참여해 진행되었는데 이 앨범 마지막 곡을 크래쉬라는 조금 생소한 이름의 밴드가 연주해주고 있었다. 그 곡 '최후의 날에'는 크래쉬의 강렬한 스래쉬 곡이었고 이후 '93 내일은 늦으리'라는 음반의 가치는 '최후의 날에'의 첫번째 버젼이 실려있다는 것으로 매겨지게 될 정도로 사람들에게 크래쉬라는 이름을 각인시켰다. 한국에서 이런 정통 스래쉬 사운드를 만날 수 있다는 것은 메틀 키드들을 두근거리게 만들기 충분했다.

그리고 그해 말 크래쉬의 데뷔앨범 'Endless Supply of Pain'이 나왔다. 이 앨범의 발매로 한국의 헤비 사운드는 일대 전기를 맞이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데 당시 국내 밴드들 중에서 이들만큼 육중한 사운드를 만들어내는 그룹은 별로 없었을 뿐만 아니라 레코딩에서 세계적인 수준의 결과물을 만들어냈기 때문이다.
이들이 레코딩에서 이정도의 결과물을 낼 수 있었던 것은 아무래도 프로듀서 콜린 리처드슨Colin Richardson의 존재때문일 것이다. 카니발 콥스CarnibalCorps, 카르카스Carcass의 앨범 프로듀서로 유명한 그를 불러들인 것은 당시 SKC가 의욕적으로 만든 메탈 전문 레이블 메틀포스Metal Force의 멤버들이었고 그들의 의욕과 크래쉬의 실력, 그리고 콜린 리처드슨이 만나서 이런 앨범이 나올 수 있었던 것이다.
이후 메틀리카Metallica의 프로듀서로 유명한 플레밍 라스무센Flemming Rasmussen이 멍키 헤드의 2집을 녹음했지만 콜린이 크래쉬와 만든 이 사운드에 비하면 그 완성도는 매우 약했다. 크래쉬는 3, 4집에서도 계속 콜린과 작업하여 환상 궁합을 맞춰왔다.

자 앨범 'Endless Supply of Pain'을 들어보자.
첫곡 Scream부터 터져나오는 강렬한 기타리프는 사실 지금 들으면 '호오 잘하네' 싶은 정도지만 93년도에 들었을 때는 '헉!'소리가 나올 정도의 것이었다. 그리고 뿜어져나오는 안흥찬의 보컬을 들으면 국내 밴드의 앨범이라는 생각을 잠시 잊게 된다.
My Worst Enemy에서 한국어 가사에 실어내는 스래쉬 메틀을 들었을 때야 '아 이들은 크래쉬였구나.'하는 느낌이 새삼스럽게 드는 것이다. 특히 이 곡은 완급 조절이 뚜렷하기 때문에 기억에 남는 곡이다. 이런 곡을 듣다가 이들이 당시 3인조였다는 것을 생각해보면 크래쉬의 박력이 다시한번 당신을 압도하는 느낌이 들 것이라 생각한다.
Smoke on the Water는 그 리프 하나로 너무나 유명한 딥 퍼플DeepPurple의 곡인데 원곡의 냄새를 살리면서도 자신들의 스타일로 잘 커버해주고 있다. 원곡에 없는 기타솔로와 함께 질주하는 드러밍은 해외 밴드들에 대한 부러움을 잊게 해줄만큼의 파워다.
'최후의 날에'는 이들이 '93 내일은 늦으리'에 실었던 곡으로 비장미 넘치는 어쿠스틱 연주로 시작하다가 나레이션으로 분위기를 고조시키고 본격적인 스래쉬 연주가 나오는, 이들이 초기에 간판으로 내세울만큼 힘과 구성이 있는 곡이다. 환경파괴로 암울한 미래를 맞이한다는 가사 내용과 음악이 매우 잘 어울리고 그 우리말 가사가 귀에 쏙 들어오는 시원시원한 곡이다.

안흥찬의 보컬은 오비츄어리Obituary를 생각하게 하는 구석이 있긴 하지만, 사실 그로울링이라는 것이 좀 뻔한 창법이기 때문에 세계적으로 봐도 그렇게 개성적인 데스메틀 보컬은 많지 않다. 안흥찬의 보컬은 저 밑에서 용암을 뚫고 오르는 듯한 묵직함에 매력이 있다고 생각한다. 이후의 앨범들에서 락발라드 같은 곡들도 소화하는 등 여러가지 모습을 보여주지만 이 앨범에서는 처음부터 끝까지 분노만을 분출시킨다.
윤두병의 기타는 이 앨범에서 가장 높은 완성도를 성취한 포지션이 아닌가 싶은데 데뷔앨범을 녹음한 기타리스트라고는 믿기 어려울만큼 리드믹하고 훅이 있으며 맺고 끊는 것이 분명한 연주를 들려준다. 애석하게도 그는 2집을 끝으로 탈퇴하였는데 이후 그의 자리는 두명의 기타리스트가 메워야 했다.
정용욱은 이 앨범 녹음 당시 만 18세였다. 10대가 만드는 드러밍이라고는 도저히 생각되지 않는 속도, 파워 그리고 비트에 대한 감각은 다른 형님들에 비해 전혀 뒤지지 않았으며 그는 안흥찬과 함께 지금까지 크래쉬를 지켜나가고 있다.

사실 크래쉬가 탄력을 받은 것은 이 앨범 공개 이후 서태지와 아이들 3집(1994)에 수록된 '교실 이데아'에 안흥찬이 보컬로 참여했기 때문이었다. 서글픈 일이긴 하지만 사람들은 교실 이데아에 삽입된 극단적인 목소리에 놀라고 나서야 국내에도 이런 보컬이 있나 하고 두리번거렸던 것이다.
그리고 이들은 엄청난 압박을 받게되었다. 데뷔앨범에서 이정도를 만들어낸 그들에게 팬들이 기대를 하는 것은 당연했다. 메틀이라는 생소한 장르로 단번에 마이너의 냄새를 털어버린 그들이 다음 앨범에서 어떤 사운드를 만들어줄 것인가를 팬들은 초조하게 기다렸다. 2년만에 나온 2집 'To Be or Not to Be'(1995)는 변화의 모습에도 불구하고 사운드상의 충격을 더이상 주지 못했다는 점에서 팬들의 외면을 받았다. 예정된 2년차 증후군이었다.

이후 2년 3년의 시간차를 두면서 이들은 꾸준히 앨범을 내놓아 올해 나온 'The Massive Crush'(2003)가 벌써 다섯번째 앨범이다. 이들은 일단 이것으로도 높은 평가를 받을만한데 끊임없는 라이브와 앨범으로 십년간 다섯 앨범을 내놓으며 살아남는다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게다가 이들은 지금 철지난 음악으로 여겨지는 메틀 사운드 하나로 여기까지 왔다. 이쯤되면 크래쉬는 형님 소리를 들어도 될 연륜이다.
게다가 이들은 결코 나태하지 않았다. 4집 'Terminal Dream Flow'(2000)이후 테크노 인더스트리얼적인 요소라는 실험을 하기 위해 노력했다. 콜린 리처드슨은 피어 팩토리FearFactory라는 인더스트리얼 테크노의 명그룹과 작업했었으니만큼 역시 찰떡궁합이었다. 이현도의 '完全힙합'(2000)에 참여해서 랩메틀적인 시도까지 하는 등 크래쉬는 왕성하진 않아도 꾸준히 사운드의 실험을 추구했던 것이다.
크래쉬의 우리말 사랑 역시 지적해둘만한 부분이다. 이들의 이전작들에서는 영어 가사가 압도적으로 많지만 주요 곡들 두세곡은 꼭 우리말로 부르거나 우리말 버젼을 함께 담았다. 그리고 근작 The Massive Crush에서는 우리말 가사가 매우 늘었다. 어떻게보면 이들이 세계시장으로 뻗어가기보다는 국내에 치중하기로 한 것이라고도 볼 수 있어 조금 안타까운 면이 없지 않지만 우리의 것으로 잘 소화한 다음에서야 세계적으로도 먹힐 수 있으니 이보전진을 위한 것이라고 생각해도 좋을 것이다.
사실 크래쉬는 검증된 실력 뿐 아니라 깔끔하고 깊이있는 레코딩이 가능한 밴드이기 때문에 해외, 특히 일본의 메틀 팬들에게서 은근한 주목을 받고있다. 나는 이들의 4집이 나왔을 때 나왔는지도 몰랐는데 일본인 친구가 나에게 메일로 구해달라고 얘기를 해서 나온 사실을 알았을 정도니까 말이다.

메틀 키드, 아니 스래쉬 키드의 관점으로 옛 아이돌들을 생각해본다. 메틀리카는 Load이후로 아무래도 긍정적으로 보기 어려운 상태이고, 메가데스Megadeth는 부적절한 행보를 걷다가 해체상태에 이르렀으며, 슬레이어Slayer는 꿋꿋하게 똑같은 음악을 20년째 하고있고, 헬로윈Helloween은 좀비처럼 되살아나 한국과 일본에서 다시금 인기를 이어가고 있다. 이들을 들으면서 고딩 시절을 보낸 나에게 이들은 그 시절을 떠올리게 하는 코드들인데 아마 크래쉬는 비교하자면 슬레이어와 비슷한 타입일 것이다. 슬레이어는 예나 지금이나 똑같이 긁어대고 있는데 그 고지식함이란 웃음이 나올 정도이다. 아직도 쌍팔년도에나 보일법한 해골, 악마 이미지를 바꾸지도 않고 버티니 말이다. 크래쉬 역시 고집스럽게 자신들의 헤비 사운드를 유지하고 있다. 어떻게보면 변화가 없어서 또 이런 음악이냐 하는 생각이 들 수도 있지만 조금만 애정을 가지고 들으면 이들이 꾸준히 변화를 추구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생각해보니 보컬겸 베이스, 드럼 그리고 트윈기타라는 4인 구성의 포지션 역시 슬레이어와 동일하다.
발라드 가수 십년, 트롯 가수 이십년 하기도 쉬운건 아니다. 하지만 메틀로 십년하기는 그보다 훨씬 어렵다. 우리 사회가 계속 다양성을 받아안아서 계속 이들이 장수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오래간만에 그들의 공연을 보고싶어졌다. -- 거북이 2003-9-28 11:41 pm


  • [판자랑] 4편. *

4. CRASH [ENDLESS SUPPLY OF PAIN]

외국의 음악만 찾으러 돌아다니지 말고 국내의 그것에도 귀를 귀울 여보자. 산울림, 김민기, 마그마, 김수철... 이름만으로도 가슴이 마 구 설레이는 전설적인 음악인들이 은근히 많다. 하지만 오늘은 그런 전설들 - 다시 말해서 노털들 - 보다는 웬지 젊은 (혹은 어린) 음악인 의 넘쳐흐르는 힘이 그립다. 시나위, 백두산, 부활, H2O... 하지만 그 들도 이제는 조금 아저씨들이다. DOWNTOWN, BLACK SYNDROME, BLACK HOLE, SAHARA, MYSTERY... 나쁘지는 않지만 웬지 썰렁하다. 이건 너무 옛날이고, 저건 너무 썰렁하고, 요건 너무 뻔하고, ... 이렇게 조금 해메다가 CRASH를 용감하게 뽑아들고 'SHOUT'를 외친다.

  1. SCREAM
  2. DREAMER OF THE LAST DREAM
  3. MY WORST ENEMY (KOR. VER.) - 앨범의 백미
  4. PENALTY
  5. SMOKE ON THE WATER - DEEP PURPLE의 REMAKE
  6. SELF DESTRUCT
  7. SCREWD UP
  8. 최후의 날에 - '93 내일은 늦으리 삽입. 하지만...
  9. MY WORST ENEMY (ENG. VER.) - 한글로 부르는 것이 더 정겹다.
  10. DON'T RAMBLE ON

이제는 우리나라도 음반장사가 돈벌이가 된다. 외국의 음반사들이 직접 자본을 투입하여 회사를 설립해 장사를 하는가 하면, 국내의 대 기업들도 조금씩 조금씩 음반 사업에 손을 대고 있다. 전자의 예는 WEA나 EMI/계몽사등이 있겠고, 후자의 경우에는 삼성의 NICES나 SKC의 METAL FORCE등이 있곘다. CD를 하청받아 생산하는 것만으로 도저히 만 족할수 없었던 SKC가 큰 맘 먹고 설립한 METAL FORCE에서는 나름대로 획기적인 프로젝트를 마련하게 되었는데, 국내 METAL의 활발한 육성이 바로 그것이었다. 그 시범으로 CRASH가 선정되었고 그 뒤를 이어서 TURBO나 MAN TO MAN등이 계속 나오고 있다. 외국에서 프로듀서를 초빙 함은 물론 자켓까지 국내 생산이 아닌 수입품을 사용하면서 엄청난 대 자본(!)을 투입되어 만들어진 CRASH의 데뷔앨범은 그 기획만으로도 크 나큰 충격이었지만 담고 있는 내용 또한 엄청났다.

국내 음악계의 가장 큰 문제점은 무엇일까? 음악성의 부재? 외국 음 악에 너무 심취하게 되면 국내 음악인들을 깡그리 무시하게 되어버리 는 함정에 빠지는 수가 있는데, 세계 어디에 내놓아도 뒤떨어지지 않 을만한 굉장한 음악인들이 우리 나라에는 상상외로 많이 있다. 시장의 협소? 이제는 우리나라의 음반 수요 시장도 외국 자본들이 군침을 흘 릴 정도로 커버려서 VIRGIN사가 내년 초에 그들의 음반 상점을 우리나 라에 개장할 예정이라고 한다. 매니지먼트의 부족? 아무리 좋은 상품 이 있어도 소비자들이 알지 못하면 팔리지 않는 법이다. 우리 주변에 는 먼지속에 아련히 묻혀져간 안타까운 음악들이 상당히 많다. 이것도 꽤 큰 문제점이기는 하지만, 가장 큰것은 아니다. 필자가 생각하기에 한국의 음악계에서 가장 큰 문제점은 바로 '녹음 기술의 부실'이다. 왜 '서태지와 아이들'과 '봄 여름 가을 겨울'은 그들의 3집 앨범을 외 국에서 녹음했겠는가? 국내 녹음 기술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특 히 이점은 CRASH의 '최후의 날에'를 [내일은 늦으리 93]과 [ENDLESS SUPPLY OF PAIN] 2가지 버전을 세밀히 비교하면서 들어보면 확실히 드 러난다. 특별히 좋은 기기를 사용한 것도 아니고 단지 프로듀서가 외 국인일 뿐인데 이렇게 큰 차이가 있다니... 유능한 기술 인력의 수요 가 강력하게 느껴지는 순간이다. 외국에서 사온 자켓 또한 예전에는 보기 힘들었던 멋이 있다. - CRARH라는 결정적인 오자를 뺀다면... -

여기서 제일 들을만한 곡은 무엇일까? [MY WORST ENEMY]는 아마도 가장 자신있는 곡인듯 '2개국어'로 불러주고 있다. - LIVE에서는 의외 로 영어로 부른다. 소리 지르기는 우리말보다 영어가 더 쉬운듯... - 우리 말로 된 과격한 음악을 듣는다는 것은 확실히 묘한 매력을 준다. 정확한 가사가 수록되어있지 않은 관계로 따라 부르기가 쉽지 않다는 것이 최대 불만이다. [최후의 날에]는 사실상 대중적인 접근을 위해서 자제하면서 만든 곡으로써 이들의 스타일에 정확하게 부합한다고 할수 는 없지만 나름대로 정겨운 곡이다. [SMOKE ON THE WATER]는 참으로 황당하면서도 좋았다. SEPULTRA도, METALLICA도 아닌 DEEP PURPLE이라 니... 귀에 쏙 들어오지는 않지만 [DREAMER OF THE LAST DREAM] 같은 곡도 무시 못할 곡이다.

몇가지 불만이 있다면 LP에는 2곡이나 적게 수록되어 멋모르고 구입 한 매니아들의 심기를 불편하게 했다는 점과, 가사가 수록되어있지 않 아 따라 부르려던 수많은 METAL KID들의 의지를 꺾었다는 점이다. 특 별히 이들만의 색깔을 느낄수 있는 곡을 찾기 힘들다는 점도 약간의 문제가 될지도 모르겠지만 이것이 첫번째 음반이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그정도는 넘어갈수 있는 문제겠다. 너무 많은 사람에게 알려져서 거의 '틴아이돌(!)' 취급을 받고 있는 현 세태 또한 작은 불만으로 여겨진 다.

[서태지와 아이들] 3집에 안흥찬이 참여해서 더욱 세인들의 관심을 모으게 된 CRASH. 게다가 BIOHAZARD의 [PUNISHMENT]를 내지르는 그들 의 LIVE를 보고 '혹시... 다음 앨범에는 RAP METAL...'이라는 생각도 해보았다. - ANTHRAX도, SLAYER도, OBITUARY도, 그리고 CRASH마저 도... - 어디선가 읽은 인터뷰에는 '국악 + THRASH METAL'을 해보고 싶다는 의견을 내세웠는데, 언제나 그렇듯이 뚜껑을 열기 전에는 알수 없다. 어떤 음악으로 우리에게 다시 나타날지는 모르겠지만 절대로 '1 회용 반짝스타'로 끝나지는 말았으면 좋겠다. 1집의 뛰어난 녹음과 자 켓에 뒤떨어지지 않으려면 얼마나 굉장한 것을 우리에게 선사해야 할 련지... METAL FORCE의 썰렁함도 이제는 끝났으면 좋겠다. 아예 엔지 니어도 함께 양성하면 어떨까?

그럼 이만. mrkwang 白

2 # Terminal Dream Flow[ | ]

  ★★★☆

국내 메틀 팬이라면 지난 9일의 서태지 컴백쇼에서 돌아온 서태지보다 '교실 이데아' 때 잠깐 얼굴을 비춘 크래쉬의 안흥찬 쪽이 더 반가웠을지도 모르겠다. 서태지 3집에 참여한 보컬 세션으로 非 메틀 매니아에게까지 유명해진 안흥찬은 서태지의 음악에 대해 "잘 만들었다" 고 비꼼도 부러움도 없이 말할 수 있는 몇 안돼는 언더 - 이미 우리 나라를 대표하는 메틀 그룹이 된 이들에게 이 말이 어울리는지는 모르겠으나 - 뮤지션 중의 하나이고, 이것은 그들이 자신의 음악에 대해 갖고 있는 자신감에 대한 증거로 보인다. 이미 이들은 4집의 방향에 대해 스래쉬적인 뿌리에 인더스트리얼, 테크노, 힙합 등의 장점을 수용한 "혼돈스런" 음악이 될 거라고 예고했었고, 일본 애니메이션 의 세 번째 에피소드를 연상케 하는 세기말적 재킷 디자인부터 테크노의 냄새를 물씬 풍기고 있다. 얼핏 크래쉬와 어울리지 않을 것 같은 장르교배를 통해 태어난 음악에 시류에 편승했다거나, 타협했다는 말을 붙이기가 미안한 것은, 이들이 그 동안 만들어 낸 3장의 앨범에서 보여준 모습과 크로스오버에 대한 안흥찬의 진지한 관심을 믿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 아닌가한다.

인더스트리얼 메틀인 첫곡 'Failure' 와 '2019 A.D'에서 이들이 꾀한 변화를 느낄 수 있으며, 크래쉬 최초의 발라드(!)라 불리는 'Losing'과 '15 Min Ago'에서는 그의 트레이드마크인 분노에 찬 그로울링이 아니라, "노래"를 부르는 안흥찬을 볼 수 있다. 세계시장을 겨냥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의 가사는 대부분 영어로 되어 있지만, 한국말로 노래를 할 때는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보컬 스타일에 변화를 주고 있다. 안흥찬 스스로 "원래 나는 그루브가 없는 뮤지션" 이라고 인터뷰한 적이 있으나, 'Wave of Pain' 과 'Cocoon', 이현도와 함께 부른 '이면'은 다소 뻣뻣했던 이들의 전 앨범들에 비하여 훨씬 유연한 구성을 보여준다. 넥스트에서 세션을 하기도 했던 김유성이 키보디스트로 영입되어 이번 앨범에 테크노적 색을 입히는데 큰 역할을 담당했지만, 아직은 테크노 사운드가 기타나 드럼 같은 필수 파트로 제 몫을 하는 게 아니라 분위기 메이킹에 그치고 있는 듯한 아쉬움이 있으며, 몇몇 곡에서는 융합되지 못한 채 겉돌고 있다는 느낌이 들기도 한다. 스래쉬 메틀을 바탕으로 점점 자유롭게 영역을 넓혀나고자 하는 크래쉬의 실험이 일발성으로 그치지 않으려면 다음 앨범에서는 좀더 적극적으로 크로스오버된 사운드를 들려 주어야 할 것이다. --vanylla, 2000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