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기본 정보 | ||||
국적 | 대한민국 | |||
생년월일 | 1970년 3월 24일 | (55세)|||
출생지 | 대한민국 경기도 의정부시 | |||
키 | 173cm | |||
몸무게 | 70kg | |||
스포츠 | ||||
국가 |
![]() | |||
종목 | 스피드 스케이팅 | |||
은퇴 | 2000년 | |||
최고기록 | ||||
500m | 35.74초 (1998) | |||
1000m | 1분 11.16초 (1999) | |||
1500m | 2분 01.13초 (1989) | |||
3000m | 4분 23.62초 (1988) | |||
5000m | 7분 31.62초 (1988) | |||
10000m | 17분 17.33초 (1987) | |||
ISU 월드컵 | ||||
데뷔 |
1989년 2월 18일 인스브루크(500m 32위) | |||
출전횟수 | 134 | |||
포디움 |
![]() ![]() ![]() | |||
제갈성렬(諸葛成烈, 1970년 3월 24일 ~ )은 대한민국의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 지도자, 해설가이다.
1 빙상인 경력[ | ]
의정부고등학교와 단국대학교, 단국대학교 대학원을 졸업했다. 1992년 동계 올림픽, 1994년 동계 올림픽, 1998년 동계 올림픽의 500m·1000m에 출전했다. 1996년 동계 아시안 게임 500m에서 금메달을 차지하였고, 그 해에 스피드 스케이팅에서 동계 올림픽 다음가는 권위를 자랑하는 대회인 세계 종목별 선수권 대회 1000m에서 동메달을 획득하였다. 1999년 동계 아시안 게임 500m에서 은메달을 획득한 후 은퇴하였다. 1990년대에 김윤만과 함께 대한민국의 남자 단거리 스피드 스케이팅을 주도하던 선수였지만, 김윤만과 달리 올림픽 메달과는 인연을 맺지 못했다. 빙상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2001년 체육훈장 거상장을 받았다. 그 후 2002년과 2006년 동계 올림픽에서는 이규혁의 전담 코치를 맡는 등 지도자 생활을 하였고, 2010년 동계 올림픽의 SBS 해설 위원으로도 활동했으나 2010년 2월 24일 특정 종교적 발언으로 인해 그 다음 날 자진 하차했다. 2010년 7월 28일 국제심판 자격을 정식으로 취득하였다.[1]
2 이력[ | ]
- 2010년 동계 올림픽 스피드 스케이팅 SBS 해설위원
- MBC, SBS 스피드스케이팅 해설위원, 평창동계올림픽 자문위원, 춘천시청 스피드스케이팅 감독, 단국대학교, 송호대학교 스피드스케이팅 강사
- 1998년 동계 올림픽 국가대표
- 1994년 동계 올림픽 국가대표
- 1992년 동계 올림픽 국가대표
3 수상[ | ]
- 2001년 대한민국 체육훈장 거상장
- 1999년 강원 동계아시안게임 스피드스케이팅 500m 2위
- 1997년 세계 월드컵대회 1000m 우승
- 1997년 세계 월드컵대회 500m 우승
- 1997년 세계 월드컵대회 1000m 우승
- 1996년 코카콜라 체육대상 기록부문 최우수선수상
- 1996년 세계종별선수권대회 스피드스케이팅 1000m 3위
- 1996년 하얼빈 동계 아시안게임 스피드스케이팅 500m 우승
4 해설자 경력[ | ]
2010년 동계 올림픽에서 SBS가 단독 중계하는 올림픽 해설위원이 되었다. 이 대회 방송 중계를 SBS에서 독점하면서 그는 이 대회 스피드 스케이팅 종목 중계 해설도 단독으로 맡게 된 가운데, 스피드 스케이팅 종목에서 대한민국 선수들의 선전이 이어지면서 그도 방송에서 큰 유명세를 탔다. 특히 독특한 해설과 입담으로 유명해졌으며[2], 일명 '샤우팅 해설', '타잔 해설' 등으로 불리며 눈길을 끌었으나,[3] 엉터리 해설과 부실한 경기 해설, 괴성을 지르는 행동 등으로 인해 전문성과 경기 해설가로서의 자질이 의심스럽다는 비판도 있다.[4] 이런 논란에 대해 제갈성렬 본인은 '빙상인으로서의 꿈이 이루어진 순간 도저히 흥분하지 않을 수 없었다'라고 해명하였다[5].
2010년 2월 24일 열린 남자 10,000m 스피드 스케이팅 경기 중계 도중 이승훈 선수의 금메달이 확정되자 '주님이 허락하셔서 금메달을 땄다' 라는 특정 종교 발언을 해 시청자들의 비난을 사기도 했었는데, 이후 제갈성렬은 '너무 기쁜 나머지 자신도 모르게 나온 말' 이라며 사과하였다. 또한, 스벤 크라머르 선수가 실격을 당했지만 그 사유를 단순히 '콘을 타 넘어서 실격'이라는 말만 되풀이 했으며 OBS(올림픽 주관 방송사)에서는 실격 사유 장면을 그 후로도 수차례 보여 주었고 타국의 취재진들 또한 왜 크라머르 선수가 실격이 되었는지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알려준 것에 반해 제갈성렬은 경기가 끝날 때까지 정확한 실격 사유를 알지 못하여 시청자와 기자들이 잘못된 정보를 가지게끔 하였다.[6] 이러한 여러 비난으로 인해 그가 하차한 후, 남은 종목인 팀추월 경기는 김정일 아나운서가 단독으로 중계했다.
5 출신 학교[ | ]
- 서울화계초등학교
- 의정부중학교
- 의정부고등학교
6 같이 보기[ | ]
7 각주[ | ]
- ↑ 스피드스케이팅 제갈성렬 감독, 국제심판 자격증 취득 - 스포츠조선
- ↑ `무대뽀` 말투, 제갈성렬 `타잔해설` 화제[(과거 내용 찾기)] 매일경제 2010년 2월 17일
- ↑ 샤우팅 해설 제갈성렬, 동계올림픽 ‘어록왕’[(과거 내용 찾기)] 헤럴드경제 2010년 2월 18일
- ↑ 제갈성렬, 전문가 맞아? 부실 해설 “주님..”[(과거 내용 찾기)] 투데이코리아 2010년 2월 24일
- ↑ 제갈성렬 "샤우팅 해설? 현장에서 기쁨 감추고 싶지 않아" Archived 2016년 3월 4일 - 웨이백 머신 한경닷컴 2010년 2월 20일
- ↑ '샤우팅 해설' 제갈성렬 이번엔 '엉터리 해설' 연합뉴스 2010년 2월 24일
8 외부 링크[ | ]
- 위키백과 "제갈성렬"
위키낱말사전 "제갈성렬"
- 다음사전 "제갈성렬"
- 다음백과 "제갈성렬"
- 네이버사전 "제갈성렬"
네이버백과 "제갈성렬"
나무위키 "제갈성렬"
- 리브레 위키 "제갈성렬"
- (영어) 제갈성렬 - 국제 빙상 연맹
- (영어) 제갈성렬 - Speedskatingstats.com
- (네덜란드어) 제갈성렬 - Schaatsstatistieken.nl
- (영어/네덜란드어) 제갈성렬 - SpeedSkatingNews
- (영어) 제갈성렬 - Sports Reference.com
- 정리 필요
- 1970년 출생
- 살아있는 사람
- 대한민국의 스피드스케이팅 선수
- 대한민국의 대학 강사
- 대한민국의 스포츠 해설가
- 대한민국의 올림픽 스피드스케이팅 참가 선수
- 1992년 동계 올림픽 스피드스케이팅 참가 선수
- 1994년 동계 올림픽 스피드스케이팅 참가 선수
- 1998년 동계 올림픽 스피드스케이팅 참가 선수
- 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금메달리스트
- 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은메달리스트
- 아시안 게임 스피드스케이팅 메달리스트
- 1996년 동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
- 1999년 동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
- 1990년 동계 아시안 게임 스피드스케이팅 참가 선수
- 1996년 동계 아시안 게임 스피드스케이팅 참가 선수
- 1999년 동계 아시안 게임 스피드스케이팅 참가 선수
- 1991년 동계 유니버시아드 스피드스케이팅 참가 선수
- 체육훈장 거상장 수훈자
- 의정부시 출신
- 대한민국의 개신교도
- 강심장의 남자 게스트
- 강심장의 역대 강심장
- 도전! 1000곡 시즌2의 남자 게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