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학

1 개요[ | ]

anthropology
人類
인류학
  • 인간에 관한 모든 것을 연구하는 학문
  • 연구의 대상과 범위가 매우 광범위하고 19세기 이후 학문으로서 체계화되었음
  • 오늘날 인류학이라고 하면 사회문화인류학을 지칭하는 경우가 일반적이ㅇ;ㅁ
  • 인류학과 연관된 사회나 문화를 중심으로한 연구분야는 많은 현대이론의 형성에 영향을 끼쳤으며 핵심적 기초과학 학문
  • 인류학의 관점은 문화상대주의(cultural relativism)·비교문화론·총체적 접근(holistic approach)
  • 현대인류학의 관심과 기법은 물리학·생물학·행동과학·사회과학 등 폭넓은 전문분야에 걸쳐 있음

2 하위 학문[ | ]

  • 형질인류학(인간의 기원과 진화를 다루는 분야와 현대 인류의 다양성을 연구하는 분야)
  • 고고학(선사시대와 같은 오래된 인류의 유적 등을 연구하여 당시의 문화 등을 규명하는 것을 주요 연구분야)
  • 문화인류학(오늘날 다양하게 존재하는 여러 문화들에 대해 총체적으로 연구;가족, 친족관계, 경제생활, 정치생활, 종교생활과 같은 여러 문화적 생활을 연구하여 해당 사회의 내적 규칙)
  • 민족학(ethnology)
  • 민속학(folklore)

3 인류학의 역사[ | ]

인류학은 19세기 중반 당시 유행하던 여러 학문들의 지적 유산에 영향을 받아 탄생했다. 초창기에는 진화론·우생학 등에 큰 영향을 받아, 친족형태의 진화, 문명의 진화, 종교의 진화 등을 중심적으로 연구하며 인종주의제국주의의 발흥에 기여하기도 했다.

초기에는 진화론과 비교의 관점을 강하게 지녔다. 그 후 1900년 초기에 보아스컬럼비아 대학교에서 진화론을 부정하고 고전적 인류학의 근간이 되는 네 가지 접근법의 기초를 닦았다. 고전적 인류학의 네 가지 접근법은 언어학, 고고학, 문화인류학 그리고 체질인류학이다.

인류학은 영국에 전통을 둔 사회인류학, 미국에서 발전해 온 문화인류학, 독일, 오스트리아, 네덜란드 등을 중심으로 형성된 민족학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현대 인류학은 수많은 갈래로 퍼져나가고 있으며, 그중 21세기 초기에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는 분야 학문 중 개발인류학, 의료인류학 등이 있다.

  • 1600년대 루소로크의 인식론적 접근법
  • 1800년대 진화론의 발상과 인종적 분류법 - 스펜서, 타일러
  • 1900년대 초기 보아스
    • 보아스는 많은 제자를 두었으며 미국 인류학계의 아버지라 불린다. 그와 그의 제자들은 다양한 문화에 대한 조사기록을 축적했으며 미대륙 인디언의 문화 보존에도 노력을 기울였다. 한편 1920년대에 영국에서는 식민지에 대한 통제가 문제시되면서 사회의 안정을 연구하는 구조주의기능주의 인류학이 말리노프스키래드클리프브라운에 의해 대두되었다.
  • 영국 구조주의
  • 기능주의
  • 구조기능주의
  • 상징주의
  • 탈근대론
  • 신근대론

4 명저 50[ | ]

문화인류학의 명저 50
  • 저자명 / 원서명(출간년도) / 한국어 제목 / 역자, 출판사, 년도
  • 제1장 초창기 문화인류학의 고전
  • 에드워드 타일러 / Primitive Culture (1871) / 원시문화 / (번역본 정보 확인 불가)
  • 루이스 헨리 모건 / Ancient Society (1877) / 고대사회 / (번역본 정보 확인 불가)
  • 제임스 프레이저 / The Golden Bough (1890) / 황금가지 / (번역본 정보 확인 불가)
  • 허턴 웹스터 / Primitive Secret Societies (1908) / 미개의 비밀결사 / (번역본 정보 확인 불가)
  • 아르놀트 반 게넵 / Les rites de passage (1909) / 통과의례 / (번역본 정보 확인 불가)
  • 로베르 에르츠 / La prééminence de la main droite (1909) / 오른손의 우월성 / (번역본 정보 확인 불가)
  • 루시앙 레비 브륄 / Les fonctions mentales dans les sociétés inférieures (1910) / 미개사회의 사유 / (번역본 정보 확인 불가)
  • 에밀 뒤르켐 / Les formes élémentaires de la vie religieuse (1912) / 종교생활의 원초형태 / (번역본 정보 확인 불가)
  • 제2장 근대 인류학의 계보
  • 에드워드 사피어 / Language (1921) / 언어 / (번역본 정보 확인 불가)
  • 브로니슬라프 말리노프스키 / Argonauts of the Western Pacific (1922) / 서태평양의 원양항해자 / (번역본 정보 확인 불가)
  • 마르셀 모스 / Essai sur le don (1925) / 증여론 / (번역본 정보 확인 불가)
  • 빌헬름 슈미트 / Der Ursprung der Gottesidee (1912~1954) / 민족과 문화 / (번역본 정보 확인 불가)
  • 아서 모리스 호카트 / Kingship (1927) / 왕권 / (번역본 정보 확인 불가)
  • 얀 페트루스 벤야민 데 요셀린 데 용 / The Trickster Figure in Mythology (1933) / 트릭스터의 기원 / (번역본 정보 확인 불가)
  • 오카 마사오 / 異邦人(이방인, 일본어 저작) / 이방인 / (번역본 정보 확인 불가)
  • 루스 베네딕트 / Patterns of Culture (1934) / 문화의 유형 / (번역본 정보 확인 불가)
  • 루스 베네딕트 / The Chrysanthemum and the Sword (1946) / 국화와 칼 / 강주헌 역, 을유문화사, 2005
  • E. E. 에반스 프리차드 / The Nuer (1940) / 누어 족 / (번역본 정보 확인 불가)
  • 이시다 에이이치로우 / 河童駒引考(하동구인고, 일본어 저작) / 하동구인고 / (번역본 정보 확인 불가)
  • 알프레드 R. 래드클리프 브라운 / Structure and Function in Primitive Society (1952) / 미개사회의 구조와 기능 / (번역본 정보 확인 불가)
  • 제3장 계몽적 명저
  • 마가렛 미드 / Male and Female (1949) / 남성과 여성 / (번역본 정보 확인 불가)
  • 줄리안 피트 리버스 / The Todas (1906) / 시에라의 사람들(해당 저작명이 일치하지 않음. 리버스의 대표작은 The Todas 등) / (번역본 정보 확인 불가)
  • 조지 피터 머독 / Social Structure (1949) / 사회구조 / (번역본 정보 확인 불가)
  • 클라이드 클라크혼 / Mirror for Man (1949) / 인간을 위한 거울 / (번역본 정보 확인 불가)
  • 에드먼드 로널드 리치 / Political Systems of Highland Burma (1954) / 고산국가 미얀마의 정치체계 / (번역본 정보 확인 불가)
  • 로버트 레드필드 / Peasant Society and Culture (1956) / 농민사회와 문화 . 문명에 대한 인류학적 접근 / (번역본 정보 확인 불가)
  • 에드워드 T. 홀 / The Silent Language (1959) / 침묵의 언어 / (번역본 정보 확인 불가)
  • 마이어 포테스 / Oedipus and Job in West African Religion (1959) / 서아프리카 종교에서의 '오이디푸스와 욥' / (번역본 정보 확인 불가)
  • 제4장 구조주의.상징론.생태학적 사고
  • 클로드 레비-스트로스 / La pensée sauvage (1962) / 야생의 사고 / (번역본 정보 확인 불가)
  • 클로드 레비-스트로스 / Les structures élémentaires de la parenté (1949) / 친촉의 기본 구조 / (번역본 정보 확인 불가)
  • 로드니 니담 / Structure and Sentiment (1962) / 구조와 감정 / (번역본 정보 확인 불가)
  • 우메사오 다다오 / 文明の生態史観(문명의 생태사관, 일본어 저작) / 문명의 생태사관 / (번역본 정보 확인 불가)
  • 메리 더글러스 / Purity and Danger (1966) / 더러움과 금기 / (번역본 정보 확인 불가)
  • 아브너 코헨 / Two-Dimensional Man (1974) / 이차원적 인간 / (번역본 정보 확인 불가)
  • J. 판 발 / L’échange des femmes, la circulation des richesses et l’honneur (1976) / 상호교환성과 여성의 지휘 / (번역본 정보 확인 불가)
  • 제5장 현대의 시각
  • 모리스 프리드만 / Lineage Organization in Southeastern China (1958) / 중국의 종교와 사회(해당 저작명이 일치하지 않음) / (번역본 정보 확인 불가)
  • 나카네 치에 / Japanese Society (1970) / 수직사회의 인간관계(해당 저작의 한국어 제목: 일본사회) / (번역본 정보 확인 불가)
  • 야마구치 마사오 / 文化と両義性(문화와 양면성, 일본어 저작) / 문화와 양면성 / (번역본 정보 확인 불가)
  • 빅터 터너 / The Ritual Process (1969) / 의례의 과정 / (번역본 정보 확인 불가)
  • 프란시스 L. K. 슈 / Clan, Caste, and Club (1963) / 클랜, 카스트, 클럽 / (번역본 정보 확인 불가)
  • 루이스 듀몬 / Homo Hierarchicus (1966) / 사회인류학의 2가지 이론(해당 저작명이 일치하지 않음) / (번역본 정보 확인 불가)
  • 마샬 살린스 / Stone Age Economics (1972) / 석기시대의 경제학 / 강상현 역, 산처럼, 2011
  • 에이단 윌리엄 사우스홀 / Urban Anthropology (1973) / 도시인류학 / (번역본 정보 확인 불가)
  • 모리스 고들리에 / Horizon, trajets marxistes en anthropologie (1973) / 인류학의 지평과 침로 / (번역본 정보 확인 불가)
  • 가와다 쥰조 / 文字なき社会の歴史(문자 없는 사회의 역사, 일본어 저작) / 문자 없는 사회의 역사 / (번역본 정보 확인 불가)
  • 네산 클레이저 / 다니엘 패트릭 모이니한 / Beyond the Melting Pot (1963) / 인종의 도가니를 넘어서 / (번역본 정보 확인 불가)
  • 클리포드 기츠 / Negara: The Theatre State in Nineteenth-Century Bali (1980) / 네가라 : 19세기 발리의 극장국가 / (번역본 정보 확인 불가)
  • 칼 폴라니 / The Great Transformation (1944) / 인간의 경제(해당 저작명은 일반적으로 ‘거대한 전환’) / 홍기빈 역, 길, 2009
  • 에릭 홉스봄 / 테런스 레인저 / The Invention of Tradition (1983) / 창조된 전통 / (번역본 정보 확인 불가)
  • 베네딕트 앤더슨 / Imagined Communities (1983) / 상상의 공동체 / 이옥연·배진영 역, 나남, 2002

5 같이 보기[ | ]

6 참고[ | ]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