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화로 보는 조선역사

(사화로보는조선역사에서 넘어옴)

1 개요[ | ]

사화로 보는 조선역사

 

2 거북이[ | ]

이덕일선생의 초기 두 책인 사화로보는조선역사당쟁으로보는조선역사를 다 읽었다. 이덕일의 재미있고 관점 뚜렷한 책은 나에게 조선이라는 시대를 다르게 인식하게 하는데 도움을 주었다고 생각된다. 좀 더 이해를 해보기 위해 간략하게 정리를 시도해본다. 나의 이해를 돕기 위해 무절제한 단순화 역시 시도한다.

정리하자면 조선 전기는 권력지향적인 정변이 누적되면서 개혁성향이 점차 퇴색되고 특권계층만 늘어가는 단계였다. 그에 대한 대응세력으로 명분을 중시하는 사림파가 대두되었으며 그들은 청렴함과 원칙적인 행동으로 대를 이어나가 결국 훈구파의 빈자리를 채울 수권세력이 되었다. 이러한 정변이 누적되는 과정에서 왕권과 신권과의 관계가 계속 문제가 되었는데 왕권이 약해진 것은 대개의 경우 즉위과정에서 정통성을 획득하지 못했을 경우였다. 신권을 강화하려는 것은 정도전, 조광조 등 개혁적 정치가들의 오랜 꿈이었으나, 어설프게 시스템을 구축하더라도 너무나 간단히 시스템을 붕괴시킬 수 있는 왕정 자체에 문제가 있었다. 왕정 아래에서 기득권을 가진 자들의 개혁이라는 것 자체가 근본적으로 한계를 가지고 있던 것이 아니었나 하는 생각이 든다. <mysign(거북이,2004-4-14 2:44 am)>

거북이가 생각하는 역사적으로 바람직했거나 아쉬운 순간들은 굵게 표시

    1. 1388 이성계, 위화도 회군, 신흥 사대부의 강경파들 집권
    2. 최영, 요동정벌 시도, 정몽주 피살
    3. 1391 정도전, 모든 토지문서 소각, 사전혁파 시도
    4. 토지를 모든 사람에게 나눠주려 했으나 실패, 과전법 실시
  1. 1392 태조 즉위 : 무인, 개혁 : 개국공신 55인
    1. 정도전, 군개혁과 요동정벌 준비, 왕자들의 사병혁파 시도 실패
    2. 1398 1차 왕자의 난, 정도전 피살, 방석 피살
  2. 1399 정종 즉위 : 호인, 허허실실, 무뇌 : 정사공신 29인
    1. 왕자의 난에서 승리한 방원의 추대로 즉위
    2. 1400 2차 왕자의 난, 방간 피살
  3. 1401 태종 즉위 : 무인, 권력욕 : 좌명공신 46인
    1. 왕자의 난 이후 실권, 형식적 양위로 즉위
    2. 태종, 사병혁파, 외척사사
  4. 1419 세종 즉위 : 문인, 현명
    1. 수령고소금지법 제정
    2. 1443 훈민정음 창제
    3. 의정부서사제 실시
  5. 1450 문종 즉위 : 문인, 예술가, 요절
  6. 1452 단종 즉위 : 요절 : 정난공신 43인
    1. 세조와 한명회, 김종서 사사
  7. 1455 세조 즉위 : 무인, 권력욕 : 좌익공신 46인
    1. 단종을 폐하고 즉위
    2. 1456 단종 복위운동, 사육신
    3. 1467 이시애의 난 : 적개공신 45인
  8. 1468 예종 즉위 : 무인, 요절 : 익대공신 39인
    1. 분경금지법 강화, 남이 사사
  9. 1471 성종 즉위 : 문인, 여유 : 좌리공신 74인
    1. 한명회의 공작으로 즉위
  10. 1496 연산군 즉위 : 포악, 이성마비
    1. 1498 무오사화 : 김일손의 사초에 꿀리는 점이 있었던 이극돈이 확대시킨 사화
    2. 1504 갑자사화 : 폐비 윤씨의 사건이 연산군에게 알려져 확대된 사화. 훈구파도 화를 입음
  11. 1505 중종 즉위 : 변덕 : 정국공신 104인
    1. 반정공신들의 힘으로 즉위
    2. 1519 기묘사화, 조광조 사형
  12. 1545 인종 즉위 : 문인, 요절 : 조광조 복권
  13. 1545 명종 즉위 : 문인, 여유
    1. 문정왕후와 외척의 힘으로 즉위
    2. 1545 을사사화
    3. 사림파를 중용하던 외척 윤임(중종의 첫 계비의 오빠)이 다른 외척 윤원형(중종의 둘째 계비 문정왕후의 동생)에 의해 역적으로 몰릴 때 사림들이 함께 끼워져 화를 입음
    4. 문정왕후 사망후 사림파 중용
  14. 1568 선조 즉위, 조광조 영의정 추증

3 같이 보기[ | ]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