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 ]
- division
- 나눗셈
- 곱셈의 역연산
- 어떤 수를 다른 수로 나누는 계산
- 같은 양이 몇 번 들어 있는지 알아보는 연산 (묶음짓기, 포함제, grouping)
- 똑같이 나누어 한 부분의 크기를 알아보는 연산 (배분하기, 등분제, sharing)
- [math]\displaystyle{ a \div b = c }[/math]
- a: 피제수(dividend, numerator)
- b: 제수(divisor, denominator)
- c: 몫(quotient)
2 예시[ | ]
[math]\displaystyle{ 20 \div 5 }[/math]
- "귤 20개를 5명에게 똑같이 나눠주면 몇 개씩 받는가?"
- "귤 20개를 5개씩 똑같이 나눠주면 몇 명에게 줄 수 있는가?"
- 20에서 5를 몇 번 빼면 0이 되는가?
- 바둑돌 20개를 5개의 접시에 똑같이 나누면 접시당 바둑돌의 수는?
3 분수[ | ]
분수(分數)는 수학에서 정수 a를 0이 아닌 정수 b로 나눈 몫을 a/b로 표시한 것. a, b가 양의 정수일 때에, 분수 a/b는 1을 b등분 한 것이 a개 모인 것으로 생각할 수도 있고, a의 b에 대한 비 a:b의 값으로 볼 수도 있다.
4 나머지연산[ | ]
합동연산(또는 나머지 연산)은 수학 , 컴퓨터과학 등에서 정수 간의 나눗셈 연산의 결과로 나머지를 구하는 연산이다. 피연산자로 나눈 후 나머지 값을 얻는다.
5 같이 보기[ | ]
6 참고[ | ]
편집자 Jmnote Jmnote bot Fmbus3355
로그인하시면 댓글을 쓸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