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명 조합 조어법

1 개요[ | ]

國家名 組合 造語法
국가명 조합 조어법
  • 한국어(한국)에서, 여러 나라명을 조합하여 하나의 단어로 만드는 일반적인 방식
  • 일반적인 순서: 한(韓)/남(南)/조(朝), 북(北), 미(美), 중(中)/청(淸), 영(英), 프(f)/불(佛), 독(獨), 러(ru)/로(露)/소(so), 일(日)
간혹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관례적으로 이 순서를 따른다.
표기 나라 사례
2개국
남북(南北) 남한, 북한 남북관계, 남북기본합의서(1991), 남북정상회담(2000)
미러(美ru) 미국, 러시아 미러관계, 미러정상회담(2021)
미소(美so) 미국, 소련 미소관계, 미소공동위원회(1947)
미영(美英) 미국, 영국 미영관계, 미영전쟁(1812)
미일(美日) 미국, 일본 미일관계, 미일안전보장조약(1951)
미중(美中) 미국, 중국 미중관계, 미중수교(1979), 미중정상회담(2025)
북미(北美) 북한, 미국 북미관계, 북미 제네바 합의(1994), 북미정상회담(2018)
북러(北ru) 북한, 러시아 북러관계, 북러정상회담(2000)
북소(北so) 북한, 소련 북소관계
북일(北日) 북한, 일본 북일관계, 북일수교협상(1990)
북중(北中) 북한, 중국 북중관계, 북중정상회담(2018)
러일(ru日) 러시아, 일본 러일관계, 러일전쟁(1904)
영불(英佛) 영국, 프랑스(불란서) 영불협상(1904)
영일(英日) 영국, 일본 영일관계, 영일동맹(1902)
조러(朝ru) 조선, 러시아 조러관계, 조러전쟁(1868)
조로(朝露) 조선, 러시아 조로관계, 조로수호통상조약(1884)
조미(朝美) 조선, 미국 조미관계, 조미수호통상조약(1882)
조일(朝日) 조선, 일본 조일관계, 조일무역규칙(1876), 조일통상장정(1883)
조중(朝中) 북한((북)조선), 중국 북중관계, 조중동맹조약(1961), 조중변계조약(1964)
조청(朝淸) 조선, 청나라 조청관계, 조청전선조약(1885)
중러(中ru) 중국, 러시아 중러관계
중소(中so) 중국, 소련 중소관계, 중소결렬(1950년대)
중영(中英) 중국, 영국 중영관계, 중영공동선언(1984)
중일(中日) 중국, 일본 중일관계, 중일전쟁(1937), 중일평화우호조약(1978)
청러(淸ru) 청나라, 러시아 청러관계
청일(淸日) 청나라, 일본 청일관계, 청일전쟁(1894)
한미(韓美) 한국, 미국 한미관계, 한미상호방위조약(1953)
한러(韓ru) 한국, 러시아 한러관계
한베(한vie) 한국, 베트남 한베정상회담
한소(韓so) 한국, 소련 한소관계, 한소수교(1990)
한영(韓英) 한국, 영국 한영관계, 한영 FTA(2019)
한일(韓日) 한국, 일본 한일관계, 한일전, 한일군사협정(2016)
한중(韓中) 한국, 중국 한중관계, 한중수교(1992), 한중정상회담(2025)
3개국 이상
미중일(美中日) 미국, 중국, 일본 미중일 관계
북중러(北中ru) 북한, 중국, 러시아 북중러 관계
영프독(英f獨) 영국, 프랑스, 독일
한미일(韓美日) 한국, 미국, 일본 한미일 정상회의(2023)
한중러(韓中ru) 한국, 중국, 러시아 한중러 관계, 한중러 학술회의(2009)
한중일(韓中日) 한국, 중국, 일본 한중일 3국 협력 사무국(2011), 한중일 통상장관 회의(2019)
미영프독(美英f獨)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2 같이 보기[ | ]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