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 ]
- 건축면적의 대지면적에 대한 비율
- 건축밀도를 나타내는 지표의 하나
- 대지 면적에 대한 건물의 바닥 면적의 비율
- 시가지의 토지이용 효과 판정, 토지에 대한 시설량 ·인구량의 적부 판정 등 도시계획적인 관점에서 건축을 규제하는 경우의 지표
- 건평은 1층만의 면적을 가리키며, 2층 이상의 면적은 포함시키지 않는다. 또, 대지에 둘 이상의 건축물이 있는 경우에는 이들 건축면적의 합계로 한다. 건축법에서는, 건축물의 외벽(外壁) 또는 이에 대신하는 기둥의 중심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수평투영면적(水平投影面積)을 건축면적이라 하고, 건축면적의 대지면적에 대한 비율을 건폐율이라고 정의하였다.
- 건폐율은 건축법 및 건축법 시행령에서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 있다. 녹지지역 ·자연녹지지역 ·생산녹지지역에는 2/10 미만, 주거전용지역에는 5/10 미만, 주거지역 ·준공업지역 ·공업지역 ·전용공업지역에서는 6/10 미만, 준주거지역 ·상업지역에서는 7/10 미만(건축법 제39조)이어야 한다(1990년 3월 현재).
- 건폐율은 건축밀도를 나타내는 지표(指標)의 하나이며, 이와 관련되는 지표에는 용적률(容積率) ·호수밀도(戶數密度) ·평균층수(平均層數) 등이 있다. 이 건축밀도 지표는 시가지의 토지이용 효과를 판정하고, 토지에 대한 시설량 ·인구량의 적부(適否)를 판정하거나 도시계획적인 관점에서 건축을 규제하는 경우의 지표로 되어 있다.
- 학술용어로서의 건폐율은 건축면적의 용지면적에 대한 비율을 가리키며 건축의 대지면적, 즉 용지면적에서 교통용지 ·녹지용지(綠地用地) 등을 뺀 건축용지면적에 대한 것을 순건폐율(純建蔽率)이라고 한다. 그러므로 건축법에서의 건폐율이라 하는 엄밀하게 말하면 순건폐율을 가리킨다.
2 같이 보기[ | ]
3 참고[ | ]
- 건폐율 《토지이용 용어사전》 용어上 14k
- 건폐율 《서울특별시 알기 쉬운 도시계획 용어》 용어上 11k
- 건폐율 《부동산용어사전》 용어中 13k
- 건폐율 《행정학사전》 용어中 13k
- 건폐율 《매일경제》 용어中 8k
- 건폐율 《두산백과》 백과中 8k
- 건폐율 《건축용어사전》 용어下 11k
- 건폐율 《용어해설》 용어下 11k
- 건폐율 《인테리어 용어사전》 용어下 10k
- 건폐율 《시사경제용어사전》 용어下 9k
로그인하시면 댓글을 쓸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