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 일본의 메이지유신사학회에서 기획, 2010년에서 2018년에 걸쳐 유시샤(有志舎) 출판사에서 총 12권으로 낸 테마별 메이지 유신 종합 개설서
- 편집위원 : 사사키 칸지(佐々木寛司), 키무라 나오야(木村直也), 아오야마 타다마사(青山忠正), 마츠오 마사히토(松尾正人), 카츠타 마사하루(勝田政治), 하라다 케이이치(原田敬一), 모리타 토모코(森田朋子), 오쿠다 하루키(奥田晴樹), 카츠베 마코토(勝部眞人), 니시자와 나오코(西澤直子), 코바야시 타케히로(小林丈広), 타카기 히로시(高木博志), 하가 쇼지(羽賀祥二)
- 각 논문 말미의 참고문헌 목록과는 별개로, 각 권말에 해당 주제와 관련하여 주로 1980년대 이후의 주요 연구 목록이 따로 정리된 것이 특징이다.
# | 제목 | 원제 | 발행일 | ISBN |
---|---|---|---|---|
1권 | 세계사 속의 메이지 유신 | 世界史のなかの明治維新 | 2010-12-20 | ISBN 978-4903426372 |
2권 | 막말 정치와 사회변동 | 幕末政治と社会変動 | 2011-05-23 | ISBN 978-4903426426 |
3권 | 유신정권의 창설 | 維新政権の創設 | 2011-10-27 | ISBN 978-4903426488 |
4권 | 근대국가의 형성 | 近代国家の形成 | 2012-03-12 | ISBN 978-4903426549 |
5권 | 입헌제와 제국으로의 길 | 立憲制と帝国への道 | 2012-11-03 | ISBN 978-4903426648 |
6권 | 메이지 유신과 외교 | 明治維新と外交 | 2017-09-28 | ISBN 978-4908672156 |
7권 | 메이지 유신과 지역사회 | 明治維新と地域社会 | 2014-05-14 | ISBN 978-4903426716 |
8권 | 메이지 유신의 경제과정 | 明治維新の経済過程 | 2013-11-30 | ISBN 978-4903426785 |
9권 | 메이지 유신과 여성 | 明治維新と女性 | 2015-02-05 | ISBN 978-4903426921 |
10권 | 메이지 유신과 사상・사회 | 明治維新と思想・社会 | 2016-10-07 | ISBN 978-4908672071 |
11권 | 메이지 유신과 종교・문화 | 明治維新と宗教・文化 | 2016-03-30 | ISBN 978-4908672026 |
12권 | 메이지 유신사 연구의 여러 조류 | 明治維新史研究の諸潮流 | 2018-08-24 | ISBN 978-4908672231 |
2 1권: 세계사 속의 메이지 유신
- 원제: 講座明治維新1 世界史のなかの明治維新
- 2010년 12월 20일 발행
- 편집담당 : 키무라 나오야, 미타니 히로시三谷博
- 목차
- 총론 세계사 속의 메이지 유신 ― 키무라 나오야
- 1. 페리 내항 이전의 국제정세와 국내정치 ― 후지타 사토루(藤田覚)
- 2. 막말의 대외정보와 재지사회 : '풍설서'로부터 보다 ― 이와타 미유키(岩田みゆき)
- 3. 무장하는 농민의 내우와 외환 ― 데이비드 하웰(デビッド・ハウエル)
- 4. 막말・유신기의 제정 러시아와 일본 ― 후모토 신이치(麓慎一)
- 5. 이국선의 류큐 내항과 사츠마 번 : 19세기의 동사이아 국제관계와 지역 ― 마에히라 후사아키(真栄平房昭)
- 6. 막말・유신기의 마츠마에 에조치와 아이누 사회 ― 타니모토 아키히사(谷本晃久)
- 7. 19세기 전반 일본 '의론정치'의 형성과 그 의미 : 동아시아 정치사의 시점에서 ― 박훈
- 8. 19세기 동아시아 외교 규범의 변화 : 의례와 언어 ― 미타니 히로시
- 문헌목록
3 2권: 막말 정치와 사회변동
- 원제: 講座明治維新2 幕末政治と社会変動
- 2011년 5월 23일 발행
- 편집담당 : 아오야마 타다마사, 키시모토 사토루(岸本覚)
- 목차
- 총론 막말 정치와 사회변동 : 그 파악 방식과 담론의 자각에 대하여 ― 아오야마 타다마사
- 1. 페리 내항과 내외의 정치상황 ― 우가이 마사시(鵜飼政志)
- 2. 근대이행기의 민중과 지역사회 ― 나미카와 켄지(浪川健治)
- 3. 안세이・분큐기의 정치개혁과 제번 ― 키시모토 사토루
- 4. 막말 정국 속의 천황・조정 ― 센바 히토미(仙波ひとみ)
- 5. 도쿠가와 정권과 만국대치 ― 나라 카츠지(奈良勝司)
- 6. 키나이의 막말 사회 ― 이와키 타쿠지(岩城卓二)
- 7. 케이오 3년 12월 9일의 정변 ― 아오야마 타다마사
- 문헌목록 ― 최종확인 아오야마 타다마사, 주담당 아사이 료스케(淺井良亮), 부담당 미야케 사토시(三宅智志), 협력 사이토 준이치(齊藤純一), 마츠시타 아리사(松下亜里咲), 타나카 유키노(田中由貴乃)
4 3권: 유신정권의 창설
- 원제: 講座明治維新3 維新政権の創設
- 2011년 10월 27일 발행
- 편집담당 : 마츠오 마사히토, 사사키 스구루佐々木克
- 목차
- 총론 유신정권의 창설 : 유신 연구의 현재적 과재 ― 마츠오 마사히토
- 1. 보신 전쟁의 군사사 ― 호야 토오루(保谷徹)
- 2. 초망(草莽)과 유신 ― 후지타 히데아키(藤田英昭)
- 3. 도쿄 전도(奠都)와 도쿄 천도 ― 사사키 스구루
- 4. 공의소(公議所)・집의원(集議院) 설립과 '공의(公議)' 사상 ― 야마자키 유코(山崎有恒)
- 5. 메이지 초기의 태정관제와 '공의・공론' ― 후지타 타다시(藤田正)
- 6. 개명파 관료의 등장과 전개 ― 카시하라 히로키(柏原宏紀)
- 7. 부현의 창설 ― 오쿠다 하루키
- 8. 판적봉환과 폐번치현 ― 마츠오 마사히토
- 문헌목록 ― 마츠오 마사히토
5 4권: 근대국가의 형성
- 원제: 講座明治維新4 近代国家の形成
- 2012년 3월 12일 발행
- 편집담당 : 카츠타 마사하루, 나카가와 토시유키(中川壽之)
- 목차
- 총론 근대국가의 형성 ― 카츠타 마사하루
- 1. 문명개화정책의 전개 ― 이마니시 하지메(今西一)
- 2. 정한론 정변과 오오쿠보 정권 ― 카츠타 마사하루
- 3. 근대화와 사족 : 사족 반란의 역사적 위치 ― 이카이 타카아키(猪飼隆明)
- 4. 자유민권운동과 메이지 14년의 정변 ― 오비나타 스미오(大日方純夫)
- 5. 태정관제의 구조와 내각제도 ― 나카노메 토오루(中野目徹)
- 6. 국경의 획정 ― 후모토 신이치・카와바타 메구무(川畑恵)
- 7. 메이지 천황의 형성 ― 사카모토 카즈토(坂本一登)
- 문헌목록 ― 나카가와 토시유키
6 5권: 입헌제와 제국으로의 길
- 원제: 講座明治維新5 立憲制と帝国への道
- 2012년 11월 3일 발행
- 편집담당 : 하라다 케이이치, 이이즈카 카즈유키(飯塚一幸)
- 목차
- 총론 입헌제와 제국으로의 길 ― 하라다 케이이치
- 1. 자유민권운동과 헌법론 ― 아라이 카츠히로(新井勝紘)
- 2. 초기 의회와 민당(民党) ― 이이즈카 카즈유키
- 3. 마츠카타 재정에서 군비확장(軍拡) 재정으로 ― 이케다 노리타카(池田憲隆)
- 4. 청일전쟁 ― 오오타니 타다시(大谷正)
- 5. 19세기 말, 일본 통치기의 대만 ― 쿠리하라 준(栗原純)
- 6. 군대와 사회 ― 이치노세 토시야(一ノ瀬俊也)
- 7. 근대법체계의 성립 : 사법제도의 전개를 소재로 ― 미사카 요시히로(三阪佳弘)
- 문헌목록 ― 타카타 유스케(高田祐介)
7 6권: 메이지 유신과 외교
- 원제: 講座明治維新6 明治維新と外交
- 2017년 9월 28일 발행
- 편집담당 : 모리타 토모코, 코카제 히데마사小風秀雅
- 목차
- 총론 메이지 유신과 외교 ― 모리타 토모코
- 1. 외무성의 탄생 ― 이누즈카 타카아키(犬塚孝明)
- 2. 메이지 유신기의 조일관계 : 근세 조일 통교 시스템의 종언 ― 키무라 나오야
- 3. 아시아 속의 미국인 : 샤를 르장드르와 메이지 초기의 외교 ― 로버트 에스킬드센(ロバート・エスキルドセン)
- 4. 책봉체제를 둘러싼 청일외교 : 메이지 10년대의 류큐・조선을 둘러싸고 ― 코카제 히데마사
- 5. 외국인 거류지의 개설 : 요코하마 외국인 거류지를 중심으로 ― 이토 이즈미(伊藤泉美)
- 6. 일본 개항과 양초 무역 : 네덜란드 무역회사를 예로 ― 요코야마 요시노리(横山伊徳)
- 7. 중일 경제 근대화의 비교연구 ― 주음귀(朱蔭貴), 와타나베 치히로(渡辺千尋) 역
- 8. 조약 개정 교섭을 둘러싼 국제관계 ― 오오이시 카즈오(大石一男)・코카제 히데마사
- 문헌목록 ― 모리타 토모코
8 7권: 메이지 유신과 지역사회
- 원제: 講座明治維新7 明治維新と地域社会
- 2014년 5월 14일 발행
- 편집담당 : 오쿠다 하루키, 우시고메 츠토무(牛米努)
- 목차
- 총론 메이지 유신과 지역사회 ― 오쿠다 하루키
- 1. 막말 지역 사회의 변모 ― 와타나베 타카시(渡辺尚志)
- 2. 수도 도쿄의 형성과 민비(民費) ― 우시고메 츠토무
- 3. 메이지 초기의 지역사회와 민중운동 ― 오다 야스노리(小田康徳)
- 4. 지방 3신법과 구정촌회(区町村会)법 ― 마츠자와 유사쿠(松沢裕作)
- 5. 메이지 전기의 도시사회 : 조카마치(城下町)의 유신과 '무사'의 근대 ― 모토야스 히로시(本康宏史)
- 6. 곤민당(困民党) 사건과 지역사회 ― 츠루마키 타카오(鶴巻孝雄)
- 7. 메이지 전기의 부농・지역 명망가 ― 우시키 유키오(丑木幸男)
- 8. 시제市制 정촌제町村制의 시행과 정촌 합병 ― 우에야마 아츠시(植山淳)
- 문헌목록 ― 이마무라 치후미(今村千文)
9 8권: 메이지 유신의 경제과정
- 원제: 講座明治維新8 明治維新の経済過程
- 2013년 11월 30일 발행
- 편집담당 : 사사키 칸지, 카츠베 마코토
- 목차
- 총론 메이지 유신의 경제과정 ― 사사키 칸지・카츠베 마코토
- 1. 막말의 시장 구조와 유통 ― 니시무카이 코스케(西向宏介)
- 2. 요코하마 개항과 국제 시장 : 생사 무역과 판매상의 궤적 ― 니시카와 타케오미(西川武臣)
- 3. 세제 개혁과 녹제 폐지 : 지조개정과 질록처분 ― 사사키 칸지・오치아이 히로키(落合弘樹)
- 4. 구미 농업과의 해후와 농업정책 관료의 네트워크 ― 토모다 키요히코(友田清彦)・카츠베 마코토
- 5. 관영 공장과 민간 공장 ― 스즈키 준(鈴木淳)
- 6. 내국권업박람회의 역사적 의의 ― 쿠니 타케유키(國雄行)
- 7. 사회자본의 형성 : 도로와 철도 ― 카미야마 츠네오(神山恒雄)
- 8. 재래산업의 전개와 자본주의 ― 타니모토 마사유키(谷本雅之)
- 문헌목록 ― 카모가시라 토시히로(鴨頭俊宏)
10 9권: 메이지 유신과 여성
- 원제: 講座明治維新9 明治維新と女性
- 2015년 2월 5일 발행
- 편집담당 : 니시자와 나오코, 요코야마 유리코横山百合子
- 목차
- 총론 메이지 유신과 여성 ― 요코야마 유리코・니시자와 나오코
- 1. 패션을 둘러싼 사회의 변용 : 재래 산업의 기술혁신과 여성 ― 타무라 히토시(田村均)
- 2. 지역사회에서의 여성과 정치 : 쿠로사와 토키코黒沢止幾子를 중심으로 ― 로라 넨지(Laura Nenzi), 요코야마 유리코 역
- 3. 메이지 유신기의 리터러시와 젠더 ― 오오구치 유지로(大口勇次郎)
- 4. 메이지 전기의 판결례로 보는 여성과 상속 ― 무라카미 카즈히로(村上一博)
- 5. 막말유신기의 사회와 성매매의 변용 ― 요코야마 유리코
- 6. 섹슈얼리티의 변용과 메이지 유신 : 예창기(芸娼妓) 해방령의 역사적 의의 ― 히토미 사치코(人見佐知子)
- 7. '낳고 기르는 것'의 근대 ― 사와야마 미카코(沢山美果子)
- 문헌목록 ― 니시자와 나오코, 초난 신지(長南伸治)
11 10권: 메이지 유신과 사상・사회
- 원제: 講座明治維新10 明治維新と思想・社会
- 2016년 10월 7일 발행
- 편집담당 : 코바야시 타케히로, 와카오 마사키(若尾政希)
- 목차
- 총론 메이지 유신과 사상・사회 ― 코바야시 타케히로
- 1. 근세 후기의 정치 상식 ― 와카오 마사키
- 2. '제국' 담론과 막말 일본 : 난학・유학・미토학 그리고 막말 존양론 ― 키리하라 켄신(桐原健真)
- 3. 막말의 사회정세와 지역 지식인 : 야마토(大和)의 석학 유학자(碩儒) 타니 산잔(谷三山)의 언설과 문인들 ― 타니야마 마사미치(谷山正道)
- 4. 유신 전후의 신분 의식을 둘러싼 갈등 ― 사이토 요이치(斎藤洋一)
- 5. 세상 뒤집기(世直し)와 토지 소유 의식의 변용 ― 시라카와베 타츠오(白川部達夫)
- 6. 민중 교육의 메이지 유신 ― 야쿠와 토모히로(八鍬友広)
- 7. 위생관의 생성과 의학・의료의 근대화 ― 이시이 히토나리(石居人也)
- 문헌목록 ― 오다 료스케(小田龍哉)
12 11권: 메이지 유신과 종교・문화
- 원제: 講座明治維新11 明治維新と宗教・文化
- 2016년 3월 30일 발행
- 편집담당 : 타카기 히로시, 타니가와 유타카(谷川穣)
- 목차
- 총론 메이지 유신과 종교・문화 ― 타카기 히로시
- 1. '고물(古物, 고기구물, 古器旧物)'에서 '문화재'로 ― 쿠루시마 히로시(久留島浩)
- 2. 신문과 여론의 형성 ― 츠치야 레이코(土屋礼子)
- 3. 역사화의 성립 ― 타카시나 에리카(高階絵里加)
- 4. 국가신도의 형성과 야스쿠니 신사・군인칙유 : 황도사상과 천황 숭경의 담당자로서 군대 ― 시마조노 스스무(島薗進)
- 5. 근대의 궁중 의례 : 천황에게 요구된 정치 ― 존 브린(ジョン・ブリーン)
- 6. 공교육과 기독교계 : 관립학교・부현교육으로 보는 기독교 허용의 형태 ― 타나카 토모코(田中智子)
- 7. 유신기의 동서 혼간지(本願寺)를 둘러싸고 ― 타니가와 유타카
- 문헌목록 ― 타카기 히로시・타니가와 유타카
13 12권: 메이지 유신사 연구의 여러 조류
- 원제: 講座明治維新12 明治維新史研究の諸潮流
- 2018년 8월 24일 발행
- 편집담당 : 사사키 히로시(佐々木寛司)
- 목차
- 들어가며 ― 사사키 히로시
- Ⅰ. 메이지 유신사 연구의 사학사
- 1. 유신 정치사의 연구 : 문부성 『유신사』에 이르기까지 ― 미타니 히로시
- 2. 메이지 유신 논쟁과 마르크스 주의 사학 ― 사사키 칸지
- Ⅱ. 메이지 유신사 연구의 현재
- 1. 입헌 국가와 메이지 유신 ― 카츠타 마사하루
- 2. 자본주의와 메이지 유신 ― 타니모토 마사유키
- 3. '제국'과 메이지 유신 ― 코카제 히데마사
- 4. 메이지 유신은 왜 가능했나 ― 타카기 후지(高木不二)
- 5. 지역사회 형성사와 메이지 유신 ― 오쿠무라 히로시(奥村弘)
- 6. 여성사와 메이지 유신 ― 야부타 유타카(藪田貫)
- 7. 프랑스 절대 왕정과 막번체제 : 말기사의 유비(類比) 연구 ― 오카모토 아키라(岡本明)
14 참고
로그인하시면 댓글을 쓸 수 있습니다.
Pinkcrimson 2023-01-02
Kiren 2023-01-02
Pinkcrimson 2022-12-25
Kiren 2022-12-25
강좌 메이지 유신 ― Kiren강좌 메이지 유신 ―Pinkcrimson
강좌 메이지 유신 ― Kiren강좌 메이지 유신 ―Pinkcrimson
객주 (만화) ―Pinkcrimson
대한민국의 설계자들 ―Pinkcrimson
대한민국의 설계자들 ―Pinkcrimson
번역과 일본의 근대 ―Pinkcrimson
번역어 성립 사정 ―Pinkcrimson
벌거벗은 로마사, 로마 제국사 ―Pinkcrimson
벌거벗은 로마사, 로마 제국사 ―Pinkcrimson
사전 보는 법 ―Pinkcrimson
사전 보는 법 ―Pinkcrimson
사전 보는 법 ―Pinkcrimson
수녀 (소설) ―Pinkcrimson
수녀 (소설) ―Pinkcrimson
역사적으로 본 일본인의 한국관 ―Pinkcrimson
역사적으로 본 일본인의 한국관 ―Pinkcrimson
우리들의 시대에 ―Pinkcrimson
우리들의 시대에 ―Pinkcrimson
위대한 개츠비 ―Pinkcrimson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Pinkcrimson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Pinkcrimson
이두와 일본어의 한자 사용 ― …이두와 일본어의 한자 사용 ― …이두와 일본어의 한자 사용 ―Pinkcrimson
절대지식 일본고전 ―Pinkcrimson
절대지식 일본고전 ―Pinkcrimson
절대지식 일본고전 ―Pinkcrimson
조지 오웰 ―Pinkcrimson
조지 오웰 ―Pinkcrimson
조지 오웰 ―Pinkcrimson
창힐의 향연 ― Jjw창힐의 향연 ―Pinkcrimson
최후의 사전편찬자들 ―Pinkcrimson
최후의 사전편찬자들 ―Pinkcrimson
최후의 사전편찬자들 ― John Jeong최후의 사전편찬자들 ―Pinkcrimson
최후의 사전편찬자들 ―Pinkcrimson
파타고니아 (책) ―Pinkcrimson
파타고니아 (책) ― Nolon4파타고니아 (책) ―Pinkcrimson
한국의 사전과 사전학 ―Pinkcrimson
한국의 사전과 사전학 ―Pinkcrimson
후쿠자와 유키치 - 독서감상문 ―Pinkcrims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