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 ]
- 글을 다듬는 행위
- 글의 완성도를 높이는 과정
- 완성된 글을 다시 읽어 가며 다듬어 고치는 일
- 글을 지을 때 여러 번 생각하여 고치고 다듬는 일
- 가도와 한유가 대화하면서 시구를 고쳤다는 고사에서 유래
- 당나라의 시인 가도(賈島)가 ‘僧推月下門’이란 시구를 지을 때 ‘推’를 ‘敲’로 바꿀까 말까 망설이다가 한유(韓愈)를 만나 그의 조언으로 ‘敲’로 결정하였다는 데에서 유래한다.
2 퇴고 방법[ | ]
- 좋은글 쓰기 방법과 동일
- 다 떠나서 내 글을 다시 읽는다는, 반성 자체가 중요
- 초고를 쓴 뒤 바로 고치지 않고 시간을 둔다. 적어도 2주 정도.
- 구성을 본다. 매끄럽고 전략적인가.
- 제목이 적절한가.
- 단락간의 흐름이 자연스러운가.
- 문장간의 흐름이 자연스러운가.
- 군더더기 표현은 지운다. 지울까말까 고민되면 지운다.
- 어려운 말은 쉽게 고친다. 한자어와 순우리말의 비율을 유지한다.
- 수식어의 숫자를 줄인다. 부사와 형용사.
3 퇴고대상[ | ]
- 군더더기 표현의 예
- 이런 저런 그런 이 저 그 이건 저건 그건...
- 뭔가 들 몇몇 좀 종종
- 게 지경 가끔
- 그래서
- 나쁜 표현의 지름길
- 데만것적도함성
4 같이 보기[ | ]
5 참고[ | ]
편집자 Jmnote
Pinkcrimson 218.144.183.226
로그인하시면 댓글을 쓸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