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야의 종"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Jmnote 사용자가 재야의 종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제야의 종 문서로 옮겼습니다)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2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개요==
==개요==
;
;[[除夜]]의 [[鐘]]
;재야의
;제야의 , 제야의 종소리
*종교적 의미 : 불교에서 유래. 불교의 우주관, 28계 33천 신앙에서 유래.새벽이 열리는 인()時에, 4대문을 여는 파루(罷漏)33번 타종.저녁 유(酉)時에는 28번 타종.(동양적 사고로는 하늘의 별자리 28수(宿)를 상징한다고도 함.33천을 도의천이라 하는데 그곳의 天民들은 건강하고 무병장수 하므로 밝아오는 새해와 밝아오는 아침에는 우리 국민들이 33천민들 처럼 건강하고 무병장수하기를 기원
* 섣달 그믐날 밤 각 사찰에서 108번 울리는 종, 또는 그 종소리
*민족적 의미 : 33천은, 동서남북 사방에 각 8계층의 하늘이 있고, 그 가운데 모두를 지휘하는 하늘을선견성(善見成)이라 하는데,우리나라를 세우신 국조단군이 바로 이 선견성의 성주인,환인천제의 아들이므로 단군의 개국이념인 홍익인간(弘益人間),광명이세(光明以世)의 이념이 널리 선양되기를 바라는 염원에서이다
* (본래) 일상적으로 108회 울리던 것
*33번 타종의 의미 보신각의 명칭은 고종 32년(1895) 2월에 그 명칭을 쓴 현판을 건뒤 부터인데 대중은 쉽사리 그 새이름을 불러주지 않았다. 조선조 태조 4년(1395)에 고려때의 격식에 따라 종로네거리에 전각을 짓고 여기에 종을 걸어서 저녁과 새벽에 종을 쳐서 8문을 열곤 하였다. 광복후 역대 서울시장이 해마다 제야의 종을 치는데 33번을 쳐왔다
* (후세) 제야를 맞아 한밤중에 울리는 것
* 섣달 그믐날 밤에 울리는 종
* 백팔번뇌를 없애는 의미로 108번 타종
:107번은 해가 바뀌기 전, 1번은 해가 바뀐 후
 
==보신각 33회==
* 12월 31일 밤 12시에 보신각종을 33번 치는 행사
* 33회인 이유: [[제석천]]<ref>불교의 수호신</ref>이끄는 하늘세상 도리천(33천)에서 유래
* 1927년(일제강점기) 시작, 1953년(광복 후) 재개


==같이 보기==
==같이 보기==
*[[보신각 종 ]]
{{z컬럼3|
* [[종(bell)]]
* [[제야]]
* [[범종]]
* [[제석천]]
* [[도리천]]
* [[보신각종]]
}}
 
==참고==
* {{위키백과|제야의 종}}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41259&cid=40942&categoryId=31543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88&aid=0000116728


==참고 자료==
[[분류: 한국]]
*
[[분류: 일본]]
[[분류: 한국 전통]]
[[분류: 문화]]
[[분류: 불교]]
[[분류: 除]][[분류: 夜]][[분류: 鐘]]

2020년 12월 27일 (일) 22:45 기준 최신판

1 개요[ | ]

除夜
제야의 종, 제야의 종소리
  • 섣달 그믐날 밤 각 사찰에서 108번 울리는 종, 또는 그 종소리
  • (본래) 일상적으로 108회 울리던 것
  • (후세) 제야를 맞아 한밤중에 울리는 것
  • 섣달 그믐날 밤에 울리는 종
  • 백팔번뇌를 없애는 의미로 108번 타종
107번은 해가 바뀌기 전, 1번은 해가 바뀐 후

2 보신각 33회[ | ]

  • 12월 31일 밤 12시에 보신각종을 33번 치는 행사
  • 33회인 이유: 제석천[1]이 이끄는 하늘세상 도리천(33천)에서 유래
  • 1927년(일제강점기) 시작, 1953년(광복 후) 재개

3 같이 보기[ | ]

4 참고[ | ]

  1. 불교의 수호신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