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학

Jmnote bot (토론 | 기여)님의 2017년 7월 20일 (목) 02:34 판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참고 자료== +==참고==))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1 개요[ | ]

anthropology
人類學
인류학
  • 인간에 관한 모든 것을 연구하는 학문
  • 연구의 대상과 범위가 매우 광범위하고 19세기 이후 학문으로서 체계화되었음
  • 오늘날 인류학이라고 하면 사회문화인류학을 지칭하는 경우가 일반적이ㅇ;ㅁ
  • 인류학과 연관된 사회나 문화를 중심으로한 연구분야는 많은 현대이론의 형성에 영향을 끼쳤으며 핵심적 기초과학 학문
  • 인류학의 관점은 문화상대주의(cultural relativism)·비교문화론·총체적 접근(holistic approach)
  • 현대인류학의 관심과 기법은 물리학·생물학·행동과학·사회과학 등 폭넓은 전문분야에 걸쳐 있음

2 하위 학문[ | ]

  • 형질인류학(인간의 기원과 진화를 다루는 분야와 현대 인류의 다양성을 연구하는 분야)
  • 고고학(선사시대와 같은 오래된 인류의 유적 등을 연구하여 당시의 문화 등을 규명하는 것을 주요 연구분야)
  • 문화인류학(오늘날 다양하게 존재하는 여러 문화들에 대해 총체적으로 연구;가족, 친족관계, 경제생활, 정치생활, 종교생활과 같은 여러 문화적 생활을 연구하여 해당 사회의 내적 규칙)
  • 민족학(ethnology)
  • 민속학(folklore)

3 인류학의 역사[ | ]

인류학은 19세기 중반 당시 유행하던 여러 학문들의 지적 유산에 영향을 받아 탄생했다. 초창기에는 진화론·우생학 등에 큰 영향을 받아, 친족형태의 진화, 문명의 진화, 종교의 진화 등을 중심적으로 연구하며 인종주의제국주의의 발흥에 기여하기도 했다.

초기에는 진화론과 비교의 관점을 강하게 지녔다. 그 후 1900년 초기에 보아스컬럼비아 대학교에서 진화론을 부정하고 고전적 인류학의 근간이 되는 네 가지 접근법의 기초를 닦았다. 고전적 인류학의 네 가지 접근법은 언어학, 고고학, 문화인류학 그리고 체질인류학이다.

인류학은 영국에 전통을 둔 사회인류학, 미국에서 발전해 온 문화인류학, 독일, 오스트리아, 네덜란드 등을 중심으로 형성된 민족학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현대 인류학은 수많은 갈래로 퍼져나가고 있으며, 그중 21세기 초기에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는 분야 학문 중 개발인류학, 의료인류학 등이 있다.

  • 1600년대 루소로크의 인식론적 접근법
  • 1800년대 진화론의 발상과 인종적 분류법 - 스펜서, 타일러
  • 1900년대 초기 보아스
    • 보아스는 많은 제자를 두었으며 미국 인류학계의 아버지라 불린다. 그와 그의 제자들은 다양한 문화에 대한 조사기록을 축적했으며 미대륙 인디언의 문화 보존에도 노력을 기울였다. 한편 1920년대에 영국에서는 식민지에 대한 통제가 문제시되면서 사회의 안정을 연구하는 구조주의기능주의 인류학이 말리노프스키래드클리프브라운에 의해 대두되었다.
  • 영국 구조주의
  • 기능주의
  • 구조기능주의
  • 상징주의
  • 탈근대론
  • 신근대론

4 같이 보기[ | ]

5 참고[ | ]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