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서재 편집가이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21번째 줄: 21번째 줄:
</syntaxhighlight>
</syntaxhighlight>


{{소스헤더|인명, 고유명사 설명}}
{{소스헤더|인명}}
<syntaxhighlight lang="latex" highlight="22">
\footnote{蘇長公 ((소장공)) : 소식(蘇軾), 소동파, 1036\~{}1101. 북송의 시인, 정치가.\\
周茂叔 ((주무숙)) : 주돈이(周敦頤), 1017\~{}1073. 북송의 유학자.}
</syntaxhighlight>
 
{{소스헤더|고유명사 설명}}
<syntaxhighlight lang="latex" highlight="22">
<syntaxhighlight lang="latex" highlight="22">
\footnote{大學((대학)) : 고대 중국 하, 은, 주 시대에 있었다고 전해지는 교육기관으로 8세에 소학에 입학하고 15세에 대학에 진학한다는 기록이 \bnm{한서에 있다.}}
\footnote{大學((대학)) : 고대 중국 하, 은, 주 시대에 있었다고 전해지는 교육기관으로 8세에 소학에 입학하고 15세에 대학에 진학한다는 기록이 \bnm{한서에 있다.}}

2020년 7월 18일 (토) 17:08 기준 최신판

1 개요[ | ]

빈서재 편집가이드
  • 빈서재 출판사의 LaTeX 편집 샘플 모음

2 괄호[ | ]

  • 책과 편명 : 『논어』 「학이」
    • 『앨범』 「노래」 (안나푸르나)
    • 《책》 〈영화제목, 행사명 등〉 (안나푸르나)
  • 한자
    • 한국한자음 (간번체 무관 한국한자음은 무조건) : ‘명교’(名教)
    • 중국, 일본 명사표기 : 조정[廟廊], ‘이름을 바로잡는다’[名ヲ正ス]
    • 한자가 섞인 비 한국한자음 표기는 무조건 [ ]로 처리
  • 자국문자 (로마자 / 가나... )
    • ‘모레루’(もれる)

3 각주[ | ]

고전 인용
\footnote{사람에겐 사람다움의 도리가 있으니, 배불리 먹고 따뜻한 옷 입으며 편안한 집에서 살더라도 가르침이 없으면 금수나 진배없는 것. 성인께서 또 이를 근심하시어 설을 사도로 삼아 인륜을 가르치게 하였으니 --- 부자간의 친밀함, 군신간의 의로움, 부부 사이의 각별함, 어른과 아이간의 차례, 벗들 사이의 신뢰 등이 그것이외다. ((\bnm{맹자}, \snm{등문공} 상 5:4-2))}
인명
\footnote{蘇長公 ((소장공)) : 소식(蘇軾), 소동파, 1036\~{}1101. 북송의 시인, 정치가.\\
周茂叔 ((주무숙)) : 주돈이(周敦頤), 1017\~{}1073. 북송의 유학자.}
고유명사 설명
\footnote{大學((대학)) : 고대 중국 하, 은, 주 시대에 있었다고 전해지는 교육기관으로 8세에 소학에 입학하고 15세에 대학에 진학한다는 기록이 \bnm{한서에 있다.}}
개념 설명
\footnote{エピデミイ ((에피데미)) : 니시가 선택한 epidemic의 가나표기. 전염, 전염병.}
\footnote{性理学 : 니시가 psychology의 번역어로 선택한 말. 심리학. 성리학과 혼동하면 안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footnote{婆羅門敎 ((바라문교)) : Brahmanism. 힌두교의 일파인 브라만교. }
개념 나열
\footnote{天竺 ((천축)) : 인도, 囘囘教((회회교)) : 이슬람교, 土耳其 ((토이기)) : 터키, 百兒沙 ((백아사)) : 페르시아.}
번역어 설명
\footnote{コンセルハチーフ ((콘세루하치푸)) : 니시가 conservatief의 번역어로 선택한 말. 보수주의.}

4 기타[ | ]

  • ((겹괄호)) : (작은 글자)
  • \snm{낫표} \bnm{겹낫표} \\ : 「낫표」『겹낫표』
  • 본문과 각주의 텍스트 중복은 최소화하되 한자 노출이 필요하면 재량껏 쓴다.
    • 천축\footnote{天竺}에 가다
    • 천축[天竺]\footnote{天竺 : 옛 불자들의 버킷리스트}에 가다


5 같이 보기[ | ]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