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아노 협주곡 5번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5번 내림마장조
"황제"
루트비히 판 베토벤의 피아노 협주곡
Beethoven Mähler 1815.jpg
베토벤 (1815년)
요제프 빌리브로르도 멜러에 의한 초상화
조성 내림마장조
작품번호 73
작곡 1809-11년 (1809-11)
헌정 오스트리아의 루돌프 대공
출판 1811년 2월 (라이프치히, 브라이코프 운트 헤르텔 사)
악장 3
초연
날짜 1811년 12월 23일 (1811-12-23)
장소 라이프치히 게반트하우스
연주자 프리드리히 슈나이더(협연), 요한 필리프 크리스티안 슐츠(지휘), 라이프치히 게반트하우스 관현악단(연주)

피아노 협주곡 5번 내림마장조, 작품 번호 73》는 루트비히 판 베토벤에 의해 쓰여진 피아노 협주곡이다. "황제"라는 부제로 더 잘 알려져 있다.

이 작품이 만들어진 1809년은 나폴레옹 군에 의해 빈이 점령되어 사회적으로 극도의 혼란 상태였다. 베토벤은 악화된 난청으로 인해 개인적으로 매우 힘든 시기였음에도 불구하고, 피아노 협주곡의 정점을 이루는 역작을 만들어냈다. 이 작품은 웅장한 스케일과 찬란한 색채가 인상적이며, 베토벤 특유의 강력한 피아니즘을 펼쳐보인다.

1 개요[ | ]

이 작품은 베토벤이 자신의 후원자 겸 제자인 루돌프 대공을 위해서 1809년에 프랑스 군대의 포격이 쏟아지던 에서 완성한 작품으로, 작곡한지 약 2년 반 뒤인 1811년 11월 28일 라이프치히 게반트하우스에서 성공리에 초연이 이루어졌다. 초연 당시에, 피아노 파트는 프리드리히 슈나이더가 협연했으나, 지휘는 베토벤 자신이 직접 맡았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아마도 요한 필리프 크리스티안 슐츠가 지휘를 맡은 것으로 여겨진다.[1] 이후 베토벤의 제자인 카를 체르니가 협연한 에서의 첫 연주(1812년 2월 11일 밤) 때에는 무지한 청중의 무덤덤한 반응을 받았으나, 이후 시간이 점차 지나면서 피아노 협주곡 역사상 최고의 작품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월광” 소나타 또는 “운명” 교향곡 등의 별칭은 대체로 베토벤의 뜻과 무관하게 그의 사후에 후세 사람들이 붙인 것이나, 이 작품의 “황제” 협주곡이라는 별칭은, 베토벤의 막역한 친구인 독일계 영국인 피아니스트 겸 출판업자 요한 밥티스트 크라머가 런던에서의 출판을 위해 붙인 것으로,[2] 사전에 베토벤과의 교감이 이뤄졌다고 볼 수도 있다.

이 악곡은 완성 후 롭코비츠 공작의 궁에서 최초로 진행된 비공개 초연에서 피아노 독주를 맡은 루돌프 대공에게 헌정되었다. 초판은 1810년 11월에 런던의 클레멘티 사를 통해 간행되었고, 이어 1811년 3월부터 4월까지 라이프치히의 브라이트코프 운트 헤르텔 사를 통해 이루어졌다.[3]

2 경위[ | ]

2.1 스케치 및 작곡[ | ]

1808년 12월 말 경에 이 악곡의 스케치에 착수하고 있다. 같은 달 얼마 전인 22일에 안 데르 빈 극장의 저녁 "아카데미"(독일어: Akademie, 당시에는 연주회를 아카데미라고 불렀다)에서 《피아노 협주곡 4번》과 《교향곡 5번》 “운명”, 《교향곡 6번》 “전원” 등 신작의 초연을 겸한 네 시간에 이르는 장대한 연주회를 열고 있으므로, 그 연주회 직후에 이 악곡의 스케치에 들어간 것으로 볼 수 있다. 연주회에서는 베토벤이 자신의 피아노 즉흥 연주로 자신의 신곡 중 하나를 발표했으며, 이후에 "합창부"의 뿌리적 존재 중 하나로 알려지게 될 《합창 환상곡》의 초연 피아노 독주도 맡았다. 이러한 점에서, 당시의 연주회가 베토벤에게 이 악곡의 창작을 향한 자극을 줬다는 지적도 존재한다.

베토벤은 이듬해 1809년 4월 경까지 스케치를 완료하고, 같은 해 여름 무렵에 이르러 총보 스케치도 완료했다. 하지만, 출판 때까지는 1년 정도의 기간이 더 필요했는데, 때마침 나폴레옹이 이끄는 프랑스군이 베토벤이 있던 빈을 완전 포위하고, 마침내 쇤브룬 궁전을 점거했다. 이것에 대해 카를 대공이 인솔하는 오스트리아군은 분전해도 프랑스군의 기세를 막을 수 없었고, 마침내 빈 중심부가 포격을 받아, 프랑스군에 의한 빈 입성을 허락하고 말았다. 이후 프랑스 · 오스트리아 양군 간에 휴전 협정이 맺어졌으나, 당시 오스트리아 황제 프란츠를 비롯해 베토벤을 지원해 온 루돌프 대공을 비롯한 귀족들도 대거 피신을 해서 빈에서의 음악 활동은 끊기게 되었다.

이 무렵의 베토벤은 그의 집 근처에도 포탄이 떨어져 동생 카스파의 집 지하실로 피신, 불편한 생활 속에서도 작곡을 계속 했지만, 참다 못해 빈의 거리를 제 것인 양 해서 걷는 프랑스군 장교와 스쳐 지나갔을 때, 장교를 향해 주먹을 불끈 치켜들며 "내가 만약 전술을 대위법만큼 잘 알고 있었다면, 한 번 혼을 내줬을텐데 말이야"라고 외치기도 했다고 한다.

2.2 초연과 이후[ | ]

1802년으로 거슬러 올라가, 청각 장애를 우려해 하이리겐슈타트 유서를 쓴 베토벤은, 이후 자신이 안고 있는 난청이 악화일로로 치닫고 있었음에도, 피아노 협주곡이라는 장르에 있어서 전작 《피아노협주곡 4번》까지는 초연시 베토벤 스스로 독주 피아노를 맡아왔다. 그러나 이 악곡의 작곡 과정에서 초래된 프랑스군의 폭격음은 가뜩이나 진행중이던 그의 난청을 보다 중증화 시켜버렸고, 결국은 이 악곡의 초연에 피아노 독주자로 참여하는 것을 포기, 다른 피아니스트에게 독주를 맡기는 상황에 이르게 되었다.

초연은 1811년 1월 13일에 롭코비츠 공작의 궁에서 열린 정기연주회에서 베토벤의 제자이자 후원자였던 루돌프 대공의 독주에 의해 비공개로 실시되었다(독일에서의 첫 출판을 곧 앞 둔 상황이었다. 초판은 1811년 2월에 라이프치히의 브라이코프 운트 헤르텔 사를 통해 간행되었다).[4] 그리고 같은 해 11월 28일, 라이프치히 게반트하우스 연주회에서 요한 필리프 크리스티안 슐츠가 지휘하는 라이프치히 게반트하우스 관현악단과 함께 프리드리히 슈나이더의 독주로 첫 공개 초연이 이루어졌는데, 이 공연은 작곡가에게 진정한 승리를 가져다 주었다. 1812년 1월 1일의 날짜로 발표된 위대한 학술지 《일반음악신문》에 따르면, "대중은 그들의 열정과 감사를 담기 위해 고군분투했다."고 표현했고, 협주곡에 대해서는 "매우 독창적이고 상상력이 풍부하며 활기가 넘친다. 또한 모든 기존의 협주곡 가운데 가장 어려운 것이다."라고 묘사했다. 이후 1812년 2월 12일에 빈의 쾰른토나토아 극장에서 베토벤의 제자 중 한 명인 카를 체르니의 독주에 의해 다시 공연이 이루어졌는데, 이 공연에 대한 평은 다소 박했다. 피아니스트인 카를 체르니는 오늘날의 피아노 교본으로 더 잘 알려진 베토벤의 제자이다. 그 당시 그는 존경받는 교수이자 작곡가였고 뛰어난 피아니스트였다. 그러나 평단은 냉혹한 비판을 내렸고, 베토벤에 대해서는 "자신의 천재성을 너무 자랑스러워 하고, 자신감을 넘어 자만에 빠져있다"고 비난했다. 사실 빈의 대중은 라이프치히의 대중보다 훨씬 보수적이고 새로운 것에 대해서 덜 개방적이었다.

이후 베토벤은 이 악곡을 그의 생존 중에 결코 연주하지 않았다. 게다가 베토벤은 새로운 피아노 협주곡 마저도 생존해 있는 동안 결코 써 내지 않았다. 후년에 이르러 이 악곡은 프란츠 리스트가 즐겨 연주하기 시작하면서부터 점차 진가가 알려지기 시작했고, 평단과 대중은 비로소 걸작 반열에 올려놓기 시작했다.

3 "황제"라는 부제의 유래[ | ]

이 악곡에 붙여진 "황제"라는 별칭(부제)은 베토벤과 거의 같은 시기의 작곡가 겸 피아니스트이면서 악보 출판 등의 사업을 하던 요한 밥티스트 크라머가 "웅혼장대함"이라던가, "위풍당당함" 같은, 이 악곡에서 느껴지는 인상에서 착안해 부여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베토벤의 사후, 주로 영어권에서 정착했다.

하지만, 이 "황제"라고 하는 별칭에 관해서는, 프랑스군의 공격으로 오스트리아의 황제나 베토벤의 후원자인 귀족들이 대피해 간 상황 아래에서, 부자유로운 생활을 강요당하고 있었던 베토벤 자신이 "황제"를 상기하면서 작곡을 진행했다고는 생각하기 어려우며, 가령 이 악곡의 곡상이 이 "황제"의 이미지와 결부되어 있다고 해도, 작곡 당시의 상황으로부터 생각하면 "걸맞지 않음"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고 하는 지적도 일부 전문가들 사이에서 나오고 있다.

4 악기 편성[ | ]

  • 독주의 피아노
  • 목관악기ː두 개의 플루트, 두 개의 오보에, 두 개의 클라리넷, 두 개의 바순
  • 금관악기ː두 개의 호른, 두 개의 트럼펫
  • 타악기: 팀파니
  • 현악 5부ː제1바이올린, 제2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더블베이스

5 악장 구성[ | ]

이 악곡의 구성은 다음과 같으며, 총 연주 시간은 대략 38분 정도이다. 베토벤의 다른 마지막 협주곡들처럼 피아노 협주곡 5번의 첫 번째 악장 역시 상당히 길다. 이 협주곡의 제1악장 도입 부분에서의 피아노 카덴차는 즉흥이 아니라 악보대로 연주되며, 제2악장과 제3악장 사이는 쉬임 없이, 즉 아타카로 연주되고 있다.

5.1 제1악장. 알레그로[ | ]

내림마장조. 4/4 박자. 독주 협주곡풍 소나타 형식.

제1악장은 소나타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장대한 규모를 자랑한다. 관례와는 달리, 갑작스런 피아노 독주로 시작하고 있는데, 이 부분은 서주에 해당된다. 제시부는 전통적인 독주 협주곡의 양식에 따라 먼저 오케스트라에서 제시를 하고 피아노가 참가한다. 제2주제는 처음에 단조로 제시되었다가 본래의 장조로 이행되지만, 제1제시부(오케스트라 제시부)는 관계조의 내림마단조로 제시되었다가 본래의 내림마장조로, 제2제시부(독주 제시부)는 관계조의 나단조로 제시되었다가 본래의 내림나장조로 이행된다. 코데타는 제1주제를 전체 합주로 힘차게 발휘하며 화려하게 제시부를 마무리 한다. 전개부는 목관이 제1주제를 연주하며 시작, 호쾌하게 협연하면서 제1주제를 중심으로 전개해 간다. 재현부는 서주로부터 재현되지만, 주제의 재현 자체는 형식대로인 것이 되고 있다. 코다에 들어가는 곳에서는 독일어로 카덴차는 불필요하다는 취지의 베토벤에 의한 지시가 있다.


\relative c' {
  \override TupletBracket #'stencil = ##f
  \override Score.BarNumber #'stencil = ##f
  \key es \major
  es2~\f es8 \times 2/3 { f16( es d) } es8-. f-. |
  g4( es c) bes8. bes16 |
  es2~\sf es8 \times 2/3 { f16( es d) } es8-. f-. |
  g4( es c) bes8. bes16 |
  d2\sf es8 r f r |
  g2\sf as4.\sf f8 |
  es4\p
}

5.2 제2악장. 아다지오 운 포코 모소[ | ]

나장조. 4/4 박자(헨레 버전에서는 2/2 박자). 변주곡 형식.

제1악장과는 대조적으로 차분하면서도 온화하게 흐름을 이어가는 악장으로, 베토벤이 남긴 가장 심오하고 감동적인 음악 가운데 하나이다. 전체는 3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3부는 제1부의 변주이다. 제2부를 제1부의 변주로 해석한다면, 제2부가 제1변주, 제3부가 제2변주의 변주곡 형식이며, 그렇게 해석하지 않는다면, 제2부를 중간부로 한 복합 3부 형식이다. 악장의 마지막에서 다음 악장의 주제를 내림마장조로 예고하고, 그대로 계속해서 종악장으로 몰려든다.


\relative c' {
  \key b \major
  dis2(\p cis4 dis |
  b4 e cis2) |
  fis4 fis( gis ais |
  b4 dis, cis2) |
}

5.3 제3악장. 론도 - 알레그로 마 논 트로포[ | ]

내림마장조. 6/8 박자. 소나타 형식.

제2악장에 이어 중단 없이 연결된다. 춤곡풍의 주제는 마치 곡예를 펼치는 듯 하며 다시금 첫 악장의 기세와 분위기로 복귀한다. 피아노와 관현악이 경쟁하는 협주곡 특유의 묘미를 만끽할 수 있는 이 박진감 넘치는 피날레는, 같은 주제가 여러 번 연주되고 론도 형식의 풍체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론도라고 불리는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형식적으로는 완전히 소나타 형식의 요건을 갖추고 있으므로 론도풍 소나타 형식이라고 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쾌활한 리듬으로 시작하고 있는데, 여기에서는 호른의 통주저음이 들어가 있다. 재현부의 앞에서는 제2악장의 끝(즉 3악장의 제시부 앞) 부분을 회상하고 있다. 팀파니가 막바지에 동음으로 반주하는 가운데 피아노가 가라앉아 가는 부분이 인상적이다.


\relative c'' {
  \key es \major \time 6/8
  \partial 8 bes8 | bes8\ff( es) es([ g)] r g16( bes) |
  bes16( es) es4~ es es16( g) |
  f8 r d16( f) es8 r g,16( bes) |
  bes4\trill~ bes16 a bes4
}

6 대중 문화에서의 사용[ | ]

7 각주[ | ]

  1. Raptus Association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들 작곡계기 등): [Entstehungsgeschichte http://raptusassociation.org/pianohist_g2.htm Archived 2010년 12월 20일 - 웨이백 머신]
  2. A.W.Thayer, [Thayer's Life of Beethoven, Teil 1, Seite 209],
  3. Kurt Dorfmüller, Norbert Gertsch und Julia Ronge (Hrsg.), Ludwig van Beethoven. Thematisch-bibliographisches Werkverzeichnis, München 2014, Band 1, S. 457f.
  4. Beethoven in the Diaries of Johann Nepomuk Chotek, hrsg. von Rita Steblin, Bonn: Verlag Beethoven-Haus 2013 (= Veröffentlichungen des Beethoven-Hauses Bonn, Reihe IV, Schriften zur Beethoven-Forschung, Band 24), S. 113f.

8 외부 링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