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선거권은 선거권·국민투표권·국민심사권 및 공무원과 배심원이 되는 권리와 더불어 국가권력에의 참가를 내용으로 하는 적극적인 권리인 참정권의 일부이다.
한국에서는 1993년 7월 국회에 '정치관계법개정 특별위원회'가 구성되어 각종 선거법·지방자치법·안기부법·정치자금법에 대한 개정작업이 시작되었고, 1994년 3월 4일 공직선거 및 선거부정방지법(일명 통합선거법)이 제정되어 그 동안 국회의원선거법·대통령선거법·지방의회의원선거법으로 나누어져 있던 피선거권 규정이 하나의 법률로 통합되었다.
금치산선고를 받은 자, 선거사범으로서 법이 정한 시한이 지나지 않은 자, 법원의 판결에 의해 선거권이 정지 또는 상실된 자, 금고 이상의 형의 선고를 받고 그 형이 실효되지 아니한 자, 법원의 판결 또는 다른 법률에 의하여 피선거권이 정지되거나 상실된 자는 피선거권이 없다(19조).
그 구체적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40세 이상의 국민은 대통령의 피선거권이 있다. ② 25세 이상의 국민은 국회의원의 피선거권이 있다. ③ 선거일 현재 계속하여 60일 이상 당해 지방자치단체의 관할구역 안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는 주민으로서 25세 이상의 국민은 그 지방의회 의원 및 지방자치단체의 장의 피선거권이 있다(16조).
괜찮은 일자리사회적기업도 그런데 22살 되면 노가다로 숙소생활 한다네요.
그런데 일자리 구하기 참 힘들어요 ㅠㅠ
― Busanzeta
괜찮은 일자리어려운 문제입니다. 또 직장에서는 쓸만한 사람 찾기가 힘들다는 말을 많이 하니까요. 서로 충돌이 있네요.
― Pinkcrimson
민족과연 한국인들이 민족이라는 개념을 언제부터 사용했는가, 이건 좀 궁금하네요. 민이라는 말이야 계속 써왔겠지만 대부분 피지배계급으로서의 민이었을 것이고 중국인, 일본인들과 구분되는 느낌으로 쓴 사례들에 대해서. 그 민이라는 말에는 국민이라는 느낌과 민족이라는 느낌 양쪽 다 섞여있을듯도 싶…
― Pinkcrimson
민족비슷한 맥락에서 Nation state 번역어가 주로 국민국가랑 민족국가 두 개 통용되는 것 같은데, 어느 쪽을 선택해야 할지 애매하더라구요...
― Mk
사회메이지기, 번역한자어의 성립과 한국 수용 고찰 - [society]가 [사회(社会)]로 번역되기까지 - = Translation in Meiji Period of Japan and its Acceptance of Korea : with Focused on the Term [society…
― Pinkcrimson